鍼灸 小考/사암오행침

舍岩道人鍼灸要訣(特效方)

초암 정만순 2019. 1. 1. 17:31




舍岩道人鍼灸要訣(特效方)

 


1. 부인문(婦人門)

[1] 월경부조(月經不調): 삼음교 보, 임읍, 삼간, 통곡, 전곡 사.

[2] 월사부정(月事不正): 은백 보, 사 같이 사용.

[3] 경병(經病): 소장정격.

[4] 붕루대하(崩漏帶下): 삼음교 보.

[5] 누하부지(漏下不止): 태충, 대돈 보.

[6] 무자(無子): 포문(胞門-사만 1촌 아래), 자호(子戶) 뜸 300장.

[7] 불수태잉(不受胎孕): 상구, 중극, 삼음교 보.

[8] 최잉급대하(催孕及帶下): 삼음교, 합곡, 태충 보.

[9] 미성년자 낙상탈음(落傷脫陰): 삼음교, 복류 보.

[10] 오조(惡阻): 소부 사.

[11] 사사태불하(瀉死胎不下): 합곡 보, 삼음교, 조해, 내관 사.

[12] 최생난산급하사태(催生難産及下死胎): 태충 침 8분, 숨을 100번 쉬는 만큼 보, 삼음교 사 5분.

[13] 난산(難産): 삼음교 보, 합곡 사, 또는 지음 뜸.

[14] 횡산난산(橫産難産): 독음 뜸 7장, 합곡, 삼음교 사.

[15] 일체난산(一切難産): 오른쪽 새끼손가락 끝 뜸 3장.

[16] 산자상충핍심욕사자(産子上衝逼心欲死者): 거궐을 침하되 의부산모정좌(宜扶産母正坐) 하여 용포두(用抱頭), 포요미언(抱腰微偃)하고, 8푼을 자침하고 7번 숨 쉴 동안 유침하 면 기를 얻어서 즉시 깨어나는데, 여자국모심자(如子掬母心者)는 산하(産下)면 손바닥 가운데에 침 흔적이 있고, 여두정모심자(如頭頂母心者)는 인중에 침 흔적이 있으며, 여 자향후자(如子向後者)는 침골(枕骨)에 침 흔적이 있으니 시기험야(是其驗也)라.

[17] 포의불하(胞衣不下): 조해, 내관 사, 합곡 보, 삼음교 사, 지음 뜸, 또는 중극, 견정 사.

[18] 탈음(脫陰): 조해 보, 곡천, 태충 사, 오동나무 씨 기름 1그릇을 하루 세 번 복용, 또 는 삼음교 보.

[19] 산후병(産後病): 간정격.

[20] 산후하혈(産後下血): 삼음교 보.

[21] 산후혈체(産後血滯): 삼음교 사.

[22] 산후복통(産後腹痛): 간정격.

[23] 산후육체(産後肉滯): 삼음교 사.

[24] 산후발열(産後發熱): 간정격.

[25] 산후풍(産後風): 대장정격.

[26] 무유즙(無乳汁): 소택 보.

[27] 유종(乳腫): 해계 보, 임읍 사, 또는 소택 보.

[28] 부인오림혈통(婦人五淋血痛): 혈해, 기해 삼음교 침.

[29] 혈괴(血塊): 간정격.

[30] 부인병(婦人病): 소장정격.

[31] 여자 14~5세 오한, 혼침(昏沈), 목구멍이 갈고리로 당기는 것 같은 것: 태충, 소부 보.

 

2. 소아문(小兒門)

[1] 급경풍(急驚風): 소상, 어제, 상성, 노궁, 인중 1분 사(기사회생), 또는 소상, 인중 1분 용천 사.

[2] 만경풍(漫驚風): 상기자(上氣者)는 용천 사, 하기자(下氣者)는 백회 뜸, 또는 용천, 백회, 합곡, 태충 사, 또는 용천, 백회 사, 합곡, 충 종후침(從後鍼).

[3] 경기란(驚氣亂): 태충 보, 소부 사.

[4] 회충(蛔蟲): 공손, 곡지, 내정, 합곡 침, 또는 승산 침.

[5] 안재상(眼戴上): 사죽공, 오처 침.

[6] 마안(麻眼): 대골공, 소골공, 복삼 사, 대지각후(大指角後) 침 2분 출혈.

[7] 중설(重舌): 소상, 어제, 용천 사.

[8] 중설(목설과 같음): 승장, 노궁, 간사 사.

[9] 구토유식(嘔吐乳食): 내관 보, 내정 사.

[10] 토연(吐涎): 사죽공, 백회 침.

[11] 토혈(吐血): 음곡 보, 대릉 뜸 3장.

