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나 가축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쓰이는, 바늘처럼 생긴 가늘고 긴 치료 기구를 침(鍼)이라 한다. 여러 가지 역사 자료를 볼 때 침술은 중국에 서 체계화된 것으로 보인다. 침의 기원은 석기 시대부터인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오래된 침술 도구는 폄석()인데, 이것은 돌이나 옥을 갈아서 송곳이나 쐐기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폄석은 피부를 자극하거나 얕게 찔러서 피를 내거나 고름을 짜내는 데 쓰였다. 고대 원시 사회에서는 야산이나 어둡고 습기가 많은 곳에 거주하느라 여러 가지 풍습통(風濕痛 :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병)이나 창상(創傷 : 각종 외과 질환)으로 고생하였을 것을 상상하면 이것의 용도를 쉽게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침은 그 크기와 모양·용도에 따라 9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9침이라고 부른다. 9침은 참침(), 원침(圓鍼), 시침(), 봉침(鋒鍼), 피침(), 원리침(圓利鍼), 호침(毫鍼), 장침(長鍼), 대침(大鍼) 등이다. 대개는 피부·근육 등을 깊게 혹은 얕게 찌르기 위한 것이며, 때로는 칼처럼 생긴 침으로 피부를 갈라 피나 고름을 빼내고, 관절 속의 물을 빼내기도 한다. 9침 가운데 가장 활용 범위가 넓으며 침 치료를 대표하는 것은 호침으로, 길이 2∼17㎝, 굵기 0.2∼0.4㎜ 정도이며, 가늘기 때문에 큰 자극 없이 찔러서 오랫동안 놔둘 수 있다.
|
[여러가지 침과 사용 기구] |
그 밖에 현재 사용되는 침은 다음과 같다. ...▷ 피내침(皮內鍼) : 피하에 넣어 둘 수 있는 작은 침 ...▷ 전침(電鍼) : 침자극과 전기 자극을 결합하여 발전된 침 ...▷ 약침(藥鍼) : 침과 약물 작용을 결합시킨 침 ...▷ 피부침(皮膚鍼) : 일명 소아침(小兒鍼) 이라 하여 작은 침 5∼8개를 동시에 찌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피부 자극침 ...▷ 레이저침 : 레이저 광선을 침으로 이용하는 새로운 치료법이다.
그리고 침을 놓는 부위에 따라, 이침(耳鍼), 면침(面鍼), 비침(鼻鍼), 두침(頭鍼), 수침(手鍼), 족침(足鍼), 체침(體鍼) 등이 개발되어 그 쓰임새가 다양해지고 있다. 침술은 기(氣)의 흐름을 조절하고 정신을 다스려서 내과, 외과, 부인과, 소아과, 이비인후과, 안과 등 모든 병의 치료와 마취, 질병의 진단, 가축 치료에도 사용되고, 담배를 끊게 하는 금연침도 있다. 침은 삐거나 체했을 때, 어린아이의 경기, 편도선염, 결막염, 졸도 등 급성 질환에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 신경통, 위 무력증, 중풍으로 인한 반신 불수나 언어 장애 등의 만성 질환은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효과가 나타난다. |
|
경혈(經穴) |
사관(四關) 흔히들 사람들이 체하면 '사관을 딴다'고 하여 엄지손가락 손톱의 윗부분을 바늘로 따서 피를 내면 대개 체기가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한의학의 경전인 「황제내경」에 나오는 사관의 의미는 네 개의 관문(關門)이라는 뜻으로 주로 사지(四肢)의 기혈 순환 통로를 말한다. 침구학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손과 발에 2개씩 있는 합곡(合谷)과 태충(太衝)이라는 경혈 네 개를 사관이라 하며, 이 곳에 침을 놓아 기(氣)를 통하게 한다. 합곡은 엄지와 검지 본절 간에 움푹 들어간 부분에 있는데, 호구(虎口)라고도 한다. 임상에서 흔히 쓰이는 침자리인데 특히 얼굴과 입병에 주로 쓰며, 그 밖에도 소화기 질환, 감기, 상기도 질환, 기(氣)의 흐름이 막혔을 때 쓴다. 태충은 발의 엄지와 검지의 본절 사이에 있는 경혈로서, 경락을 통하게 하여 경련을 가라앉히고 눈병과 간 및 생식기 질환을 치료한다. 사관을 함께 쓰면 기혈의 흐름을 원활히 소통시키는 효과가 더욱 커지고, 식도에서부터 직장까지 소화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러나 자극이 강하므로 신체가 허약한 사람들은 주의를 요한다. |
