飮食 漫步/요리

도다리쑥국·삼채쑥전·쑥돌나물튀김

초암 정만순 2015. 3. 12. 18:17

 

도다리쑥국·삼채쑥전·쑥돌나물튀김

 

‘봄 쑥은 처녀 속살을 키운다’는 속담이 있다. 봄에 채취한 어린 순으로는 국을 주로 끓여 먹고 좀 더 자라면 나물보다는 떡으로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 쑥은 다른 봄나물보다 향이 강해 생채나 무침보다는 국이나 떡, 튀김, 전 등에 적합하다. 초봄에 나오는 길이가 짧은 애쑥은 소고기와 함께 다져 끓인 애탕도 별미다. 만물이 소생하는 3월, 이제 막 올라오기 시작하는 어린 쑥으로 쑥전, 쑥경단, 쑥국, 애탕, 쑥밥, 튀김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봄의 향기를 우리 식탁에 올려 보자.

◆쑥의 효능과 영양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쑥은 38종으로 예부터 가정상비약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연한 잎을 말려 찐 것으로 즙을 만들어 마시면 해열, 진통, 해독, 구충 효과를 볼 수 있다. 어렸을 때는 밭에서 일을 하다가 코피를 곧잘 흘렸는데 그럴 때마다 어머니는 밭가에 자라난 쑥잎을 뜯어 돌멩이로 빻아 손바닥에 올려 둥글게 모양을 만들어 코를 막으라고 주셨는데 신통하게도 코피가 잘 멈추었다. 그 외에도 독충에 물리거나 습진, 상처가 났을 때는 쑥을 짓찧어 발랐으며 여름밤에는 쑥을 태워 모기를 쫓았다.

쑥 80g이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A를 충족할 수 있다. 이는 몸에 세균이 침입했을 때 저항력이 강해진다. 쑥에는 비타민C도 많아 감기 예방과 치료에 좋으며, 항암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도 풍부하다. 쑥 특유의 향을 내는 원천인 ‘치네올’ 성분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감기와 냉증 치료에 효과를 발휘한다. 쑥뜸을 뜨면 백혈구의 수가 2, 3배 정도 증가하여 면역 물질이 생긴다고 한다. 또 쑥의 어린잎을 소주에 담가 1개월 이상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해 두었다 마시는 쑥술은 천식에 효험이 있다.

♣도다리쑥국
▷재료: 도다리 2마리, 쑥 3줌, 물 8컵, 무 1토막, 다시마 3장(사방 3cm), 느타리버섯 5개, 된장 2T, 들깨가루 3T
1. 도다리는 내장을 제거해 다시 한 번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는다.
2. 냄비에 물을 8컵 넣고 무 1토막, 다시마 3장, 도다리 2마리를 넣고 팔팔 끓인다.
3. 7분간 끓여 도다리가 익으면 접시에 모두 건져내어 도다리는 살을 발라낸다.
4. 무는 버리지 않고 먹기 좋게 썬다.
5. 쑥은 이물질이 안 나올 때까지 여러 차례 씻어 건진 후 들깨가루를 넣어 살살 버무린다.
6. 도다리 삶았던 국물에 된장을 푼다.
7. 강한 불로 올려 국물이 팔팔 끓으면 무와 느타리버섯을 넣고 한소끔 끓으면 쑥을 넣어 5초만 끓여 완성한다.

♣쑥돌나물튀김
▷재료: 쑥 1줌, 돌나물 1줌, 밀가루 1컵, 달걀 1개, 소금 1/3t, 얼음물 1컵
1. 쑥과 돌나물은 잘 씻어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탁탁 털어 준비한다.
2. 1회용 비닐 팩에 밀가루, 쑥, 돌나물을 넣어 이리저리 흔들어 섞어 덧 가루를 묻힌다.
3. 얼음물을 부어 밀가루 1컵에 약간의 소금을 넣고 튀김할 반죽을 만든다.
4. 덧 가루 씌운 쑥과 돌나물을 반죽에 묻혀 기름에 바삭하게 튀긴다.(초간장을 곁들인다.)


▷재료: 쑥 3줌, 삼채 50g, 두부 20g, 당근 20g, 밀가루 1컵(또는 부침가루), 계란 2개, 소금 1/2t
1. 쑥, 삼채뿌리, 당근은 각각 씻고 손질하여 송송 썰고, 두부는 으깬다.
2. 볼에 밀가루, 계란, 소금 조금 넣고 물을 부어가면서 반죽한다.
3. 모든 재료들을 섞는다.
4. 팬을 달구어 기름을 두르고 반죽을 한 숟가락씩 떠서 넣고 부친다.
5. 한쪽이 다 익으면 뒤집어서 마저 익혀서 완성한다.(버섯류를 섞어도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