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비증(痹證)<부:견관절주위염>의 변증 및 침구치료

초암 정만순 2016. 7. 15. 20:19


비증(痹證)<부:견관절주위염>의 변증 및 침구치료


 비증(痹證)은 피육(皮肉), 근골(筋骨), 관절(關節)등에 발생하는 산통(痠痛), 마목(麻木), 관절종대(關節腫大), 작통(灼痛), 굴신불리(屈伸不利)등의 증상이 주된 병증(病證)이다. 병사(病邪)가 인체에 침습하여 경락(經絡)을 조폐(阻閉)하고 기혈운행이 불창(不暢)된데 기인(起因)한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평소에 인체가 허약하고 위양불고(衛陽不固)하거나 습지(濕地)에 오래 누워 풍한습사(風寒濕邪)를 받아 경락이 조폐(阻閉)되고 기혈운행이 불창(不暢)하여 풍한습비(風寒濕痹)가 나타나며, 이것이 오래되면 열비(熱痹)로 된다.

⑵ 변증(辨證)

A. 풍한습비(風寒濕痹)
① 행비(行痹) : 풍성선행(風性善行)하며 지체관절(肢體關節)에 동통(疼痛)이 있으며 통처(痛處)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때론 한열이 나타나며 설태황(舌苔黃), 맥부활(脈浮滑)하다.
② 통비(痛痹) : 지체관절동통(肢体關節疼痛)이 극열(劇熱)하며 통처(痛處)가 고정(固定)되며, 천기한냉시(天氣寒冷時)에는 가중(加重)되고, 열을 받으면 통증(痛症)이 감(減)해진다. 설태백(舌苔白), 맥현긴(脈弦緊)하다.
③ 착비(着痹) : 습성점체(濕性粘滯), 기부마목(肌膚麻木), 지체관절동통(肢體關節疼痛), 중착불이(重着不移)하며, 태백니(苔白膩), 맥유완(脈濡緩)하다.

B. 열비(熱痹)
관절동통(關節疼痛), 국부홍종(局部紅腫), 활동에 한계가 있으며, 구갈(口渴)이 있고, 발열(發熱), 태황(苔黃), 맥활삭(脈滑數)이다.

⑶ 치료(治療)

- 치법 :

동통부위(疼痛部位)에 근거하여 분부순경취혈(分部循經取穴)한다.
행비(行痹)와 열비(熱痹)는 호침사법천자(毫鍼瀉法淺刺)하며, 통비(痛痹)가 심할때는 구(灸)하고 심자유침(深刺留鍼)한다.
착비(着痹)에는 침구병시(鍼灸幷施)한다.
- 처방 :

분부근취(分部近取)와 순경원취(循經遠取)를 원칙으로 하고, 필수적(必須的)으로 비증성질(痹證性質)과 변증(辨證)에 의(依)해 결합치료(結合治療)한다.
견갑부(肩胛部) - 천종(SL11), 병풍(SL12), 견외유(SL14), 고황(BL43), 후계(SL3).
견노부(肩臑部) - 견우(LI15), 견료(SJ14), 노유(SI10), 견정(SI9), 조구(ST38).
주비부(肘臂部) - 곡지(LI11), 척택(LU5), 천정(SJ10), 외관(SJ5), 합곡(LI4).
완 부(腕 部) - 양지(SJ4), 양계(LI5), 양곡(SI5), 외관(SJ5).
지장부(指掌部) - 양곡(SI5), 합곡(LI4), 후계(SI3), 팔사(EX-UE9), 아시혈(A-Shi).
척주부(脊柱部) - 신주(DU12), 요양관(DU3), 수구(DU26), 협척(EX-B2), 후계(SI3).
관 부(髖 部) - 십칠추(EX-B8), 거료(GB29).
저 부(骶 部) - 환도(GB30), 팔료(BL31-34), 현종(GB39).
고 부(股 部) - 질변(BL54), 승부(BI36), 풍시(GB31), 비관(ST31), 복토(ST32).
슬 부(膝 部) - 학정(EX-LE2), 독비(ST35), 내슬안(EX-LE4), 양릉천(GB34), 음릉천(SP9), 슬양관(GB33), 곡천(LR8), 위중(BL40).
경 부(脛 部) - 족삼리(ST36), 비양(BL58), 현종(GB39), 음릉천(SP9), 승산(BL57), 조구(ST38).
과 부(踝 部) - 해계(ST41), 상구(SP5), 구허(GB40), 곤륜(BL60), 태계(KL3).
지척부(趾跖部) - 공손(SP4), 속골(BL65), 팔풍(EX-LE10), 아시혈(A-Shi).
전신통(全身痛) - 후계(SI3), 신맥(BL62),대포(SP21), 격유(BL17), 견우(LI15), 곡지(LI11), 합곡(LI4), 양지(SJ4), 환도(GB30), 양릉천(GB34), 현종(BL35), 해계(ST41).
① 행비(行痹) : 풍지(GB20), 풍부(DU16), 격유(BL17) 혹은 곡지(LI11), 삼음교(SP6), 혈해(SP10).
② 통비(痛痹) : 신유(BL23), 명문(DU4) 혹은 관원(RN4), 신궐(RN8).
③ 착비(着痹) : 족삼리(ST36), 상구(SP5), 음릉천(SP9).
④ 열비(熱痹) : 대추(DU14), 곡지(LI11).
- 방의 :