[12] 귀흉(龜胸): 간정격, 유근 뜸(보리쌀 크기).

[13] 귀배(龜背): 폐유, 심유, 격유 뜸(보리쌀 크기).

[14] 척반절(脊反折): 아문, 풍부 침.

[15] 별복(鱉腹)-복학(腹瘧): 태충, 행간, 대돈, 중봉 중에서 골라 사, 또는 태충 보, 합곡 사.

[16] 제풍(臍風): 연곡 뜸 3장(보리쌀 크기).

[17] 하복통(下服桶): 공손, 삼음교 사.

[18] 복창(腹脹): 내정 사.

[19] 사지무력(四肢無力): 폐정격(정신이 있으면 살고 정신이 없으면 죽음).

[20] 어지(語遲): 노궁 사.

[21] 중풍주만(中風肘彎): 내관 침.

[22] 풍단(風丹)-단독(丹毒): 삼리, 곡지 보, 양곡, 양계 사.

[23] 황달(黃疸): 지양, 하삼리, 내정, 완골 사.

[24] 하림(下淋): 용천, 삼음교 사.

[25] 유익(遺溺): 음릉천, 기해 보.

[26] 설사: 소충 보, 또는 비정격, 또는 중충 보, 곡택 사.

[27] 대변불통: 조해, 지구 사.

[28] 소변불통: 삼음교 침 3분 즉통, 또는 내정, 태충 사.

 

3. 중풍문(中風門)

[1] 중풍: 삼리, 연곡 사, 소해 보, 또는 소부 보, 태계 사.

[2] 졸풍불어(卒風不語): 삼리 영, 풍지, 양곡 사, 이간 보.

[3] 각궁반창: 삼리 영, 풍지, 속골 사, 양곡 보, 또는 폐정격.

[4] 반신불수: 대돈 보, 태백 사.

[5] 중부(中腑)-반신불수, 구안괘사, 언어불통: 풍시 사, 태충 보.

[6] 오장중풍(五臟中風)-후여예거(喉如曳鉅): 조해, 용천 사.

[7] 음아(瘖啞): 풍부, 아문, 공손 사, 어제 뜸5장, 또는 영도, 통곡 보, 또는 삼리, 지창 침.

[8] 구안괘사: 액문, 중저 사, 양곡 보, 또는 소해 보, 연곡 사, 또는 노궁을 자침한 후 곤마 자를 찧어 반대쪽 뺨에 펴놓고 인두를 뜨겁게 하여 대면 눈으로 보일만한 속도로 회복 된다. 또는 건측의 지창혈을 6분 동안 자침하고 보사를 겸용하여 환자가 아래턱을 3~4 번 움직이기를 기다린 후에 출침하여 다시 협거혈에 자침한다.

[9] 구금불개(口噤不開): 협거, 승산, 합곡 침.

[10] 언어건삽(言語蹇澁): 심이 상한 것은 심정격, 기허로 인한 것은 폐정격, 살찐 사람은 대돈 보, 태백 사.

[11] 구금담색 후여포성(口噤痰塞 喉如鉋聲): 비정격.

[12] 편풍구괘(偏風口喎): 노궁 보, 조해 사.

[13] 전신유주자통(全身流注刺痛): 현종, 삼음교 사.

[14] 전신양여충행(全身痒如虫行): 대장정격, 또는 태충 영, 음곡 리(理), 대도 사.

[15] 두도(頭掉)-심허담한(心虛膽寒): 통리, 임읍 보.

[16] 두항강불회고(頭項强不回顧): 후계 침.

[17] 목대상(目戴上): 사죽공 침.

[18] 견배통(肩背痛): 견정, 견우 침.

[19] 견연배통(肩連背痛): 중저 보.

[20] 견비통(肩臂痛): 삼리, 곡지, 견우 보 2회, 또는 대장정격, 또는 삼간 사(좌견갑 뒤의 견비통은 위중 사).

[21] 주불능굴(肘不能屈): 완골 침.

[22] 중풍주만(中風肘彎): 내관 침.

[23] 수완부력(手腕無力): 열결 침.

[24] 수장심통(手掌心痛): 용천 사.

[25] 수소양(手瘙癢): 완골 뜸, 십선, 팔사 침.

[26] 오지개통(五指皆痛): 외관, 삼리, 현종 사.

[27] 좌탄(左癱): 간정격.

[28] 우탄(右瘓): 폐정격.

[29] 양수전도불능굴물(兩手顫掉不能掘物): 척택, 완골, 합곡, 중저 사.

[30] 각력부족(脚力不足): 완골, 삼리 보, 위중 사.

[31] 족장심통(足掌心痛): 노궁 사.

