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뇌 신경 정신계

頭痛(두통)

초암 정만순 2014. 2. 4. 15:16

頭痛(두통)

 

 

<편두통으로 눈이 침침할 때>

편두통으로 눈이 침침하고 참기조차 힘들 때는 풍지(風池), 본신(本神), 두유(頭維)를 자침하는데 병이 우측(右側)이면 좌측(左側)을 병이 좌측(左側)이면 우측(右側)을 다스리면서 숨을 열번 내쉴 동안 유침하면 신효(神效)하다.

<습관성으로 오는 두통>

습관성으로 오는 두통에는 백회(百會)를 자침하면 특효(特效)하고 신회(顖會), 전정(前頂), 상성(上星), 백회(百會)를 뜸뜨면 더욱 특효(特效)하다.

<머리에서 발생하는 여러 증상>

머리에서 발생하는 여러 증상, 즉 아프고 차고, 열이 나며 빙빙 돌 때는 백회(百會)의 3치 앞에 있는 신회(顖會)를 뜸뜨면 신효(神效)하다.

<현운(眩暈=어지러움)>

현운(眩暈)에는 즉 어지럼증에는 신정(神庭), 상성(上星), 신회(顖會), 전정(前頂), 후정(後頂), 뇌공(腦空), 풍지(風池), 양곡(陽谷), 대도(大都), 지음(至陰), 금문(金門), 신맥(申脈), 족삼리(足三里)를 자침한다.

<어지러우며 찬 것을 싫어할 때>

어지러우며 찬 것을 싫어하고 봄, 여름에도 늘 모자를 쓰며 잠깐이라고 벗으면 곧 어지러워지는데는 백회(百會), 상성(上星), 풍지(風池), 풍륭(豊隆)을 자침하거나 뜸뜬다.

<신허증으로 정수리가 아플 때>

신궐두통(神厥頭痛), 즉 콩팥이 약한 신허(腎虛)로 정수리가 아플 때는 관원(關元)에 100장(壯)을 뜸뜬다.

<머리 속이 아플 때>

머리 속이 아플 때에는 통천(通天)을 취혈하여 반미립대(半米粒大)로 매일 7장(壯)을 7일동안 뜸뜨면 평생동안 재발하지 않는다.

<머리정수리가 아파 눈뜨기 힘들 때>

정심두통안불개(頂心頭痛眼不開), 용천하침족안태(湧泉下鍼足安泰) 즉 머리 정수리가 아파서 눈조차 뜨기 힘드는데는 용천(湧泉)에 침자하면 특효하다.

<전두통(前頭痛)일 때>

전두통일 때에는 백회(百會), 상성(上星), 신정(神庭), 태양(太陽), 합곡(合谷)을 자침한다.

<편두통(偏頭痛)과 전두통(前頭痛)이 함께 올 때>

사죽공(絲竹空), 풍지(風池), 합곡(合谷), 중완(中脘), 해계(解溪), 족삼리(足三里)를 자침한다.

<늘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울 때>

두풍목현(頭風目眩)일 때는 해계(解溪), 상성(上星), 풍지(風池), 족삼리(足三里)를 자침한다.

<늘 머리 정수리가 아플 때>

두풍정통(頭風頂痛)일 때는 백회(百會), 후정(後頂), 합곡(合谷), 중완(中脘), 족삼리(足三里), 풍지(風池)를 자침한다.

<편두통(偏頭痛)일 때>

편두통(偏頭痛)일 때는 아픈 쪽의 족임읍(足臨泣)과 외관(外關)에 자침하고, 머리의 아픈 그 부위를 삼릉침(三棱鍼)으로 몇 곳을 찔러 피를 손으로 짜내 서서 뽑으면 신효(神效)하다.

<몸에 열이 나면서 머리가 아플 때>

신열두통(身熱頭痛), 즉 몸에 열이 나면서 두통이 날 때는 찬죽(攢竹), 태능(太陵), 신문(神門), 합곡(合谷), 어제(魚際), 중저(中渚), 액문(液門), 소택(少澤), 위중(委中), 태백(太白)을 자침한다.

 

~~~~~~~~~~~~~~~~~~~~~~~~~~~~~~~~~~~~~~~~~

 

1) 偏頭痛(편두통) 일명 少陽頭痛(소양두통)
① 側三里(측삼리) 側下三里(측하삼리) ; 편두통이 있는 사람이 팔에 힘이 없을 경우
② 風市(풍시)
③ 三重(삼중) 四花外(사화외) 放血(방혈) ; 三重(삼중)이 더 중요하다.
④ 陽輔(양보) 瀉(사) ; 膽經(담경)의 火穴을 瀉한다.
⑤ 膽正格 or 膽勝格; 膽勝格은 뒷목 뻐근, 어깨도 무겁고, 스트레스로 인한 편두통에 잘 듣는다.
⑥ 六完 明黃; 습관성 두통, 다른 穴이 안 될 때 사용
2) 後頭痛(후두통) 일명 太陽頭痛(태양두통)
① 沖霄(충소) 放血(방혈) ; 後頭痛에 예외가 없다.
천추 3, 4, 5번이지만 1~5번 사이에서 압통이 가장 심한 곳을 택하여 많이 放血한다.
② 正筋(정근) 正宗(정종)
③ 陽輔 瀉 or 崑崙 瀉; 口眼喎斜에 後頭痛을 겸할 경우 즉효
④ 三陰交(삼음교)
⑤ 腕順(완순)1 . 2 ; 간혹 여자의 肝(간), 下腹病(하복통) 있으면서 후두통 있을 때,
⑥ 指三重(지삼중) ; 後頭痛(후두통), 偏頭痛(편두통), 頭頂痛(두정통)
⑦ 膀胱正格(방광정격)
3) 前頭痛(전두통) 일명 양명두통
① 火菊(화국) ;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공손혈
② 鼻翼(비익) ; 偏頭痛(편두통), 前頭痛(전두통), 眉稜骨痛(미능골통)
③ 八關(팔관) ; 전두통은 대부분 소화문제다.
4) 頂頭痛(두정통) 일명 궐음두통
① 靈骨(영골) 大白(대백)
② 明黃(명황)
③ 湧泉(용천) ; 꼭대기와 꼭대기다.
④ 指三重(지삼중) ; 後頭痛, 頭頂痛, 偏頭痛 모두 유효
⑤ 도장침으로 환부 瀉血, 모든 두통에 효과가 난다. 모든 두통은 다 熱病이다.
5) 太陽穴 頭痛(태양혈 두통)
① 門金(문금) ; 食滯(식체)를 겸, 설사에 心下痞(심하비), 氣厥(기궐)로 인한 두통, 잘 낫는다.
② 內關(내관); 신경 쓰면 소화 안 되고 태양혈 부위 통증
③ 風市(풍시); 간혹 쓰는데, 膽經 두통으로 본 것
6) 眉稜骨痛(미능골통)
① 火菊(화국)
② 臨泣(임읍) 瀉(사)
③ 風市(풍시)
④ 鼻翼(비익); 前頭痛, 偏頭痛, 眉稜骨痛
⑤ 三焦勝格(삼초승격)

 

