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육기와 경맥 및 체질분류
▣.오행육기를 설명하여야 하는데 우리 인간의 몸에서 각 부분을 오행과 육기를 설명해서 시침[施鍼:침을 몸에 놓는 것을 말함]할 방도와 응용의 방도를 말할 것이다.
▣.1.목[木] 2.화[火] 3.토[土] 4.금[金] 5.수[水] : 오행[五行]
1.목[木] 2.화[火] 3.상화[相和] 4.토[土] 5.금[金] 6.수[水]
인간의 오장육부를 각 육기에 해당하는 장부[腸腑] 설명 후 각 장부의 질환과 시침의 해당 부위와 발병의 질환들을 설명할 것이다
▣.1.목[木] : 간[肝]과 담[膽]이 목부에 해당한다. 또한 간은 음[陰] 에 해당하는 것이며 (ㅡ)이고 담은 양[陽] 에 속하며 (+)에 속하는 것이다
2.화[火] : 심장[心腸] 소장[小腸]이 화에 해당 하는 것이다. 심장은 음이고, 소 장은 양이고 심장은 마이너스(-) 고 소장은 풀어스(+)가 되는 것이다
3.상화[相和] : 심포[心包] 와 삼초[三焦]는 상화의 기에 당하는 것이고 심포는 음이고 삼초는 양이며 심포는 (ㅡ) 삼초는( +) 가 된다
4.토[土] : 위장[胃腸]과 비장[脾臟]은 토에 해당하고 위는 양이고 비장[지라]은 음이고 양은 + 고 음은 ㅡ가 된다.
5.금[金] : 폐[肺]와 대장[大腸]은 금에 해당하고 폐는 음에 속하며 대장은 양에
속하며 폐는 ㅡ고 대장은 + 가 된다
6.수[水] : 신장[腎臟(콩팥)]과 방광[膀胱]은 수에 해당하고 신장은 콩팥이며 음 에 속하고 방광(오줌통)은 양이 되고 신장은 ㅡ가되고 방광은 +가된다.
◉.사람을 치료하거나 질병의 상태를 알아 진료하고자 할 때는 우선 체질[體質]과 맥[脈]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하므로서 어떠한 침을 어떠한 법수로 할까를 식별해야 하는 것이다. 즉 맥진[脈診-맥을 잘 살펴봄]하여 정확한 발병요인과 병증의 상태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우선 체질을 음양별로 분류해 보자
▣.음양체질분류[陰陽體質分類]
양체질[陽體質] 1. 양명인[陽明人] : 이마가 오관에 비해 매우 크다(例:박정희 전두환
2.태양인[太陽人] : 얼굴 전체로 보아 오관이 크다
3.소양인[少陽人] : 몸체에 비하여 얼굴 이 크다
음체질[陰體質] 1.궐음인[厥陰人] : 몸체가 얼굴에 비해 크다
2.소음인[少陰人] : 몸체에 비해 사지가 크다
3.태음인[太陰人] : 사지에 대해 수족이 크다
▣맥[脈] : 촌구맥[寸口脈] 과 인영맥[人迎脈]으로 4곳을 진맥한다.( 단 여기서 맥진[脈診-진맥을 하여 병명을 찾아냄]을 설명함에 내경(황재내경) 의 방법으로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진하는 방법이라는 것은 산 침의 방법으로 네 손가락을 응용해 손목의 촌구맥에서 한다}
1. 촌구맥 : 양 손의 손목을 잡아 맥의 뛰는 양태로 알아낸다.
