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모(感冒 ~ 感氣)
※ 槪說
여러 가지 바이러스와 세균에 의한 상기도 증상을 병변으로 하는 급성 카타르성 염증이다.
* 傳統醫學的으로는 感冒에 해당되며 傷風, 感風, 傷寒, 感寒이라고도 한다.
※ 症狀
* 주요 증상으로는 콧물, 코 막힘, 재채기, 목안 아픔, 목쉰 소리, 발열, 두통과 요통, 全身倦怠感 등이다.
* 급성으로 발병하며 2~3일 지속되다가 일주일을 전후하여 낫는다.
* 타각적 소견은 기관지염이 합병되지 않는 한 특별히 나타나는 것이 없다.
※原因
1. 傳統醫學
有機體의 精氣(저항성)가 허해진 틈을 타서 外感六陰의 사기가 肌表腠理나 기도를 통해 폐에 침입하여
생긴다.
2. 現代醫學
* 기본은 바이러스와 세균감염에 의하여 생긴다.
* 찬바람을 맞거나 바깥 온도에 맞게 몸조리를 못할 때, 자극성 물질이나 가스를 들이 마시는 것 등으로
생긴다.
◈ 辯證施治
1. 風寒感冒 ~ 風池, 外關, 列缺
* 오슬오슬 춥고 열나기, 코 막힘, 목쉰 소리, 멀건 콧물, 기침, 묽은 가래 등 증상. 심할 때는 전신절통,
无汗 등 증상이 있다. 薄白苔, 脈浮緊
* 配用穴 ~ 코 막힘이 심하면 迎香, 喉痒, 咳嗽에는 天突을 配合한다.
2. 風熱感冒 ~ 風池, 大椎, 合谷, 尺澤
* 발열, 오풍, 다한, 두통, 기침, 진득진득한 누런 가래가 있고 목안이 붓고, 아프며 口乾. 薄黃苔, 脈浮數
* 配用穴 ~ 熱이 심하면 曲池, 咽喉腫痛에는 少商. 天突, 痰이 많은 경우는 配合한다.
3. 挾濕感冒 ~ 外關, 合谷, 陰陵泉, 足三里, 至陽
* 惡寒發熱, 身熱不揚, 少汗, 肢節산重하고 머리가 싸맨 것처럼 昏脹하며 기침을 하고, 끈끈한 痰을
뱉으며 기침소리가 무겁고 탁하다. 胸脘이 痞悶하고 식욕이 부진하고 복부가 편안하지 않고 大便溏 또는 泄瀉하며, 소변의 量이 적으며 누렇고, 舌苔白膩하거나 淡黃膩, 脈濡하다.
* 配用穴 ~ 胸悶, 多痰에는 太淵. 豊隆, 腹部脹滿에는 天樞. 氣海, 消化不良性 食慾不振에는 中脘을
配合한다.
4. 挾暑感冒 ~ 大椎, 曲池, 風池, 合谷
* 惡寒發熱, 咳嗽 등의 表證이 나타나는 외에도 暑熱이 熏蒸함으로 인해 身熱이 비교적 심한데 땀을 내도 완화되지 않고 心煩, 口渴, 小便短赤, 舌苔黃, 脈數 등이 나타난다. 만약 暑熱이 偏盛하면 몸에 熱이 나고 머리가 터질 듯이 아프고 胸悶, 納呆, 입이 싱겁고 끈적끈적하며 舌苔가 膩하다.
* 配用穴 ~ 몸에 熱이 심하면 十二井穴,曲澤,委中, 濕熱이 盛하면 陰陵泉.足三里.公孫을 配用
5. 弱體感冒 ~ 風熱證이면 風熱感冒 처방을, 風寒證이면 風寒感冒 처방을
* 氣虛인 감기환자는 목소리가 낮고 불안하며 호흡이 짧고 피로를 느끼며 脈이 浮하면서 無力.
* 陽虛인 감기환자는 顔色蒼白, 목소리가 낮으며, 四肢가 차고 舌質이 淡白, 脈沈細
* 陰虛인 감기환자는 盜汗, 口乾咽燥, 五心煩熱, 乾咳少痰, 舌質紅, 脈細數
* 血虛인 감기환자는 윤기가 적고 心悸, 頭昏, 蒼白하며 脈은 細 혹은 浮하면서 無力
* 配用穴 ~ 氣虛는 氣海,足三里, 陽虛는 關元,命門, 陰虛는 間使,太谿, 血虛는 三陰交,血海를 配用한다.
◈ 灸堂治法
1. 뜸치료
* 먼저 風門에 多壯灸한다. 그래도 감기가 안 떨어지면 曲池, 足三里, 中脘, 肺兪에 뜸을 한다.
