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뇌 신경 정신계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

초암 정만순 2014. 3. 24. 17:06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


※ 槪說
口眼喎斜 혹은 面癱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연령과 관계없이 발병하는데 비교적 靑壯年에게 많다. 대개 아무런 前驅症도 없이 돌연 안면 반쪽의 表情筋전체에마비가 와서 입이 健側으로 끌려가고, 患側은 마비가 오며 눈은 뜰 수 있으나 완전히 감지 못하는 마비성 질환이다.
* 腦橋에 있는 안면신경핵이나 그 시작부가 장애되어 한쪽 안면신경지배근육이 마비된 상태
* 감각신경섬유가 손상되면 혀의 2/3 앞부분에 미각장애가 온다.
* 傳統醫學的으로 口眼喎斜라고 한다.
※ 症狀
* 갑자기 한쪽얼굴근육에 마비증상이 있으면서 얼굴이 뻣뻣하다.
* 귀바퀴의 뻐근하고 둔한 통증이 있다.
* 소리가 크게 들리고(청각과민) 때로 혀 앞 2/3부위의 미각이 약해지며 침, 눈물분비 장애발생.
* 속발성으로 반대쪽 운동 및 지각장애, 외선 신경장애, 소뇌장애가 올 수 있다.
※原因
1. 傳統醫學
外感風寒, 風濕邪나 風痰이 얼굴부위에 경맥순행을 장애하거나 기혈부족으로 안면부위 근육에 영양공급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생긴다.
2. 現代醫學
* 특발성 안면신경장애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바이러스성, 순환장애, 면역이상성, 寒冷등이 원인으로 된다.
* 속발성은 腦橋종양, 경색, 출혈, 頭蓋低종양, 골절, 뇌막염, 腦蜘蛛膜炎 등으로 일어난다.
* 中樞性 안면신경마비는 皮質下 핵 부위종양, 출혈, 경색, 뇌상, 염증 등으로 생긴다.
* 가슴앓이(홧병), 정신적 피로, 胃熱 80%(胃經의 滯氣), 頸椎 10%, 腦側 5%, 顎關節 5%
◈ 辯證施治
1. 風邪外襲. 口眼喎斜 ~ 風池, 地倉, 頰車, 四白, 陽白, 合谷
* 갑자기 口眼咼斜가 발생하고 顔面部 감각이 이상하고 귀 뒤에 은근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惡寒發熱 머리가 아프면서 뼈마디가 쑤신다. 舌淡紅 薄白苔 脈浮數 또는 弦細하다.
* 配穴 ~ 惡寒發熱과 동시에 머리가 아프고 뼈마디가 아픈 등의 증상이 있으면 大椎를, 눈물이 흐르면 攢竹 또는 魚腰를, 귀 뒤에 통증이 있으면 翳風을, 味覺이 감퇴된 경우는 廉泉을 配合한다.
2. 虛風內動. 口眼喎斜 ~ 頰車, 地倉, 迎香, 四白, 顴髎, 風池, 足三里
* 口眼喎斜가 발생하고 안면부가 마비되거나 경직되는 느낌이 들며 顔面筋肉이 경련을 일으키고 감정이 격해지거나 이야기할 때 경련이 나타나거나 눈을 감은 후에는 눈을 뜨기가 힘들다. 舌淡 薄白苔 脈弦細하다.
* 配穴 ~ 눈을 뜨기 힘들 경우에는 攢竹. 太陽을, 입이 삐뚤어져 바로잡기 힘들 경우에는 水溝. 承漿을 配合한다.
◈ 灸堂治法
1. 뜸치료
* 手足陽明經의 穴을 위주로 하고 手足少陽, 手足太陽經의 穴을 보조적으로 쓴다.
* 전신조정 목적으로 足三里, 曲池, 關元, 天髎, 身柱, 肝兪, 腎兪, 中脘에 뜸을 매일 한다.
* 국소적으로는 患側의 風池, 完骨, 懸顱, 肩井에 5장씩 연 3일하고 3일 쉬었다가 한번하고, 그리고 5일 쉬었다가 한번하고, 7일 쉬었다가 한번하고, 7일가량 쉬도록 하면 대개의 口眼喎斜症은 거의 다 완치가 된다. 이상의 날짜에 완치되지 않을 시는 전신요법이나 국소요법을 같이 매일 하여야 한다.