2. 인영맥 : 목부위로 위 경맥의 대영맥[大迎脈] 바로 아래맥으로 인영 맥으로 양편 목부위로 진맥 한다
▣.각종여러침법[鍼法]
1. 내경침법 : 황제내경침법 - 공손헌원
2. 자오유주운침법 : [의학입문 기록침법] 각일진의 날 혈이 열리는날에 시침
3.사암도인 오행침법 : 임진왜란 무렵 승려{사암오행 침구요결}
4.수지침 : 유 태우 <이침.족침 법 >
5.사관침법 : 벽해선사 <승려>
6.구궁팔괘침법 : 기경팔맥 열리는 침법
7.서강월 침법
8.산침법 : 통산 이용되는 요법이고 보통일반 한의대 등의 상용 침법이고 맥 진으로 보다는 병명등으로 예견하여 시침하는 통상적 침법
◉.경맥[經脈]의 여러 종별
1.족지궐음간경[足之厥陰肝經] 2.족지소양담경[足之少陽膽經]
3.수지소음심경[手之少陰心經] 4.수지태양소장경[手之太陽小腸經]
5.수지궐음심포경[手之厥陰心包經] 6.수지소양삼초경[手之少陽三焦經]
7.족지태음비경[足之太陰脾經] 8.족지양명위경[足之陽明胃經]
9.수지태음페경[手之太陰肺經] 10.수지양명대장경[手之陽明大腸經]
11.족지소음신경[足之少陰腎經] 12.족지태양방광경[足之太陽膀胱經]
▣.기경 팔맥[奇經八脈]
1.목[木] =대맥[帶脈] 2.화[火] = 독맥[督脈] 3.상화[相和] = 음유맥[陰維脈]. 양유맥[陽維脈] 4.토[土] = 충맥[衝脈] 5.금[金] = 임맥[任脉] 6.수[水]=음 교맥[陰蹻脈] 양교맥[陽蹻脈]
◉◎. 현맥[弦脈]
현맥이란 목(木)부에 속하며 간(肝)과 담(膽-쓸개)에 속하며 이 맥(脈)은 가늘고 길며 미끄럽고 특이점은 긴장감이 감지되는 것이다. 앞으로 모든 질병을 맥진으로 감진하여 알게 되는데 손목의 촌구[寸口]맥과 목의 인영[人迎]맥을 비교 하여 어느 부위의 발병을 알게 되는 것으로 성(盛)하다로 맥의 크기를 알게 되는대 1성 2성 3성 으로 표기 하고 비교 하게 되고 여기 까지를 일반적 평맥이라하고 3성 4성으로 맥이 크게 확장되면 이는 상당한 중환이 될 것이다.또한 맥이 6성 7성으로 더 크게 확장되면 이는 대단한 중병이 됨을 맥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령 촌구맥[寸口脈]이 인영맥[人迎脈]보다 4성(배)~5성(배)이 확장 됐다하면 주로 기경팔맥[奇經八脈]에 병이 났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임맥(任脈) 독맥(督脈) 충맥(衝脈) 대맥(帶脈) 음유맥(陰維脈) 양유맥(陽維脈) 음교맥(陰蹻脈) 양교맥(陽蹻脈) 등에서 질병이 생겨 주로 당뇨나 비만.중풍.고혈압등 성인병 같은 중환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음은 간경(肝經)심포경(心包經)심경(心經)신경(腎經)비경(脾經)폐경(肺經) 등을 돌다 무었이 잘못되어 죽게 되는 것이다.