* 熱이 심할 때 ~ 大椎와 風門에 9~15壯 정도 뜸을 한다. 大椎에만 뜸해도 되고 風門에만 多壯灸해도 熱이 내려가지만 大椎와 風門에 多壯灸하기도 한다.
2. 침치료
* 風寒感冒 ~ 風府, 風池, 風門, 肺兪, 外關
* 風熱感冒 ~ 大椎, 大杼, 外關, 合谷
* 목구멍이 아플 때 ~ 少商, 行間穴을 三稜針으로 점자출혈
* 鼻涕, 鼻塞, 頭痛 ~ 百會, 太陽, 迎香, 上星, 合谷에 鍼刺후 15~20분간 留鍼
* 목이 붓고 아플 때 ~ 魚際에 자침한다.
* 熱감기에는 ~ 四關과 中脘, 身柱에 자침
* 코막힘에는 ~ 上星, 印堂 下斜刺, 비중격에 上斜刺하면 편안해진다.
* 기침에는 ~ 列缺, 經渠, 肺兪 등에 침을 놓고 15~20분간 留鍼한다.
* 가래에는 ~ 廉泉과 天突에 留鍼한다.
* 재채기에는 ~ 灒竹
* 前頭痛 ~ 太陽, 頭維, 合谷
* 側頭痛 ~ 風池, 頭維
* 後頭痛 ~ 後谿, 風府
* 感氣몸살은 ~ 外關, 懸鍾에 迎隨補瀉중 瀉法, 즉 외관은 下斜刺, 현종은 上斜刺로 1.6寸 다 들어가게 深刺하되 10~15분간 留鍼한다. 風池, 風府, 風門, 大椎, 肺兪
※ 感冒穴- 3, 4指 사이의 八邪穴
◈ 統治方
* 主用穴 : 風池, 大椎, 曲池, 合谷, 三商
* 配用穴 : 太陽, 印堂, 迎香, 鼻痛, 天突, 豊隆
※ 操作
三商은 点字出血하고, 各穴에 强刺戟 - 골이 아프면 太陽, 印堂을配用하고, 코가 막히면 迎香, 鼻通
을 配用하고, 기침이 심하고, 가래가 많으면 天突, 豊隆을 配用한다.
◈ 全身疼痛
三陽絡, 大包, 陽輔, 身柱(感氣, 몸살에 必須)
◈ 平衡針法(感冒穴)
(1) 主治 - 유행성감기, 상기도염, 비염
(2) 位置 - 3,4 수골지관절의 사이에 있으며 八邪穴의 제3穴位
(3) 刺針法 - 6cm되는 침을 주먹을 약간 쥐게 하고 손목 방향으로 4cm 透刺
◈ 옛 醫書 記錄 및 治療方法
1. 治療原則
風寒證은 解表 疏風을 위주로 한다. 風熱證은 解表 淸熱을 위주로 한다.
2. 刺針
* 風寒感冒 ~ 風池, 列缺, 外關
* 風熱感冒 ~ 風池, 大椎, 曲池, 合谷
* 豫備穴 ~ 迎香, 鼻通, 印堂, 太陽, 天突, 豊隆, 風門, 肺兪, 頸5~胸4夾脊
3. 方法
風池에 자침할 때, 鍼 感應이 側頭部를 향해 확산되게 하면 鼻竅를 잘 통하게 하고 두통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 자침 후에도 코의 通氣가 잘 안되면 迎香에서 鼻通으로 透刺를 추가한다. 頭痛이 멎지 않으면 印堂이나 太陽을 추가한다. 咳嗽가 있고 喀痰이 不暢하면 天突, 豊隆, 頸5~胸4夾脊(1~2穴을 선택)을 추가한다. 項背가 酸楚(시큰거리고 아프다)하면 風門이나 肺兪 등에 附缸法으로 火罐을 쓰거나, 혹은 移動罐法을 써서 督脈의 대추로부터 下方의 腰部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위로 推進하고, 마지막에 肺兪部에서 멈추는 방법을 쓴다.
4. 處方意義
風池는 足少陽膽經, 陽維脈의 交會穴이다. 陽維脈은 表部에 있는 陽經을 다스리고, 解表의 작용을 하므로 風寒型과 風熱型에 통용된다. 風寒型에는 外關을 추가하는데 이는 手少陽三焦經의絡脈이 陽維脈으로 통해 있어서 解表하는 힘을 증강하기 때문이다. 列缺(手太陰肺經의 絡穴)을 配用하여 宣肺 疏風시킨다. 風熱型에는 大椎(督脈과 諸陽의 交會穴)를 취하여 淸熱케 하고, 曲池.合谷(多氣多血한 手陽明大腸經)을 配用하여 解表 泄熱하게 한다. 鼻氣가 不通하면 迎香.鼻通에 자침하고, 두통이 멎지 않으면 印堂.太陽에 자침하는데 이는 모두 국소취혈이다. 咳嗽가 있으면 天突을 자침해서 肺氣를 이롭게 하고, 豊隆을 配用하여 痰을 제거하고, 頸5~胸4夾脊을 자침하는데 이는 分節에 따른 取穴이다.