[32] 벽족(躄足): 현종, 환도 사.

[33] 양족난이(兩足難移): 삼리, 현종 사, 또는 삼리, 위중 사.

[34] 양족전도불능이보(兩足顫掉不能移步): 태충, 곤륜, 양릉천 보.

[35] 지절통(肢節痛): 담정격.

[36] 사지자통(四肢刺痛): 상양, 규음 보, 양곡, 양보 사.(담승격 1)

[37] 인사불성: 수구, 임읍, 합곡 침.

[38] 역절풍(歷節風): 내과전통(內踝前痛): 신정격, 외과전통(外踝前痛): 방광정격.

[39] 풍단(風丹): 삼리 보, 양곡 사.

[40] 피풍(皮風): 폐정격, 또는 소장정격.

[41] 홍색은진(紅色癮疹) :대장정격.

[42] 백색은진(白色癮疹): 대장정격.

 

4. 운상한문(運傷寒門)

[1] 1일: 풍부.

[2] 2일: 이간, 행간.

[3] 3일: 중저, 임읍.

[4] 4일: 소상, 은백.

[5] 5일: 태계.

[6] 6일: 중봉, 영도, 간사.

[7] 7일(아직 땀이 없음): 기문, 삼리, 또는 풍지, 어제, 경거 사.

 

5. 두문(頭門)

[1] 정두통(正頭痛): 곤륜, 삼간 사.

[2] 뇌통(腦痛): 간유 침.

[3] 미능골통(眉稜骨痛): 임읍 사.

[4] 편두통: 풍지 보, 절골 사. 또는 삼간 교사(交瀉)-1차에는 좌측, 2차에는 우측을 사.

[5] 두창(頭瘡): 대장정격.

 

6. 안문(眼門)

[1] 작목(雀目): 임읍, 태충, 상양 사.

[2] 안질(眼疾): 임읍, 삼간, 합곡, 태충, 행간 사.

[3] 안정돌출(眼睛突出): 용천 사.

[4] 안질: 대돈, 태충, 복삼 사.

[5] 상포종(上胞腫): 은백 사.

[6] 하포종(下胞腫): 임읍 사. 또는 후계 점자 출혈.

[7] 동자돌출: 양곡 보, 연곡 사.

[8] 양안부합불능개(兩眼浮合不能開): 태충, 소충, 복류 보, 태백, 태계 사.

[9] 안목제질(眼目諸疾): 임읍 사.

[10] 동자통(瞳子痛): 기해 사.

 

7. 이문(耳門)

[1] 이정생창(耳聤生瘡): 중저, 소부 사.

 

8. 인후문(咽喉門)

[1] 설풍풍출도(舌風風出掉): 대돈, 소충 보, 또는 수삼리 좌우교사, 영도, 소해(小海), 실보 (實補) 약사(約瀉)

[2] 설하종(舌下腫): 대돈 보, 승장 사, 또는 삼음교 교사, 또는 은백 사.

[3] 설창(舌瘡): 삼음교, 노궁 사.

[4] 설치부란(舌齒腐爛): 승장, 노궁 뜸 1장.

[5] 설권(舌捲): 액문 침.

[6] 설장(舌長): 풍부, 아문, 공손 사, 어제 뜸 5장.

[7] 인건(咽乾): 태연, 어제 침.

[8] 연식불하(嚥食不下): 전중 뜸.

[9] 식불하(食不下): 내관, 어제, 삼리 침, 또는 임읍 사, 양곡 보.

[10] 인후(咽喉): 조해 보.

[11] 토연(吐涎): 사죽공, 백회 침.

[12] 순종(脣腫): 수삼리 교사.

[13] 쌍, 단아수불하(雙, 單蛾水不下): 조해, 연곡, 삼간, 합곡 사.

 

9. 잡병총괄문(雜病總括門)

[1] 체증: 내정, 삼리, 삼음교 사.

[2] 토산(吐酸): 양곡, 곡천 보, 영도, 중봉 사.

[3] 토사곽란: 삼리, 내정, 공손, 삼음교 사.

[4] 구토: 비정격.

[5] 식적(食積): 폐정격.

[6] 학병(瘧病): 대추, 인중, 간사 좌우 모두 사.

[7] 심통: 심정격.

[8] 신압(神壓): 임읍, 후계 보, 통곡, 전곡 사, 또는 상구 침.

[9] 토혈(吐血): 음곡 보, 중봉, 삼리 사.

[10] 어혈해혈(瘀血咳血): 태백, 태연 보, 곡지 사.

[11] 소변불통: 음릉천, 삼리 사, 통곡 보.

[12] 대변불통: 음릉천, 삼리 사, 또는 대장정격.

[13] 현훈(眩暈): 태연 보, 태백 사.