|
삼리(三里) 삼리는 경혈 명칭의 하나이며, 팔과 다리에 좌우로 2개씩 전부 4개의 혈이 있는데, 그중 족삼리가 대표적으로 쓰이는 경혈이다. 주로 소화기 질환에 많이 쓰이며, 이름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이다. 혈 자리가 무릎의 아래 능선에서 3촌(寸) 밑에 있어 3리(三里)라고 한다. 그 밖에도 삼(三)은 큰 숫자, 온전한 수이며, 천·지·인(天·地·人)을 가리키므로 중요하다는 의미가 있다. 이(里)는 밭[田]의 두렁[土]을 나타내는 말로서, 위(胃)를 가리킨다. 즉, 위장과 깊은 관계를 갖는 중요한 경혈(經穴)이라는 뜻이다. 임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 경혈은 치료 범위가 넓다. 소화기 계통 질환이 대표적이고, 순환·호흡·비뇨·생식기계 병증과 무릎이 아픈데에 양호한 효과가 나타나며, 전신 강장의 중요한 침 또는 뜸자리이다. 이 곳에 침을 놓게 되면 저릿저릿하고 뻐근한 감이 위·아래로 뻗치게 된다. |
|
단전(丹田) 단전은 관원(關元)이라고도 하며 상·중·하 3가지가 있는데, 상단전(上丹田)은 뇌, 중단전(中丹田)은 심장, 하단전(下丹田)은 관원을 가리킨다. 배꼽과 치골결합(음모가 난 부위에 가로로 만져지는 뼈)을 연결한 선을 5등분했을 때 아래에서 2/5 되는 곳에 있다. 선천적인 원기가 이 관원의 깊숙한 곳에 머문다고 한다. 도교(道敎)의 영향을 받은 단전호흡(丹田呼吸)이 있는데, 이 때의 단전은 아랫배의 중심 즉 하단전(下丹田)을 가리킨다. 단전 호흡은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상태에서 정신을 단전에 집중하고 힘을 주어 약 10초간 정지하는 운동이다. 이것은 폐활량 증대, 혈액 순환, 배 근육 운동 등으로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이 곳에 뜸을 뜨면 원기를 보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중완의 위치] |
중완(中脘) 중완은 위장의 텅 빈 부분의 한 가운데 있는 경혈(經穴)을 말한다. 위의 텅 빈 부분을 위완(胃脘)이라 하는데, 그 윗쪽을 상완(上脘), 그 아래쪽을 하완(下脘), 한가운데를 중완이라 한다. 중완의 해부학적 부위는 실제로 위 유문부에 해당한다. 중완은 배꼽에서 4치(寸) 위에 있으며, 급만성 위염·위경련·위하수 및 대부분 위장병의 치료점으로 이용된다.
|
|
인중(人中) 인중은 코 아래와 윗입술 사이의 우묵한 곳을 말하며, 독맥(督脈:양기를 총감독하는 통로)에 속하는 경혈(經穴)의 명칭으로 일명 수구(水溝)라고도 한다. 즉, 인중은 사람에게 있어서 중심이 되는 중요한 혈(穴)로서, 그 부위가 물이 흘러가는 도랑[구:溝]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코의 끝과 입술 사이에는 내 천(川)자처럼 생긴 부위가 있는데 위에서 1/3 되는 곳에 위치한다. 쇼크로 인한 혼수상태·차멀미·배멀미·정신 분열증·히스테리·중풍·갑자기 삔 허리·얼굴이 붓고 눈과 입이 한쪽으로 비뚤어짐·안면근육이 경련을 일으킴·소갈병(消渴病)이 있어서 물을 많이 마시거나, 물에 빠져 인사불성이 되었거나, 전기에 감전되었을 때, 이곳을 침이나 뜸으로 자극하여 응급치료를 한다. 옛날 사람들은 인중을 통해 방광과 자궁의 질병을 살폈으며, 인중의 길이와 깊이에 따라 수명(壽命)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
|
십선혈(十宣穴) 갑자기 쓰러지거나, 음식 먹은 것이 갑자기 체하는 경우를 한번쯤은 경험하기도 한다. 그러면 무척 당황하게 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눈앞이 캄캄해진다. 이럴 때, 할머니들이 바늘로 손가락 끝을 찔러 검은 피를 내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때 사용한 혈(穴)이 바로 십선혈(十宣穴)이다.이란 응급시에 쓸 수 있는 10개의 혈(穴)로서 열 손가락 손톱밑 중앙에서 약 2∼3㎜ 떨어진 곳에 있다. 중풍(中風)과 같이 갑자기 정신을 잃거나, 토사곽란(), 고혈압, 편도선염, 갑자기 말을 못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데, 침을 놓고 피를 짜내는 것이 더욱 효과가 좋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