2. 침치료
* 健側 ~ 足臨泣, 陽陵泉, 風市, 間使, 風池, 翳風, 頰車, 地倉, 迎香, 下關, 太陽, 陽白
* 처음 口眼喎斜에는 健側만 자침해도 효험이 있다. 그러나 다시 돌아가므로 양측에 다 자침.
※ 參考
* 이 병은 예후가 원인에 따라서 다르나 침구치료로써 많은 효과를 내는 병중의 하나이다.
* 발병 후 빠를수록 경과는 좋고, 마비가 되어서 여러 달이 된 것은 완치를 바랄 수는 없다.
◈ 統治方
* 主用穴 - 牽正, 風池, 地倉, 四白, 合谷, 陽白
* 配用穴 - 人中, 夾承漿, 太陽, 下關, 頰車, 內庭, 翳風
※ 操作
자침의 深度는 얕게 하고 안면은 透刺를 한다. 患側을 자침하는 것이 상례이나 患側 健側 交替取穴하여도 된다. 患側은 약자극, 健側은 강자극을 준다. 매일 1회 또는 격일 1회 치료한다.
※ 症狀別 取穴
* 健側 ~ ① 間使(心包) - 심통, 심계, 위통, 열병
② 合谷(大腸) - 두통, 현운, 상체 전부
③ 足三里(胃經) - 위통, 장명, 하체 전부
④ 太衝(肝經) - 두통, 어지럼, 입 비뚤어진 것
* 입만 돌아간 것(患側, 留鍼)
① 下關(胃經) - 面神經痲痺 (主治穴) ② 翳風(三焦) - 눈, 입 비뚤어진 증상
③ 地倉(胃經) - 입 비뚤어진 증상 ④ 人中(督脈) - 혼미, 정신적 마비
⑤ 承漿(任脈) - 面神經痲痺 침 흘림 ⑥ 迎香(大腸) - 코 막힘, 비염
⑦ 巨髎(胃經) - 面神經痲痺 ⑧ 瞳子髎(膽經) - 바람, 눈물, 안통, 두통
⑨ 大迎(胃經) - 面神經痲痺 ⑩ 頰車(胃經) - 面神經痲痺, 치통
* 눈 痲痹 추가(患側, 留鍼)
① 印堂(奇穴) - 面神經痲痺, 반신불수 ② 陽白(膽經) - 눈 마비, 두통, 어지럼
③ 攢竹(膀胱) - 눈 마비, 약시, 미릉골통 ④ 絲竹空(三焦) - 두통, 눈물
⑤ 承泣(胃經) - 눈 떨림, 시신경 위축, 영풍유루
◈ 經驗方 - 腦神經 7番
翳風(起始点), 耳門(上眼瞼), 陽白(眼瞼痲?), 瞳子髎, 承泣, 地倉(입의 痙攣), 天柱(後頭部 痙攣)
◈ 平衡針法(鼻炎穴)
(1) 主治 - 삼차신경통, 안면신경마비, 면탄후유증, 하악관절염
(2) 位置 - 下關
(3) 方向 - 鼻炎穴에서 迎香穴 방향으로 4cm 가량 透刺.
◈ 옛 醫書 記錄 및 治療方法
1. 治療原則 - 顔面神經의 經氣를 疏通시킴을 爲主로 한다.
2. 刺針
* 主用穴 - 風池, 陽白, 地倉, 四白, 合谷
* 配用穴 - 人中, 夾承漿, 太陽, 下關, 足三里, 內庭, 和髎
3. 方法
四白穴은 直刺 또는 위에서 아래로 橫刺한다. 陽白穴은 魚腰로 透刺한다. 地倉穴은 頰車로 透刺한다. 人中溝의 歪斜가 심하고, 流涎이 되면 人中. 和髎를 추가한다. 太陽에서 頰車로 透刺한다. 기타 各穴을 적절히 선택하여 응용한다. 上下의 穴을 선택하여 치료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 자침의 깊이는 얕게 하고 중자극을 준다. 每日 또는 隔日에 1회 치료한다. 合谷을 제외하고는 모두 患側의 穴位를 취한다.