맥[脈]이 6성(배)~7성(배)로 확장이 되면 위에서 설명하듯 기가 제 맘대로 제 멋대로 흩나가게 되는 대 이런 경우를 사해[四海]가 다 열렸다고 하는 것이다
흔한 이야기로 도를 닦는 다. 또는 기를 연마한다. 라는 것을 이곳에 대입 하여 설명한다면 기를 잘 연마 하여[단전호흡 같은 것] 생기 나 혹은 원기를 얻어6~7배 나 3~4~5 배의 생체 에너지를 얻어 득도하여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면 사해[四海]에 기를 자유자제로 보낼 수 있게 되므로 초능력이 생기게 될 것이고 예수님처럼 오병이어[五餠二魚]의 능력도 생기게 될 것이다 반대로 인영맥이 4성(배)~5성(배)로 커지면 어떻게 되는가도 알아보자. 이때는 독맥[督脈]대맥[帶脈]양유맥[陽維脈]양교맥[陽蹻脈] 이 확장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이 4곳에 병이 침투케 될 것이고 중환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대게 찬공기[냉기] 가 침투케 되는 것이고 우리는 온혈동물 이므로 당연이 온기가 들어와야 하는데 기가 삐딱하게 되어 잘못 인입한 것이 되므로 질병에 걸리게 되는데 4~5성으로 크게 편차가 되므로 중환이 되는 것이다. 역시 인영(人迎)맥도 6~7성으로 틀어져 켜졌다고 하면 이도 도를 트거나 통하거나 각별한 노력으로 초능력을 개발하거나 발휘하여 기를 평탄하고 고르게 함으로 해서 치료해야 하는 것이다. 몇 가지를 예들어 생시의 방편과 현맥시의 특이를 설명해 보리라. 지방간 이란 걸 어떻게 쉽게 고쳐 볼 수 있나? 매운 식물이나 생선 등을 잘 조종하여 몸에 맞게 적당이 먹는다면 기름이 녹게되어 에너지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방간시는 통상 심포삼초[구삼맥] 홍맥[洪脈]이 될 것이다. 간이 나쁘거나 약할시 식초를 잘 응용해 적당량을 먹으면 쉽게 치유되는데 반드시 맥진[脈診]하여 현맥[弦脈]일 때 식초를 적당이 마신다면 그 효과는 바로 나타나는 것이다. 위에서 현맥이란 가늘고 길고 미끄럽다 했다. 간.담의 맥인 현맥[弦脈]은 긴장감이 특이 하므로 ㅡ 형으로(가늘고 길고 긴장감) 보고 전선(삐삐)선 속의 강철로 된 선을 연상해 보기 바란다. 가령 발이나 종아리에 쥐가 났다고 하자 이때 맥진을 하면 촌구 맥 인영 맥에서 현맥(弦脈)이 감지 될 것이다. 크게 애쓸필요 없이 신 식초를 적정량을 음복하면 바로 쥐는 풀릴 것이다. 손톱이나 발톱이 빠지거나 찌그러지거나 새로나 가로로 흠이나 금이 생기면 과일이나 채소등을 신맛의 것으로 먹는다면 바로 잡히게 되는 것이다. 가령 비타민 씨(c)를 상당량을 먹든가 사과나 자두.딸기등의 신맛의 과일 적당량을 먹으면 바로 잡히게 될 것이다. 눈물이 자주 나거나 고관절의 문제도 신맛의 과일이나 고소한 맛의 들게나 참께의 기름등을 먹으므로서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것이다. 현맥이 맥진 되면 부(浮)침(沈)지(遲)삭(數) 이라는 4가지 형태의 맥의 양태가 느껴지게 될 것이다. 부[浮]란 맥위에 손가락이 살짝 닿기만 하여도 바로 알아 지는데 이는 맥 상태가 떠 있다는 의미 일태고, 침[沈]이란 약간은 눌러야 잡일 것이다. 지(遲-더듬거릴지)는 맥이 약간은 느리다는 것이다.삭(數-수학이란 수자로 보지않고 자주 빨리 로 해석)은 빠르다는 의미다. 맥은 약간은 느린 것이 염증이 없고 좋은 것이나, 빠르다는 것은 염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가령 감기 같은 것은 몸이 차고 맥이 급(急 )하고[빠름]추워서(冷) 생기는 병이다. 쉽게 말해 맥진을 해보니 빠르고 톡톡 뛴다고 하면 이는 급하다 할 것이고
맥진시 부드럽고 완만하게 뚼다면 실제로 열이 많을 것이다.가령 1분에 60번 이상정도는 빠르다 하는데 염증이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1분에 150~160회가 뚼다면 환자는 죽을 수밖에 없을 것이고 1분에 110~120회가 뚼다면 환청이 [헛것]들리고 헛것이 보일 것이다. 입에서 입 냄새가 나고 코에서도 냄새가 날것이다. 우선 간.담에 병이 있게 되면 콧등 가운데가 퍼렇습니다. 그래도 걱정없다. 신맛 나는 것을 먹으면 싹 해결된다. 신맛 중 가장 멋지게 시고 효험 좋기로는 비타민C 가장 좋은 것이다. 가령 간이 나쁘거나 문제가 있으면 결벽증이 심하여 계속 쓸고 딲는다. 집에 누가 오거나 손님이 왔다 가기해도 더럽다고, 걸레 등으로 쓸고 닦는다. 간이 문제 있어 나쁘면 소리를 지르거나 한숨을 잘 쉬게 된다. 반대로 간이 건강하고 좋으면 인자하고 착할 것이다. 몸에서 노린내가 나고 신 내나며 얼굴이 푸르스름할 것이다. 노하기를 잘하며 약 올리고 소리를 잘 지르고 부르짓 으며 심술부리고 두드려 페기도 잘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에는 식초를 적정량을 복음 하면 금시 깨끗이 치유 가 될 것이다.