[14] 위완통(위경련): 위정격.

[15] 복통: 대장정격, 또는 내관 보, 공손 사.

[16] 제옹(臍癰): 공손 사.

[17] 식구복통(食狗腹痛): 소충 사.

[18] 괴질복통: 사관에 먼저 자침하고 위로 치받치면 공손을 사하고, 토하면 관충을 사하 고, 쥐가 나면 승산을 사하고 내관을 보한다.

[19] 요통: 신정격, 또는 담정격, 또는 위중, 곤륜 사, 또는 이간 침, 또는 태계 보 5~10분 유침.

[20] 액하종(腋下腫): 중충 사.

[21] 액하담(腋下痰): 중충 보.

[22] 음위: 삼음교, 백회 보.

[23] 탈항: 대장정격.

[24] 주마담(走馬痰): 풍시, 곡지 사.

[25] 뇌후종(腦後腫): 지음, 위중 사.

[26] 수전종(鬚前腫): 절골, 중저 사.

[27] 나력(瘰癧): 임읍, 삼간 사, 목 뒤에 생긴 것은 대장정격, 목 앞에 생긴 것은 간정격.

[28] 연주창(連珠瘡): 간정격, 소해(小海) 뜸 100장.

[29] 비창(鼻瘡), 후비창(喉鼻瘡), 천포창(天疱瘡): 액문, 중저 사, 양곡 보.

[30] 학슬통(鶴膝痛): 행간, 내정, 협계, 연곡 사.

[31] 만신창(滿身瘡): 대장정격.

[32] 색창(色瘡-매독): 신정격.

[33] 역질(疫疾): 태충, 소부 보(수시로 생기는 잡증에 신효함.)

[34] 낙상(落傷): 대돈, 태충 보, 태백 사.

[35] 등산낙상(登山落傷): 노궁 보, 조해 사.

[36] 낙상: ① 허리를 다치면 공손 침. ② 옆구리를 다치면 양릉천, 임읍 사. ③ 팔을 다치 면 삼간 사, 또는 곡지 사. ④ 손등이 부러지면 외관 사, 팔사 자침. ⑤ 다리를 다치면 공손 사. ⑥ 다리가 부러지면 삼리, 조구 사, 팔사.

[37] 복창(腹脹): 삼리, 내정 침.

[38] 화열(火熱): 곡지, 삼리, 복류 침.

[39] 발광(發狂): 대추, 간사, 합곡, 복류 침.

[40] 임질(淋疾): 간정격.

[41] 심통식불하(心痛食不下): 중완 침.

[42] 소갈(消渴-당뇨병): 간정격, 또는 통곡, 내정, 전곡 보, 양곡, 소해(小海), 해계 사.

[43] 변독(便毒-가래톳): 태백, 태계, 복삼 사.

[44] 오치(五痔): 승산, 장강 사.

[45] 제하냉통(臍下冷痛): 기해, 삼음교 뜸, 보.

[46] 전신풍담유주(全身風痰流注): 삼음교, 현종 사.

[47] 번열불수(煩熱不睡): 현종, 간사 사.

[48] 심열불침(心熱不寢): 용천 사, 해계 보.

[49] 혼곤불수(昏困不睡): 곡지, 음릉천 보사겸용, 또는 뜸 14장.

[50] 체증: 내정, 삼리 사.

[51] 곽란: 공손, 삼리, 삼음교, 내정 사, ① 상서자(傷暑者)=위정격, ② 상식자(傷食者)=비 정격, ③ 전근자(轉筋者)=곡지, 승산 사(손 전근자는 곡지, 다리 전근자는 승산), 또는 삼리, 내정, 공손, 사관 모두 사.

[52] 소장통(배꼽 아래 1촌): 소장정격.

[53] 대장통(배꼽가운데): 대장정격.

[54] 익수사(溺水死): 신정격.

[55] 충심통(虫心痛): 거궐 침 후 뜸 30장, 공손 사.

[56] 산기상충(疝氣上衝): 대돈, 태계 사.

[57] 해수: 태연, 사관, 합곡 보, 삼리 사.

[58] 설사: 삼리, 내정 사.

[59] 이질: 합곡, 삼리 사.

[60] 열상승: 팔사 침.

[61] 열증피부소양(熱症皮膚瘙痒): 팔사 침.




'鍼灸 小考 > 사암오행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암침과 맥에 대한 단상  (0) 2020.04.26
症狀別 五行針 使用  (0) 2019.01.01
舍岩五行正理神鍼歌  (0) 2019.01.01
舍岩道人鍼灸要訣-2  (0) 2018.10.11
舍岩道人鍼灸要訣-1  (0) 2018.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