4. 處方意義
陽白, 地倉, 四白, 人中, 夾承漿, 太陽, 下關, 和髎는 모두 顔面神經의 支配筋에 있으며, 이들 穴位를 취하는 것은 모두 局所取穴法에 따른 것이다. 風寒의 邪를 疏解시키기 위해 風池를 취한다. 顔面은 手足의 陽明經의 분야에 속하므로 合谷, 內庭, 足三里를 配用하여 陽明經의 經氣를 疏通시킨다. 이들은 遠隔取穴의 방법이다.
5. 處方實例
* 新鍼灸學 - 翳風, 天容, 聽會, 巨?, 四白, 攢竹, 絲竹空, 曲鬢, 頰車, 瞳子髎, 地倉, 和髎
* 神應經 - 口眼喎斜에는 聽會, 頰車, 水溝, 列缺, 太淵, 合谷, 二間, 地倉, 絲竹空
* 鍼灸資生經 - 口眼喎斜에는 聽會, 頰車, 地倉. 우측으로 歪斜된 경우는 좌측에 施灸하고, 좌측으로 歪斜된 경우에는 우측에 施灸한다. 艾炷는 半米粒大로 各各 14壯을 施灸한다.
* 鍼灸大成 - 口眼喎斜는 먼저 地倉, 頰車, 人中, 合谷에 刺針한다. 治癒후 1個月이나 반個月이 지나 재발하는 경우는 聽會, 承漿, 翳風에 刺針한다.
* 普濟方 -口喎에는 溫溜, 徧歷, 二間, 內庭
◈ 中國名醫治療方法
♣ 치료법 1(辨證治療)
1. 風寒閉阻經絡型(祛風散寒, 溫經通絡)
* 主用穴 ~ 合谷, 地倉, 承漿, 頰車, 人中, 迎香
* 配用穴 ~ 睛明, 攢竹, 風池, 百會, 太陽
2. 風熱閉阻經絡型(疏風淸熱, 活血通絡)
* 主用穴 ~ 外關, 翳風, 頰車, 承漿, 人中, 迎香
* 配用穴 ~ 合谷, 下關, 攢竹
3. 肝腎陰虛 風痰阻絡型(滋水養肝, 祛風化痰通絡)
* 主用穴 ~ 地倉, 頰車, 人中, 合谷, 太衝
* 配用穴 ~ 風池, 百會, 太谿, 三陰交, 足三里, 曲池, 豊隆, 陰陵泉
* 治療方法
健側을 먼저, 患側을 나중에 刺針하며, 매일 1회, 매회 20분간 留鍼한다. 健側에서는 瀉法을, 患側에서는 地倉, 頰車에 艾條灸한다(各穴에 10분씩). 10일을 1요정으로 한다. 그리고 辨證1, 3은 漢藥을 함께 使用한다.
* 漢藥處方
타사천선산(鱓麝天仙散) ~ 생초오, 백급, 자남성, 강잠, 양백부자 各30g, 전갈 15g, 사향 약간 등을
분말로 하여 6분등 한 것을 신선한 자라피로 반죽하여 鍼灸治療후 즉시 患側에 붙인다.
* 體要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안면신경이 경상돌기공으로 부터 안면으로 나오는 도중에 浮腫을 일으킨 것을 原因으로 보며 傳統醫學에서는 주로 精氣가 內虛한데 外邪가 그 틈을 타고 침입한 것으로 본다. 臨床에서는 鍼刺치료로 경락을 소통하고, 기혈을 조화한 것이며, 鱓麝天仙散을 환부에 붙임으로 효과를 보게 한다.
♣ 치료법 2(辨證治療)
1. 風寒閉傷絡型
* 主用穴 ~ 攢竹(透)魚腰(透)絲竹空, 地倉(透)頰車, 下關, 陽白, 風池, 合谷
* 配用穴 ~ 睛明, 迎香, 四白, 太衝
2. 風熱中絡型
* 主用穴 ~ 攢竹(透)魚腰(透)絲竹空, 地倉(透)頰車, 大椎, 風池, 合谷, 四白
* 配用穴 ~ 陽白, 支溝, 足三里
3. 風痰阻絡型
* 主用穴 ~ 攢竹(透)魚腰(透)絲竹空, 地倉(透)頰車, 四白, 風池, 合谷, 豊隆
* 配用穴 ~ 耳門, 翳風
* 治療方法
發病 제1주에는 每日 침자 1회, 7회를 1療程으로 한다. 前 3일은 매일 健側과 患側을 刺針하며, 健側은 瀉하고 患側은 補한다. 제 4일에는 健側을 隔日로 자침하되 淺刺수법으로 많이 瀉하고 적게 補한다(捻轉補瀉法). 20~30분 留鍼하며 2회 行鍼. 경우에 따라서 뜸을 뜰 수도 있다. 發病 제 4주에는 每日 患側을 1회 자침하고, 7회를 1療程으로 한다. 同時에 健側을 隔 3일로 1회 자침한다. 手法은 深刺로 多補少瀉하거나 혹은 熱補手法을 쓴다. 20~30분 留鍼하고 2회 行鍼한다. 또한 매일 밤 자기 전에 안면부 穴位에 艾條灸할 수 있다. 各穴 3~5분간.
