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 가래)
※ 槪說
가래를 古書에서는 痰飮이라 하였다. 痰은 걸쭉하고 탁하며 陽에 속하고, 飮이란 멀겋고 맑은 것으
로 陰에 속한다.
※ 病因
痰飮病은 주로 脾肺腎과 三焦의 기능장애가 주원인이 된다.
※ 症狀
몸 안의 津液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몰려있거나 일정한 부위에서 진액이 삼출 또는 분비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 舍岩鍼法 및 北韓鍼法
1. 痰飮
※ 病因
위장에 水飮이 몰려서 생긴다.
※ 症狀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명치 밑에서 물소리가 들리고 멀건 침을 게우고,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
거리고 숨이 차고, 입맛이 없으며 몸이 여윈다. 또는 명치 아래가 쌀쌀하면서 괴로운 糟雜症이 있다.
또 살갗 밑에 가래가 뭉친 痰塊(痰核)가 있기도 하고, 관절통증이 있기도 하다.
※ 治療法
陽을 따뜻하게 보하고 물길 돌림을 좋게 하는 방법을 쓴다.
※ 處方
① 肺正格
② 肺兪, 列缺, 公孫, 豊隆, 三陰交
※ 體要
① 肺正格으로 폐를 보해서 기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② 肺兪, 列缺로 폐를 보해서 기순환을 돕고, 公孫, 豊隆으로 비습을 제거하고, 三陰交로 음을 고
르게 하며 가래를 내리게 한다.
2. 支飮
※ 病因
水飮이 횡격막 위에 머물며 폐에 작용하여 폐의 肅降기능에 장애를 준다.
※ 症狀
기침이 나고 숨이 차서 반듯이 눕지 못하고 벽에 기대어 숨쉬며,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하며, 몸은 부석부석해 보인다. 초기에는 표증을 겸하는 수도 있고, 숨차기가 심하면 입술이 파래지며 舌苔는 기름 때 같다.
※ 治療法
脾肺를 따듯하게 보해서 濕痰을 없애고 숨찬 것을 멎게 하는 방법을 쓴다.
※ 處方
① 脾正格
② 脾兪, 肺兪, 陽池, 外關, 豊隆, 三陰交
※ 體要
① 脾正格으로 비를 보해서 濕痰을 없애고 기를 돕는다.
② 脾兪로 脾胃를 보하고, 肺兪로 폐를 보해서 濕痰을 없앤다. 陽池로 三焦, 外關으로 三焦經 및 모든 陽을 고르게 해서 가래를 삭이며 물길 돌림을 좋게 한다. 또 豊隆으로비위의 濕痰을 없 애고, 三陰交로 물길 돌림을 좋게 한다.
3. 懸飮
※ 病因
水飮이 옆구리에 머물러 있어서 생긴다. 삼출성 늑막염 때 볼 수 있다.
※ 症狀
옆구리가 그득하게 불어나며, 옆구리에서 물소리가 들린다. 기침할 때나 가래를 뱉을 때 옆구리 통증이 심해지며, 몸을 돌릴 때나 숨을 쉴 때 켕기면서 아프다. 심할 때는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열이 나며 숨이 차고 머리가 아프다.
※ 治療法
肝膽을 보하고 물길 돌림을 좋게 한다.
※ 處方
① 肝正格
② 肝兪, 陽陵泉, 陰陵泉, 然谷, 三陰交
※ 體要
① 肝正格으로 肝膽을 보해서 옆구리의 기혈순환을 좋게 한다.
② 肝兪, 陽陵泉으로 肝膽을 보해서 옆구리가 켕기는 것을 없애고, 陰陵泉, 三陰交로 물길 돌림을 좋게 해서 水飮을 내린다. 또 然谷으로 腎水를 고르게 한다.
4. 留飮
※ 病因
脾胃의 양기가 허하여 생긴다.
※ 症狀
갈증이 나며, 팔다리의 뼈마디가 시큰거리며 아프고, 잔등이 시리고 숨결이 밭다. 수음이 머물러 있는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가슴에 있으면 숨이 차고, 옆구리에 있으면 肝膽의 기능이 장애되어 옆구리 통증이 缺盆穴까지 뻗친다. 또 잔등에 있으면 등이 시리고, 경맥에 있으면 팔다리의 뼈마디가 아프다. 脾에 있으면 배가 붓고 몸이 무거우며, 腎에 있으면 음낭과 정강이가 붓는다.
※ 治療法
먼저 留飮을 없앤 다음 健脾溫腎하는 방법을 쓴다.
※ 處方
① 胃正格 또는 腎正格 ② 胃兪, 腎兪, 神門, 少海, 內關, 豊隆
※ 體要
① 胃正格으로 비위를 보하거나, 腎正格으로 신을 溫補해서 유음을 없앤다.
② 胃兪로 비위를 보하고, 腎兪로 腎.膀胱을 보하고, 神門, 少海, 內關으로 가슴을 편안하게 하고, 豊隆으로 가래를 없앤다.
※ 參考
症에 따라 留飮이 가슴에 있을 때는 肝兪, 膽兪, 잔등에 있을 때는 膈兪, 脾에 있을 때는 脾兪, 章門,
腎에 있을 때는 志室, 關元을 배합해서 쓴다. 그리고 痰飮病에는 침보다는 뜸치료가 더욱 효과적이다.
'病症別 鍼處方 > 호흡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모(感冒 ~ 感氣) (0) | 2014.03.19 |
---|---|
각혈(喀血) (0) | 2014.03.19 |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 (0) | 2014.03.19 |
기관지염(氣管支炎 ) (0) | 2014.03.19 |
기관지확장증(氣管支擴張症) (0) |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