5. 處方實例
* 新編中醫學槪要
◦ 風寒型 ~ 主穴은 大椎, 配穴은列缺
◦ 風熱型 ~ 主穴은 合谷.大椎, 配穴은 少商(刺해서 출혈시킨다)
* 新鍼灸學 ~ 風池, 風府, 大椎, 瞳子髎, 曲池, 足三里, 支溝, 內庭, 附分, 魄戶, 新建
* 百症賦 ~ 感冒시는 陶道.肺兪로써 發熱시의 병(流行性 濕熱病)을 치료한다.
◈ 中國名醫治療方法
* 主用穴 ~ 合谷, 足三里
* 操作 - 兩側 合谷穴을 刺針하고, 无汗者는 提揷捻轉法으로 强刺戟을 주어 發汗효과를 유도한다.
有汗者는 平補平瀉法을 활용한다. 兩側 足三里穴을 平補平瀉法으로 刺針하여 鍼感이 上下로 傳導
하도록 하며, 得氣후 20분간 留鍼한다. 每日 1~2回, 體溫이 비교적 높은 환자에게는 兩側 曲池穴을 刺針하고, 大椎穴을 點刺出血한다.
* 體要 - 合谷은 疏風解表, 通絡止痛의 효과를 얻는다. 이 穴을 强刺戟함으로 환자는 땀을 내며, 發汗에 따라 熱이 내리게 된다. 足三里는 氣血의 운행을 유도하여 扶正祛邪를 도모하게 한다. 左右 兩穴을 모두 刺針한 것은 病程을 단축시키고, 症狀의 조속한 개선을 위한 것이나 病邪가 入裏 또는 病程이 오래된 경우 치료효과는 떨어진다.
◈ 舍岩鍼法
일반적으로 땀이 없으면 땀을 내서 몸 겉쪽에 침범한 邪氣를 쫓고, 땀이 있으면 땀을 그치게 하여 몸 겉쪽(表)을 야무지게 단속한다.
1. 風寒感冒
膀胱正格 ~ 膀胱正格으로 膀胱經의 기를 보해서 몸 겉쪽을 야무지게 단속한다. 風府, 風池로 풍한을 다스리고, 大杼는 방광경에 침습한 사기를 쫓고, 列缺은 폐기를 고르게 하고, 合谷, 復溜, 崑崙으로 열을 조절하여 땀을 나게 한다.
2. 風熱感冒
大腸正格 ~ 大腸正格으로 폐경에 침습한 풍열의 사기를 쫓는다. 諸陽의 會인 大椎를 보해서 熱邪를 쫓고, 風門으로 풍사를 쫓고, 또한 陽維脈의 會인 外關으로 열사를 흩는다.
※ 參考
① 감기가 流行할 때 ~ 風門穴 or 足三里에 연속 3일간 침을 놓거나 뜸을 뜨면 예방효과가 크다.
② 감기 때 ~ 通用穴로 百會, 合谷, 太衝, 風池, 大椎에 침 또는 뜸. 코가 막히면 上星, 迎香. 기침가래에는 太淵. 목구멍 아픔에는 魚際, 少商, 列缺, 關衝. 머리 아픔에는 天柱, 風池, 太陽을 配合.
◈ W.H.O 鍼法(感氣)
取穴 : ① 大椎, 三商(少商, 中商, 路商). ② 大椎, 曲池, 合谷.
操作 : 頭暈 - 인당(印堂), 태양(太陽),
嘔吐 - 백회(百會), 태양(太陽),
惡心 - 태충(太衝),
惡寒 - 후항(後項-大椎穴 상방으로 直刺 2촌 하되 제3, 4경추사이로).
◈ 感氣걸려서 목이 아프면 支溝를 瀉한다.
그 자리에서 목이 시원해진다.(96補瀉 必須)
~~~~~~~~~~~~~~~~~~~~~~~~~~~~~~~~~~~~~~~~~~~~~~~~~~~~~~~~~~~~~~~~~~~~~~~~~~~~~~~~~~
감모(感冒)는 두통(頭痛), 비색(鼻塞), 오한발열(惡寒發熱) 등이 나타나는 일종의 외감질병(外感疾病)이다. 주리(腠理)가 튼튼치 못하면 외사(外邪)가 침습하여 발병한다.