* 體要
空虛한 脈絡에 風寒이 陽明經과 少陽經에 침범하여 경맥의 阻滯失養을 일으킨 것이다. 手足 陽明經 穴位를 위주로, 手足 少陽經 穴位를 補하고, 국부近端 透刺와 循環經의 遠端을 取穴함으로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氣血을 調理하고, 경락을 통하게 함으로 증상을 소실시키는 것이다.
♣ 치료법 3
1. 局部淺刺法
* 主用穴 ~ 風池, 翳風, 地倉, 頰車, 下關, 四白, 陽白
* 配用穴 ~ 睛明, 迎香, 四白, 太衝
* 治療方法
발병시간이 짧으면 아직 病이 表에 있기 때문에 주로 국부를 取穴하여 淺刺법을 채택한다.
刺針후 30분 留鍼하고, 매일 1회 치료함.
2. 遠近取穴法
* 主用穴 ~ 地倉(透)頰車, 下關(透)頰車, 翳風, 人中, 承漿, 顴髎, 合谷, 太衝, 內庭
* 配用穴 ~ 高齡에 腎虛를 수반한 경우에는 補法으로 三陰交를 配穴
* 治療方法
病程이 비교적 오래되거나 혹은 연령이 비교적 높은 경우 局部取穴에 遠端取穴을 배합한다.
3. 八脈交會穴을 이용한 治療
* 主用穴
◦ 1組 ~ 列缺, 照海
◦ 2組 ~ 後谿, 申脈
* 治療方法
수차례 치료를 하였으나 아직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에게는 八脈交會穴을 이용한 치료를 시행한다. 위의 방법을 응용할 때는 주로 平補平瀉法을 채용하며, 연령이 비교적 많거나 病程이 비교적 오래된 경우는 補法을 주로 사용한다. 초기에는 매일 1회 鍼刺 치료하며, 결과를 보아가며 격일에 1회 치료한다.
* 體要
안면부위의 자침에는 淺刺하고 深刺해서는 안되며, 平刺透穴의 효과가 비교적 좋다. 자극수법은 가볍게 하여야 하며, 强刺戟을 주어서는 안 된다. 局部穴位의 자침에서 補함이 마땅하며 瀉해서는 안된다. 만일 환자에게 實熱이 있으면 遠端循經에서 取穴하여 瀉法으로 배합 치료한다. 留鍼시에는 환자와 對話함으로 언어단련 훈련을 실시하고 나면 언어장애 치료효과가 큰 것이 증명된다.
◈ W.H.O 鍼法
取穴 : 협차(頰車), 지창(地倉), 협승장(夾承奬), 영향(迎香),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操作 : 지창(地倉)에서 협차(頰車)까지 투침(透鍼)한다.
협승장(夾承奬)은 경외기혈이다. 지창(地倉), 협차(頰車)를 침자한 후 뜸 1장을 뜬다.
◈ 사와다針法
* 陽陵泉(가장효과가 있음). 肝兪. 筋縮. 手三里(통증을 동반할 경우), 地倉(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아주 작은 뜸을 사용할 것)
◈ 漢藥追加(牽正散加味)
病程이 1개월 이상에 이르면 아래 약재를 추가하여 치료한다.
백부자 10g, 강잠 12g, 전갈 9g, 오공 2조, 방풍 12g, 천궁 10g. 水煎服 매일 1제.

'病症別 鍼處方 > 뇌 신경 정신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이로제(神經症)  (0) 2014.03.24
전간(간질)  (0) 2014.03.24
중풍(中風)  (0) 2014.03.20
감전 급구(感電 急救)  (0) 2014.03.19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0) 201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