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장군유적지와 배롱나무꽃
* 탐방일 : 2020. 07. 21(화)
$ 신숭겸장군유적지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호이다.
<신숭겸>
신숭겸(?∼927)은 평산 신씨의 시조로서, 918년 배현경, 홍유, 복지겸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의 건국에 이바지한 인물이다.
고려개국의 1등 공신인 신숭겸 장군은 궁예가 세운 나라인 태봉의 기병장수였다.
그런데 궁예가 왕위에 즉위한 지 몇년 만에 처자식을 살해하고 백성을 혹사하는 등 폭정이 심해지자 동료 기장들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받들어 고려를 개국하였다.
고려 태조 10년(927) 신라를 침공한 후백제 견훤의 군사를 물리치기 위해 왕건과 함께 출전하였다.
왕건이 이 곳 공산싸움에서 후백제군에 포위되어 위기에 빠지자, 왕건의 옷을 입고 변장하여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왕건을 그 틈을 이용하여 홀로 탈출하였다고 한다.
왕건은 장군의 죽음을 애통히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 지금의 춘천인 광해주에서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웠다. 그리고 신숭겸이 순절한 이 곳에 순절단과 지묘사(미리사)를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하고, 토지를 내려 이 곳을 지키게 하였다고 한다.
1607년(선조 40)에 없어진 지묘사 자리에 경상도 관찰사 유영순이 서원인 충렬사를 세워 장군을 모셨으며, 1672년(현종 13)에 표충사는 사액서원이 되었다. 1871년(고종 8)에 서원철폐령으로 표충사가 없어진 뒤에 후손들이 재사를 지어 이 곳을 지켜오던 중 1993년에 표충사를 복원하였다.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유적은 지난 74년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 장절공의 충절을 기리는 위패(位牌)와 영정(影幀)이 모셔져 있으며, 순절단(殉節壇)과 충렬비(忠烈碑)등이 있다.
[장절공]
신숭겸장군을 '장절공'이라고 하는데 '장절'은 태조 왕건이 신숭겸 장군의 죽음을 슬퍼하며 장군에게 내린 시호이다. 시호란 '큰일을 한 인물이 죽은 뒤에 그 공덕을 칭송하여 국가가 내려주거나 다음 임금이 그 앞 임금에게 내려준 이름' 을 말한다. '장절(壯節)'이란 뜻은 '절의가 굳세다.', 곧 '마음이 아주 곧고 꿋꿋하며 의리가 있다'는 뜻이며, 여기서 '공(公)'은 신숭겸 장군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충절비]
신승겸 장군의 충절을 기리는 비석으로, 표충재 동편 석축 위에 있다.
1607년(선조40)에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외손 유영순이 영남 유림, 후손들과 의논하여 장절공 사우를 지을 때 같이 세웠으며, 예조판서 신흠은 글을 짓고, 여주목사 김현성을 글씨를 쓰고, 안변도호부사 김상용이 전자를 썼다.
1781년에 비각이 허물어지고 비가 넘어진 것을 관민이 힘을 모아 다음해 8월에 바로 세웠으며, 같은 해에 비각도 고쳐 세웠다.
지금있는 비각은 1979년 대구시에서 고쳤다.
용머리에 거북 받침이 인상적이다.
[표충재와 동재 서재]
표충재는 뒤로 높다랗게 사당을 업고, 순절단이 내려다보이는 왕산 중턱에 있다.
표충재라는 편액이 걸려있는 중심 건물과 동재와 서재가 있다.
표충사는 일명 표충서원으로 불리면서 유림에서 지켜오다가 1871년 (고종 8)에 훼철된 뒤에는 순절단을 단소로 후손들이 향사를 받들었다.
여러해 동안 영남 족친들이 건축비를 모아서 1888년(고종 25)에 표충사 옛터에 완공했다.
표충재 현판은 충익공 신정희가 썼다. 표충재 왼쪽 문을 열고 들어가면 신숭겸 장군의 높은 절개를 추모하여 건립된 강당인 '상절당'이 있다.
)
# 지도
@ 동영상
* 사진첩
지묘동 왕산 앞에 커다란 해태상이 눈을 부릅뜨고 신숭겸장군유적지를 지키고 서있다
신숭겸장군상뒤로 보이는 왕산
이곳은 신숭겸이 황포를 대신 입고 적을 속여 왕건을 무사히 구출해낸 신묘(妙)한 지(智)혜의 땅이라고 해서 마을 이름이 지묘동이 되었다.
마을 뒷산(山)이 곧 왕(王)건이 넘어서 도망을 친 왕산(王山)이다.
이 근방이 왕건이 대패하고 신숭겸장군이 죽은 곳이다.
기러기 왼쪽날개를 쏘는 형상의 신숭겸장군상
홍살문
연화대
신숭겸장군 진짜 무덤이 아닌 가묘인 표충단(表忠壇)
비각과 비
표충서원
'老巨樹 保護樹 記念物 > 大邱 老巨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가헌과 배롱나무 꽃 (0) | 2020.07.27 |
---|---|
하목정과 배롱나무꽃 (0) | 2020.07.25 |
인봉 소년대 고고송 / 도장능선 이절송 (0) | 2018.12.17 |
수성못 왕버들 (0) | 2018.09.16 |
香山 側柏樹林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