병변부위선혈(病変部位選穴)로 근린취혈(近隣取穴)을 했으며 국부경기(局部經氣)를 소통시키므로써 거풍산한(祛風散寒)하고 소종지통(消腫止痛)시킨다.
후계는 태양경기(太陽經氣)를 선통(宣通)시켜서 견갑부동통(肩胛部疼痛)을 치료한다.
조구는 양명경기(陽明經氣)를 선통시켜 견노부동통(肩臑部疼痛)을 치료한다.
합곡은 양명경기(陽明經氣)를 소통시켜 주비부동통(肘臂部疼痛)을 치료한다.
후계는 독맥(督脈)과 통하며 수구는 독맥이므로 고르게 독맥경기(督脈經氣)를 소통시켜서 척주부동통(脊柱部疼痛)을 치료한다. 또한 후계는 독맥과 통하고 신맥(申脈)은 양교맥(陽蹻脈)과 통하므로 팔맥교회혈법(八脈交會穴法)을 이용해서 견(肩), 배(背), 요(腰), 퇴(腿) 및 일신기육근골(一身肌肉筋骨)의 병을 주치(主治)한다.
대포는 비지대락(脾之大絡)이며 격유는 혈회(血會)이므로 이혈(二穴)을 합용(合用)하여 낙맥을 소통시키고, 기혈을 조화시켜 전신동통(全身疼痛)과 지체핍력(肢體乏力)을 치료한다.
격유, 혈해, 삼음교는 활혈양혈(活血養血)의 작용이 있으며, 풍지와 풍부는 거풍(祛風)의 요혈이다.
곡지는 수양명경합혈(手陽明經合穴)이고 양명경(陽明經)은 다기다혈(多氣多血)이므로 제혈합용(諸穴合用)하면 거풍작용(祛風作用)을 강력히 하기에 행비(行痹)를 치료한다.
신유, 명문, 관원, 신궐은 신양(腎陽)인 명문지화(命門之火)를 도와 선천원양지기(先天元陽之氣)를 보(補)하므로 통비(痛痹)를 치료하고, 음릉천, 상구, 족삼리는 건비위(健脾胃)하고 화습탁(化濕濁)하므 로 착비(着痹)를 치료한다.
대추, 곡지는 퇴열요혈(退熱要穴)로 열비(熱痹)를 치료한다. 

                         
■ 부 : 견관절주위염(附:肩關節周圍炎)
견관절주위염은 견주염(肩周炎)이라 약칭한다.

견관절주위의 기육(肌肉), 기건(肌腱), 인대(靭帶), 활액랑(滑液囊), 관절랑(關節囊) 등 연조직(軟組織)의 퇴행성병변(退行性病變)이다. 일반적으로 견부(肩部)에 한사(寒邪)를 받거나 급만성노손(急慢性勞損)이 본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병(本病)은 흔히 외상(外傷)으로 인해 발생하며, 굉이두기기건염(肱二頭肌肌腱炎), 강상기기건염(岡上肌肌腱炎), 견봉하활랑염(肩峰下滑囊炎)등의 병증(病症)이 있다. 견주염(肩周炎)은 중년이후에 많이 나타나며 여성이 남성보다 발생율이 높다.

“누견풍(漏肩風)”, “견비(肩痹)”, “견응(肩凝)”, “오십견(五十肩)”이라 부르기도 한다.
견주염(肩周炎)은 일측견부(一側肩部)에 만성산통(慢性痠痛)이 있으며 동통이 경부(頸部)와 견부(肩部)에 방산(放散)된다.

정지시(靜止時)에 통증이 심하고 활동의 장애(障碍)를 받는다. 동통일경야중(疼痛日輕夜重), 활동후에는 통증이 경감(活動後輕減)되며, 견부(肩部)에 광범성압통(廣泛性壓痛)이 나타난다.

후신(後伸), 외전(外展), 외선(外旋)에 지장을 받는다.
초기에는 주로 통증이 나타나며, 만기(晩期)에는 장애가 오고, 모두 기육위축(肌肉萎縮)이 나타난다.

견주염은 비증(痹證)범위에 속한다. 풍승자(風勝者)는 주로 근(筋)을 상하게 되며, 경항견비부(頸項肩臂部)의 상하로 통증이 있다.

한승자(寒勝者)는 통처(痛處)가 깊은 곳에 있으며 통증이 극열(劇熱)하다.

습승자(濕勝者)는 국부(局部)가 종창(腫脹)하며 통처(痛處)가 고정(固定)된다.
- 치법 :

양경수혈(陽經腧穴)을 주로 취하며, 근부취혈(近部取穴)과 원부취혈(遠部取穴)을 상배(相配)하고, 거풍산한(祛風散寒), 통경활락(通經活絡)한다. 호침사법(毫鍼瀉法)을 쓰며 뜸(灸)도 좋다.
- 처방 :

견우(LI15), 견료(SJ14), 견정(SI9)
- 수증배혈 :

견부전면통심(肩部前面痛甚) 또는 전후균통자(前後均痛者) - 가(加) 곡지(LI11), 천종(SI11), 조구(ST38) 투 승산(BL27).
견부외측통(肩部外側痛) 또는 내외균통자(內外均痛者) - 가(加) 외관(SJ5), 양릉천(GB34) 투 음릉천(SP9).
풍사편승자(風邪偏勝者) - 가(加) 풍지(GB20), 곡지(LI11).
습사편승자(濕邪偏勝者) - 가(加) 비노(LI14), 노회(SJ13), 족삼리(ST36).
한사편승자(寒邪偏勝者) - 가(加) 합곡(LI4), 태충(LR3), 심자(深刺)하여 오래 유침(留鍼)하고 가구(加灸)한다.
기육위축자(肌肉萎縮者) - 가(加) 족삼리(ST36), 삼음교(S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