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巨樹 保護樹 記念物/樹木 圖鑑

참오글잎버들

초암 정만순 2019. 6. 27. 18:36



참오글잎버들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높이는 2~5m이고, 가지가 옆으로 퍼진다.

잎은 좁은 피침 모양으로 길이는 1~6.5cm, 폭은 0.5~1.2cm이다. 4

월에 암수딴그루인 꽃이 유이() 꽃차례로 잎보다 먼저 달린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삭과()를 맺으며 5월에 익는다. 강가나 개울가에서 자란다.

한국(강원, 경북, 평안, 황해), 만주, 남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

높이 2-5m로서 가지가 옆으로 퍼지고 일년생가지는 녹색 또는 갈색이며 나무껍질은 회록색이다.


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5-14cm, 폭 15-19m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맥은 오므라지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뒤로 말린다. 엽병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없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암수딴그루로 꼬리모양꽃차례이다.

웅화수()는 길이 15-20mm로 꽃대축에 털이 있으며 포는 도란상 긴 달걀모양으로 첨두이고 윗부분은 흑색이며 긴 털이 있고 꿀샘은 1개, 수술은 2개이며 수술대에 털이 없다.

자화수()는 길이 2-3cm이고 포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에 검은 빛이 돌고 밑부분은 붉은 빛이 돈다.

씨방은 대와 털이 있으며 길이 1.5mm 정도로서 긴 달걀모양이고 암술대는 짧으며 암술머리는 4개이고 꿀샘은 1개이며 씨방의 대보다 짧다.

열매

삭과는 달걀모양이고 약간의 털이 있으며 5월에 익는다.


용도            

세공, 밀원, 호안, 펄프의 원료로 이용된다.


유사종

• 매자잎버들 :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mm, 폭 4-12mm이다.
• 왕버들 :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 떡버들 : 잎은 원형,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 길이 3-14cm, 폭 2-7cm,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꽃버들 : 잎은 좁은 피침형, 길이 5-20cm, 폭 10m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뒤로 말리며, 뒷면은 융털이 밀생, 은백색이다.
• 여우버들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뒷면은 흰색이다.
• 유가래나무 : 여우버들에 비해 일년생가지와 잎에 털이 없다.
• 백산버들 : 잎 뒷면에 갈색 미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평남 소백산에서 자란다.



참오글잎버들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는 드물게 관찰되고, 추위가 혹독한 중북부지방에서 출현빈도가 높다.

보통 비옥한 입지에서 살며, 식물사회학적으로 냉온대 중부 · 산지대 및 북부 · 고산지대 요소다.

서식처는 중남부지방에 흔하게 사는 선버들과 고리버들(키버들)이 사는 곳과 대응된다.

한반도 중북부로부터 중국 내몽골과 만주, 연해주가 분포중심지인 대륙성으로 분류된다.

북한지역과 만주지역의 더러운 도랑물이 고인 습지에서 자주 관찰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강, 황강, 남강, 우포늪 등 중남부 하천 유역에서 일부 분포가 알려졌으나, 그 집단의 크기가 그리 큰 편이 아니다.

참오글잎버들이 우점하는 참오글잎버들-달뿌리풀군집이라는 식물사회가 남강 일대에서 처음으로 기재된 바가 있고, 선상구간()의 세사()가 섞인 모래땅에 발달한다.

참오글잎버들은 일본열도에는 분포하지 않고, 이와 닮은 소위 사할린버드나무(Salix sachalinensis)란 종이 홋카이도()에 흔한데, 교목성으로 대륙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참오글잎버들은 선버들과 많이 닮았다.

하지만, 잎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듯 오그라들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한글명 참오글잎버들)도 그런 잎 모양에서 유래하고, 한자명(, 권변류)도 마찬가지다.

오글을 오굴 또는 오골로 표기한 기록도 있지만, 모두 1930년대 이후에 기재한 것으로 한글 어휘상 틀린 표기다.

북한과 만주에서는 물가의 흙 침식을 방지하고, 제방 보호나 습지주변을 차폐()하며, 밀원 자원으로 이용한다.

어린 개체는 만주자작나무나 거제수나무의 원격현상(, allelopathic effects)으로 생육에 방해를 받는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만주나 백두산 해발이 낮은 곳의 습지나 개울가에서 자주 관찰된다.

북한지역에는 해발 300~1,700m 사이에 주로 서식한다.




'老巨樹 保護樹 記念物 > 樹木 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병꽃나무  (0) 2019.06.29
검노린재나무  (0) 2019.06.29
땅비싸리  (0) 2019.06.26
골담초  (0) 2019.06.23
소태나무  (0) 201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