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餌 最强/약차

건강 약차 - 통경익잉차

초암 정만순 2020. 12. 14. 08:09

건강 약차 - 통경익잉차

 

 

 

불임증 고쳐 아이 낳게 ‘통경익잉차

 

결혼을 했지만 아이를 낳지 못해 고통스러워하는 부부들이 꽤 많다.

결혼하여 피임 없이 정상적인 부부 생활을 하나 1년이 지나도록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불임증(不妊症)이라 한다.

정상적인 부부는 결혼 후 1년 이내에 80~90퍼센트가 임신이 되고, 2년간의 부부 생활 중에는 5퍼센트 이하만이 임신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요즘은 해마다 결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여성 나이가 35~44세인 부부의 약 30퍼센트가 불임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출산율을 낮추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0.96명으로 초저출산 사회로 분류된다.

한 가구당 자녀 1명꼴이며, 세계 222개국 가운데 최하위인 217위다.

오는 2020년쯤부터는 총인구가 감소되고 있다.


불임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자궁의 건강이다.

보통 나이가 들면 자궁이 냉해지면서 손발과 아랫배가 찬 경우가 많다.

심하면 밑에서 찬바람이 돌 정도로 찬 기운이 느껴진다.

이렇게 자궁이 차거나 습하면 생리가 불규칙하게 되는데, 비록 생리가 정상적이라 하더라도 임신이 어렵게 된다.


자궁과 더불어 불임과 큰 관련이 있는 장부는 신장(腎臟)이다.

신장의 기능이 허해지면 하복부가 따뜻하지 않아 생식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지 못한다.

씨앗이 뿌리를 내리려면 얼었던 땅이 풀려 흙이 부드러워져야 하는 것처럼 배란 및 수정과 착상이 이루어지려면 신장의 양(陽) 기운이 아랫배를 따뜻하게 덥혀 주어야 한다.

또한 신장은 자궁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서 신장 기능이 순조롭지 못하면 난소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생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손발이 차고 허리나 무릎이 시큰거리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간(肝) 기능 역시 임신에 중요하다.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간의 기능이 울체되면 뭉친 간의 기운이 자궁과 난소의 기능에 영향을 줘 생리 불순이나 생리통, 불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즉, 간의 기운이 원활하게 통하지 않으면 내분비계통은 물론, 여성의 생식기 계통의 기능을 조절하는 임맥(任脈)과 충맥(衝脈)의 기운이 나빠져 불임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을 했다가도 태아가 자꾸 떨어져 나가는 습관성 유산도 임맥과 충맥의 부실, 그리고 비장과 신장의 기운 부족으로 나타난다.

한편 노폐물의 적체로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자궁에 지방이 많이 쌓인 습담(濕痰)이나, 혈이 부족한 혈허(血虛)의 경우도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전통의학에서는 여성의 불임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먼저 체질 개선을 통해 신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법을 쓴다.

이를 통해 자궁의 기혈 순환이 원활하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여성의 몸에 쌓인 노폐물과 어혈, 담음(痰飮)을 제거해 준다.

불임증과 통경(通經)에 좋은 차를 소개한다.

 


‖ 통경익잉차(通經益孕茶)


▶ 재료 :

 

 

차나무 뿌리·소회향 각 15그램, 능소화 뿌리 30그램, 묵은 암탉 1마리, 막걸리·황설탕 적당량


▶ 만드는 법 :

차나무 뿌리와 소회향에 막걸리를 적당히 넣고 2~3시간 찐다.

그 즙을 받아 황설탕을 타 놓는다.

그리고 따로 능소화 뿌리와 암탉을 함께 삶아 완전히 익은 다음에 막걸리와 천일염을 약간 넣는다.


▶ 복용법 :

월경이 올 때 차나무 뿌리와 소회향의 즙을 마시고, 월경이 지난 이틀 만에 암탉과 능소화 뿌리를 삶아 고기와 탕 즙을 먹는다.

매달 한 번씩, 3개월 동안 계속 먹는다.


▶ 해설 :

차나무 뿌리는 기(氣)를 내리고, 혈맥을 돌리는 효능이 있다.

또 체해서 쌓인 것을 순통시키고, 혈액순환을 개선해 통리(通利)한다.

 

소회향은 성미가 맵고 향기로우며, 달고 따뜻하므로 온경거한(溫經祛寒)과 이기산결(理氣散結)의 효능이 있다.

따라서 신허(腎虛), 포맥냉적(胞脈冷積), 소복한통(少腹寒痛) 등을 치료한다.

 

막걸리를 약간 넣고 찌는 것은 온경활혈(溫經活血), 산한통경(散寒通經)의 효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 세 가지를 합하여 월경이 올 때 먹는 것은 활혈산한(活血散寒)하고, 어혈을 풀어 포맥을 순통하게 하려는 것이다.


능소화는 혈기를 잘 돌리고, 간경(肝經)과 신경(腎經)으로 들어가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행혈통경(行血通經)과 산어지통(散瘀止痛) 작용으로 부녀의 혈체폐경(血滯閉經)과 불임증을 치료하는 요약이다.

능소화와 묵은 암탉을 삶아서 암탉의 익기양혈(益氣養血) 및 안태익잉(安胎益孕)의 효능을 취했으니, 두 가지를 함께 쓰면 행혈통경과 익기양혈의 효능이 집중되어 잉태를 돕는다.

중국 명나라 때 의원인 장소지(張紹智)도 능소화와 투골초(透骨草)에 묵은 암탉 혹은 수탉을 삶아 통경과 불임증 치료에 사용했으며 효과가 좋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