臺座
요약 불·보살 또는 천인·승려 등이 앉거나 서는 자리.
불상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나 32상 80종호에는 대좌에 관한 설명이 전혀 없어 그 기원과 전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원래는 붓다가 보리수 아래에서 불도(佛道)를 깨달을 때 앉았던 풀방석에서 유래한 것으로 후에는 이 자리를 금강좌(金剛座)라 불렀다. 그 형태는 불상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연화좌(蓮花座)·사자좌(獅子座)·상현좌(裳懸座)·암좌(岩座)·운좌(雲座)·조수좌(鳥獸座)·생령좌(生靈座) 등이 있다. 그중에서 연화좌와 사자좌가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① 연화좌는 대좌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며, 연꽃은 더러운 흙 속에서도 청정함을 잃지 않는 덕이 있기 때문에 특히 많이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연꽃줄기만 표현한 연화대좌가 만들어졌으나 단판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합친 연화, 여러 개가 포개진 복판 연판, 그리고 장엄화된 보련화 등으로 발전했으며 점차 복잡한 구성으로 전개되었다. 보통 형태는 크게 방형대좌와 원형대좌로 나눌 수 있는데, 방형대좌는 4각·6각·8각 등이며 그중에서 4각대좌는 한국·인도·중국·일본에서 가장 유행한 형식이다.
초기에는 단순한 네모꼴이었으나 차츰 복잡해져서 상대·중대·하대를 이루게 되었으며 특히 중대는 상대·하대에 비해 폭이 좁고 가늘다.
한국 불상에서 4각대좌의 대표적인 예로는 청량사석조석가불좌상과 성주사석대좌를 들 수 있다. 8각대좌는 통일신라시대부터 보이기 시작해 8세기 중엽에서 9세기에 걸쳐 크게 유행했으며 경주남산삼릉계석불좌상·용장사계석조약사불좌상·축서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등 많은 예가 남아 있다.
반면에 원형대좌는 원통형으로 8각대좌에서 유래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원통형 대좌에 연꽃이 새겨진 것과 원통형에 8각 중대가 있는 대좌가 있는데, 전자는 삼국시대 불상에서 많이 나타나며 후자의 예는 석굴암 본존불의 대좌가 대표적이다.
② 사자좌는 대좌의 형태에서 유래된 이름이 아니라 부처가 사자와 같은 위엄과 위세를 가지고 중생을 올바르게 이끈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로서 경전에서는 자주 언급된다. 실제로 대좌의 좌우 양쪽에 사자를 새긴 예는 매우 드문 편인데 뚝섬에서 출토된 금동불좌상이나 지안[輯安]의 장전리 1호 고분벽화에 보이는 고구려 초기의 불상예배도,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 등에서 볼 수 있다.
이 사자좌는 불·보살을 비롯한 여러 불상에 널리 이용되는 연화좌와는 달리 여래상에서만 나타난다.
③ 상현좌는 '옷이 걸쳐져 있는 대좌'라는 뜻으로 결가부좌한 불상이 입은 옷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는 형식을 말한다. 특히 불상 표현이 중국화되어가는 과정에서 옷주름 표현이 강조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북위시대의 용문이나 맥적산 불좌상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했는데 특히 백제시대의 부여 군수리사지 납석제불좌상과 청양 출토의 대형 도제불상대좌가 대표적인 예이다.
④ 암좌는 울퉁불퉁한 바위 형태를 표현한 대좌로 주로 명왕과 천부상에 사용되며 분황사석탑의 인왕상이나 석굴암 팔부중의 대좌에서 나타나고 있다.
⑤ 운좌는 구름 형태로 내영(來迎) 형식의 아미타삼존 내지 독존상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보살상·신장상·천부상의 대좌로도 이용된다.
⑥ 조수좌는 동물을 불상의 대좌로 사용한 형식으로 인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보살·명왕·신장상 등에 나타나는 동물은 신화에 의한 것은 거의 없고 오히려 교리와 관련된 의미를 가진 것이 많다. 금강계 오불(五佛)에는 각각의 동물이 있는데 대일여래(大日如來)는 두려움이 없는 까닭에 사자(獅子) 위에 앉아 있고, 아촉여래(阿閦如來)의 코끼리는 힘을, 아미타여래의 공작은 자재(自在)를, 보생여래(寶生如來)의 말은 신력을, 불공성취여래(不空成就如來)의 금시조는 무애(無礙)를 상징한다.
한국에서는 9세기경의 법주사와 불국사에 파편으로 남아 있는 사자좌나 코끼리좌를 제외하고는 거의 볼 수 없다.
⑦ 생령좌는 천인에서부터 아귀축생(餓鬼畜生)에 이르기까지 살아 있는 모든 생물을 대좌로 한 형식으로 옳지 않은 생령을 힘으로 항복시킨다는 뜻이 있다. 대개 명왕이나 신장상이 타거나 서 있는 것으로 좌상에서는 거의 볼 수 없고 주로 입상에 많이 나타난다.
한국에서는 사천왕·팔부중의 대좌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감은사지3층석탑 출토 사리기 사천왕상을 비롯하여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사천왕상전, 석굴암 사천왕상 및 팔부중상 등이 있다.
이밖에도 밀교상에는 부동명왕의 슬슬좌(瑟瑟座)와 천부상의 반석좌(盤石座)·구유좌 등 특수한 예가 있으며 또한 고승이 많이 사용하는 승좌(繩座)와 곡록(曲彔) 등도 있다.
'文化 遺跡 > 佛敎 美術 建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의 모든 것 (0) | 2018.03.10 |
---|---|
淸道 鳳岐里 三層石塔 (0) | 2018.03.10 |
佛像의 圖像 (0) | 2018.02.28 |
韓國 傳統 寺刹 建築 鑑賞 方法 硏究 (0) | 2018.02.25 |
通度寺 (0) | 2018.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