~~~~~~~~~~~~~~~~~~~~~~~~~~~~~

 

頭痛(두통)의 鍼灸(침구) 取穴法(취혈법)


頭痛(두통)은 머리 부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한다. 韓醫學(한의학)에서는 外感(외감), 內傷(내상) 어느 쪽에도 頭痛(두통)이 일어난다고 한다 .
일반적으로 頭痛(두통)은 頭蓋骨(두개골) 밖에 있는 皮膚(피부), 動脈(동맥), 筋肉(근육), 骨膜(골막) 등의 構造(구조)와 頭蓋骨(두개골) 안에 있는 血管(혈관)과 組織(조직), 또는 眼(안), 鼻(비), 耳(이), 부비동 등의 얼굴 주위 구조와 뇌를 둘러싸고 있는 뇌경막 등이 압력을 받거나 변형이 올 때, 또 이런 조직에 염증이 생길 때 발생한다.
韓醫學(한의학)에서는 風寒濕熱(풍한습열)의 外邪(외사)가 侵襲(침습)하면 頭痛(두통)이 일어나는데 이는 外感(외감)에서 오는 頭痛(두통)이다. 外感(외감)의 風寒(풍한)에 의한 두통은 대추, 풍문혈을 취혈하고, 外感風熱(외감풍열)에 의한 것은 대추, 곡혈을 취혈한다.
內傷頭痛(내상두통)은 肝(간), 脾(비), 腎(신) 三臟(3장)의 기능실조와 관계가 있다고 한다. 즉 肝陽偏亢(간양편항)에 의한 두통은 간유, 행간혈을 취혈하며, 腎虛(신허)에 의한 두통은 신유, 관원, 태계혈을 취혈한다.
또한 頭痛(두통)은 腦腫瘍(뇌종양), 腦炎(뇌염), 腦髓膜炎(뇌수막염) 같은 腦疾患(뇌질환)이 있을 때, 또 高血壓(고혈압) 때문에 頭痛(두통)이 생길 수도 있는데 이때는 머리 뒤쪽에 頭痛(두통)이 생긴다. 머리 뒤쪽에 생기는 後頭痛(후두통)은 韓醫學(한의학)에서는 一名(일명) 太陽頭痛(태양두통)이라한다. 이는 太陽經脈(태양경맥)이 지나는 부위에 발생하는 經脈病(경맥병)이다.


[취혈]

後頭痛(후두통) : 백회, 옥침, 풍부, 아문, 천주, 후계, 곤륜, 신맥

현대의학에서의 偏頭痛(편두통)은 머리가 쿵쿵 울리는 듯한 통증이 발작적으로 생기며, 때로 속이 메스꺼워지는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嘔逆(구역)과 嘔吐(구토)가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스트레스가 생길 때나 수면 부족이 있을 때마다 발생하며 붉은 와인, 커피 같은 식품이나 혈관이완제 등의 약물도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이 偏頭痛(편두통)은 韓醫學(한의학)에서는 一名(일명) 少陽頭痛(소양두통)이라 하여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과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의 경혈을 위주로 취혈한다.
[취혈]
偏頭痛(편두통) : 풍지, 태양, 두유, 솔곡, 외관, 족임읍, 측삼리, 측하삼리
이외에도 前額部(전액부)에서 오는 前頭痛(전두통)을 一名(일명) 陽明頭痛(양명두통)이라하며, 頭頂部(두정부)에서 오는 頭痛(두통)을 厥陰頭痛(궐음두통)이라 한다.
[취혈]
前頭痛(전두통) : 양백, 인당, 태양, 찬죽, 두유, 합곡, 내정
[취혈]
頭頂痛(두정통) : 백회, 사신총, 풍지, 태충, 용천, 장강
상기의 처방과 같이 두통이 어느 부위, 어느 경맥에서 질병이 발생하였는지를 알고 그 경맥이 순행하는 노선의 경혈을 취혈하여 침구요법을 한다면 보다 쉽게 치료에 접근할 수 있다.

'病症別 鍼處方 > 뇌 신경 정신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 급구(感電 急救)  (0) 2014.03.19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0) 2014.03.19
칠정울결 치료  (0) 2014.03.19
구안괘사  (0) 2014.02.04
내과(침구법)  (0) 2014.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