간이 좋을 경우는 문필가나 소설가 미술가 등 계획하고 설계하는 사람 행정가 등이 많으며 이러한 사람이 많습니다. 간에 문제 있는 사람은 봄이 되면 더 아픔니다. 또한 새벽 해뜨기 전이 더 아픔니다. 또한 바람을 싫어 합니다 가령 버스를 타고 여행 중이라면 간이 문제인 사람은 창을 자꾸 닫으려 할 것이다. 눈물도 많이 날것이다. 쉽게 결단 을 낼 것이다. 가령 도로가에 노점을 냈다면 잠깐만 에 치우고 또 잠간 만에 치우며 식당을 하다 잠깐 뒤에 양품점 으로 바꾼다든가 두어 달 뒤에 개소주 집으로 바꾸는 등 변덕이 죽 끓듯 한다. 목형체질은 면상(얼굴)이 길다. 성질이 착하고 길며 순하다. 다시 말해 얼굴이 긴 사람은 간이 좋은 사람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면상(얼굴)이긴 목(木 ) 체형
의 사람은 화려한 예술가라든가 소설가 환상적이며 연애도 잘하는 사람이 된다. 간이 나빠서 현맥이 나오는 사람은 입이 쓰게 됩니다. 입이 써서 쓴물이 올라오면 쓴 것이 필요케 될 것이고 입이 서서 신물이 올라오면 신 것이 필요케 됩니다. 또한 입이 달아 단물이 올라오면 단 것이 필요하게 되고 입이 떯으면 떯은 것이 입이매우면 매운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싱거우면 짠 것을 먹으므로서 모든 질병은 이렇게 치료가 되는 것이다. 근육통이나 밤에 쥐가 나서 꼼짝을 못하고 허리를 구부렸다 폇다를 할 수 없는 요통(허리아픈것)이나 관절염 도 간이 나쁜 것에서 발생 한다. 넷째 발가락이 꼬부라진 것 은 쓸개가 나빠…서 생긴 것이다. 남 약 올리거나 심술부리는 것은 쓸개가 병난 것으로 봐야 한다. 편두통 은 역시 간이 나빠서 로 봐야한다. 편도선이 부어 아파도 수술하여 잘라버리지 말고 신 것(식초나 자두 앵두)을 먹어 치료하면 되는 것이다. 새벽에 배가 아프고 배꼽 좌측에 딱딱한게 만져지고 탈장이 생기는 것도 간이 나빠서 근육의 긴장이 풀어져서 생기는 것이니 수술하는 것 보다는 신맛의 것을 먹어 간을 치료하면 깨끗이 치료가 되는 것이다. 간이나 담이 큰 사람은 얼굴이 길다고 했다. 얼굴이 갸름하고 맥이 가늘고 긴장된다고 했으므로 앞으로 이러함을 잘 비교 검토해 신맛의 식음료를 먹어 함부로 짤르는 일을 함부로 하기보다는 간을 쉬이 낫게하도록 익히기 바란다.
'診斷學 > 체질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의학으로 하는 체질감별법 (0) | 2019.08.17 |
---|---|
체질진딘법의 허실 (0) | 2019.08.17 |
운기의학(運氣醫學) 진단법 (0) | 2019.08.17 |
동전 체질 감별법 (0) | 2019.08.17 |
체질별 디스크 발생 원인 (0) | 2017.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