경자(輕者)를 상풍(傷風)이라 하며, 중자(重者)를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時行感冒)라 한다.
임상상으로 음성체질자(陰盛體質者)는 풍한(風寒)에 감수되기 쉽고, 양성체질자(陽盛體質者)는 풍열(風熱)에 감수되기 쉽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외감풍한(外感風寒) : 한(寒)은 음사(陰邪)이며 풍한습표(風寒襲表)면 모규수축(毛竅收縮), 기표응폐(肌表凝閉), 폐기실선(肺氣失宣) 등으로 인해 풍한감모가 발생한다.
B. 외감풍열(外感風熱) : 열(熱)은 양사(陽邪)이며 외습기표(外襲肌表)면 위양불고(衛陽不固), 풍열습폐(風熱襲肺), 폐실청숙(肺失淸肅)등으로 인해 풍열감모가 발생한다.
⑵ 변증(辨證)
A. 풍한감모증(風寒感冒證)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두통(無汗頭痛), 사지산통(四肢痠痛), 비색유청체(鼻塞流淸涕), 해수토희백담(咳嗽吐稀白痰),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긴(脈浮緊).B. 풍열감모형(風熱感冒型) : 발열오한(發熱惡寒), 한출오풍(汗出惡風), 두통차창(頭痛且脹), 해담황조(咳痰黃稠), 구갈욕음(口渴欲飮), 인부홍종(咽部紅腫), 설태박백혹미황(舌苔薄白或微黃), 맥부삭(脈浮數).
⑶ 치료(治療)
A. 풍한증(風寒證)
- 치법 : 수태음, 양명, 족태양, 소양위주로 거풍산한(祛風散寒), 해표선폐(解表宣肺)시킨다. 호침자용사법(毫鍼刺用瀉法), 구(灸)와 발화관(拔火罐)도 병용할 수 있다.
- 처방 : 열결(LU7), 합곡(LI4), 풍문(BL12), 풍지(GB20).
- 방의 : 열결은 폐경의 낙혈, 합곡은 대장경의 원혈로 표리원락(表裏原絡)을 상배(相配)하여 소풍산한(疏風散寒), 선폐지해(宣肺止咳)한다.
風門혈은 풍사출입의 문호(門戶)이며, 족태양경혈로 소풍선폐(疏風宣肺)의 요혈이다. 風池혈은 양유맥(陽維脈)의 교회혈이고 양유주표(陽維主表)이기에 소풍산한(疏風散寒), 통규지통(通竅止痛)한다.
B. 풍열형(風熱型)
- 치법 : 수태음, 양명, 소양위주로 소풍해열(疏風解熱), 청숙폐기(淸肅肺氣)한다. 호침자용사법(毫鍼刺用瀉法), 혹은 삼릉침점자방혈(三稜鍼点刺放血)한다.
- 처방 : 곡지(LI11), 합곡(LI4), 외관(SJ5), 풍지(GB20), 어제(LU10), 척택(LU5).
- 방의 : 곡지, 합곡은 수양명대장경혈이며 대장과 폐는 표리관계이므로 대장과 폐경의 열사를 내려준다. 외관, 풍지는 소양경혈이며 양유맥과 서로 통하기 때문에 청사열사(淸瀉熱邪)의 요혈이며,
어제는 폐경의 형혈(滎穴)이고 “형주신열(滎主身熱)”이며, 척택은 합혈이며 “합주역기이설(合主逆氣而泄)”이기에 두혈을 상배(相配)하면 폐경의 실열(實熱)을 내리며, 강역화담지해(降逆化痰止咳)한다.
- 수증배혈 : 두통(頭痛)일 때 - 태양(EX-HN5), 인당(EX-HN3).
비색(鼻塞)일 때 - 영향(LI20).
인통(咽痛)일 때 - 소상(LU11) 점자방혈(点刺放血).
서열(暑熱)일 때 - 곡택(PC3), 위중(BL40) 점자방혈(点刺放血).
습(濕)을 겸했을 때 - 음릉천(SP9), 족삼리(ST36).
조(燥)를 겸했을 때 - 삼음교(SP6), 조해(KI6), 태연(LU9).
■ 감기를 예방하려면 풍문, 족삼리에 구(灸)한다.
[대한침구사협회]
'病症別 鍼處方 > 호흡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수(咳嗽) (0) | 2014.03.20 |
---|---|
애역(딸꾹질) (0) | 2014.03.20 |
각혈(喀血) (0) | 2014.03.19 |
담음(痰飮 ~ 가래) (0) | 2014.03.19 |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 (0) |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