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醫學 方劑 世界/방제

항암치료시 설사, 구내염 - 반하사심탕!

초암 정만순 2014. 2. 6. 17:57

 

항암치료시 설사, 구내염 - 반하사심탕!  

 

반하사심탕은 암 화학요법에 의한 설사 및 구내염을 경감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기초 연구를 통해 항염증작용, 대장수분흡수 항진작용, 지사작용, 위점막 방어작용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심와부 (명치부)에 팽만감이 있고, 오심 / 구토, 식욕부진 등이 있으며, 무른 대변이나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됩니다만, 반하사심탕은 그 약리기전 때문에 프로스타글란딘 E2가 관여하는 장액분비형 설사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

 

특히, 항암제 이리노테칸으로 인해 발생하는 설사를 예방하는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예방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이리노테칸 염산염 투여 수일 전부터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는 이 반하사심탕이 이리노테칸의 항암효과에 영향을 준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반하사심탕은 이리노테칸 염산염의 항종양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곧! "항암치료 효과를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한방약을 복용해선 안된다!"라는 말은 전혀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말인 것이죠.

 

항암치료시 발생하는 구내염에도 활용이 가능한 처방인데요.

암 화학요법에 의한 구내염에는 1/2컵 정도에 1포를 녹여, 수 차례에 걸쳐 가글하며 1회당 5초 이상 머금고 있게 하는 국소 (함수) 요법이 속효성도 있고 유효합니다. 항암제에 의한 구역이 있을 경우에도 가능한 방법이며, 환자에게도 추천하기 좋습니다.
궤양부에 직접 도포해서 활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때는 단시간의 자극감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이제 반하사심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투여방법
7.5g/일을 경구 투여 (보통 식전 또는 식간으로 나누어 3회), 가글 사용

 

실제 임상에서의 응용례
-장액 분비형 설사
-이리노테칸 염산염에 의한 설사
-암 화학요법에 의한 구내염 (가글 사용을 추천)
-오심 / 구토, 설사, 식욕부진

 

현재까지 밝혀진 EBM
약리작용
①항염증작용 [1-4]
②대장수분 흡수 항진작용 [1, 5]
③지사작용 [1, 6]
④제토작용 [7]
⑤위점막 방어작용 [8, 9]
⑥위배출 촉진작용 [7, 10]

 

그림 1 이리노테칸 염산염 (CPT-11)에 의한 지연성 설사와 반하사심탕의 작용기전 (문헌 [21]에서 개정 인용)

 

임상효과
①이리노테칸 염산염에 의한 설사를 경감 [11-14]
②암 화학요법에 의한 구내염을 개선 [15-17]
③구내염을 개선 [18, 19]
④위 절제 후 소화기 증상 (외과적 NUD)을 개선 [20]

 

참고문헌
1)Kase, Y. et al. Jpn J Pharmacol. 1997, 75, p.407.
2)Kase, Y. et al. Biol Pharm Bull. 1998, 21, p.117.
3)Kase, Y. et al. Biol Pharm Bull. 1998, 21, p.1277.
4)池田孔己ほか. 和漢医薬学雑誌. 1998, 15, p.390.
5)Kase, Y. et al. Biol Pharm Bull. 1997, 20, p.954.
6)Kase, Y. et al. Biol Pharm Bull. 1996, 19, p.1367.
7)Kase, Y. et al. Biol Pharm Bull. 1997, 20, p.1155.
8)坂上 博ほか. 消化器科. 1990, 12, p.183.
9)緒方優美ほか. 薬理と治療. 1993, 21, p.1747.
10)原澤 茂ほか. Prog Med. 1993, 13, p.2533.
11)森 清志ほか. 癌と化学療法. 1998, 25, p.1159.
12)村越 誉ほか. 産婦人科漢方研究のあゆみ. 1999, 16, p.114.
13)鎌滝哲也ほか. 産婦人科漢方研究のあゆみ. 2000, 17, p.14.
14)Mori, K. et al. Cancer Chemother and Pharmacol. 2003, 51, p.403.
15)Kono, T. et al. World J oncol. 2010, 1, p.232.
16)柳瀬 徹. 漢方医学. 2010. 34. p.293.
17)水田成彦ほか. 漢方医学. 2011. 35. p.167.
18)石井正光. Medical Kanpo. 1995, 7, p.12.
19)小林永治. 漢方の臨床. 2007, 54, p.208.
20)合地 明ほか. Prog Med. 1999, 19, p.891.
21)鎌滝哲也. 漢方医学. 2010, 34, p.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