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의 對話/목본 일반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겨울눈과 나무껍질로 겨울에도 나무이름 알 수 있다

초암 정만순 2018. 2. 28. 14:05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겨울눈과 나무껍질로 겨울에도 나무이름 알 수 있다



패션을 생각하면 외투 하나로 겨울을 나긴 어렵지만 하나만 있어도 겨울을 날 수 있게 하는 것이 외투입니다.

인고의 시간을 위한 대비책이 없다면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하기에 외투는 있고 없고가 중요하지 몇 개 있느냐가 중요한 건 아닙니다.

백목련의 겨울눈
백목련의 겨울눈

나무들도 겨울을 위하여 한 개쯤의 외투는 갖고 있습니다.

화려한 봄날을 꿈꾸는 나무일수록 겨울눈 보호에 가장 많은 공을 들입니다.

공원에 선 백목련도 그렇습니다. 무게를 갖고 쏟아지는 겨울눈에도 아랑곳하지 않을 만한 외투를 가지 끝 겨울눈마다 하나씩 장만했습니다. 그야말로 롱패딩입니다.

겨울눈을 겨울눈으로 이겨내는 모습이 장엄하기까지 합니다.

성질 급한 갯버들은 올해도 또 실수하고 맙니다.

잠시 포근했던 날을 참지 못해 외투를 벗었다가 북극 한파에 얼어버렸습니다.

겨울눈도 벗을 때를 잘 알아야 한다는 걸 매년 경험하면서도 고치지 못합니다.

성급하게 벗어던진 갯버들의 겨울눈
성급하게 벗어던진 갯버들의 겨울눈

겨울눈은 용도에 따라 꽃눈과 잎눈으로 나눕니다.

꽃눈과 잎눈은 겉모양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겨울눈이 둥글면 꽃눈, 길고 뾰족하면 잎눈입니다.

꽃눈은 그 안에 꽃 조직을 싸고 있으므로 둥그스름합니다.


잎눈은 그 안에 잎 조직을 옆으로 말고 있으므로 길고 뾰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비목나무의 꽃눈과 잎눈
비목나무의 꽃눈과 잎눈

딱총나무 같은 것은 꽃눈과 잎눈이 섞여 있는 수가 많습니다.

그런 것은 섞임눈(혼아, 混芽) 또는 혼합눈이라고 합니다.

섞임눈은 외형적으로 꽃눈처럼 둥그스름하므로 꽃눈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딱총나무는 잎 조직과 꽃 조직이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많다
딱총나무는 잎 조직과 꽃 조직이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많다

약간 생소하지만 묻힌눈(은아, 隱芽)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껍질 속에 묻혀 있어 잘 드러나지 않는 눈을 말합니다.

다래나 개다래에서 나타나는 눈입니다.

그들은 여름이나 돼야 꽃 피는 덩굴나무다 보니 구태여 겨울눈을 만들어 밖에 내놓고 찬바람 맞힐 이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겨우내 껍질 속에 묻어두고 있는 것입니다.

다래는 겨울눈을 껍질 속에 묻는다
다래는 겨울눈을 껍질 속에 묻는다

꽃눈과 잎눈이 파열되는 시기는 나무마다 다릅니다.

꽃눈이 먼저 파열되는 것이 있고, 잎눈이 먼저 파열되는 것도 있으며, 꽃눈과 잎눈이 동시에 파열되는 것도 있습니다.

봄에 일찍 꽃 피는 나무들은 꽃눈이 먼저 파열됩니다.

늦봄이나 여름에 꽃 피는 나무들은 잎눈이 먼저 파열됩니다.

아니면 겨울눈이 형성되지 않았다가 새로 나온 가지나 잎 사이에서 꽃이 핍니다.

그 중간쯤에 꽃 피는 나무들은 꽃눈과 잎눈이 동시에 파열됩니다.

너무 당연하지 않냐고요? 당연하지만 그 어느 자료에도 없는 이치를 스스로 처음 깨달았을 때 뜻하지 않은 감동이 밀려올 수도 있습니다.

겨울눈은 생기는 위치에 따라 끝눈(정아, 頂芽)과 곁눈(측아, 側芽)으로 나눕니다.

끝눈은 가지나 줄기 끝에 달리는 눈을 말합니다.

 곁눈은 가지 옆쪽이나 끝눈 양쪽에 달리는 눈입니다. 끝눈이 해를 입었을 때를 대비한 눈이라고 보면 됩니다.

복자기의 끝눈과 곁눈
복자기의 끝눈과 곁눈

가짜끝눈(준정아, 准頂芽)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끝눈처럼 보이지만 크기가 곁눈과 비슷하고, 말라버린 잔가지가 옆에 남아 있는 눈을 말하며 헛끝눈이라고도 합니다.

정상적인 곁눈의 상하나 좌우에 덧니처럼 생기는 눈도 있습니다. 그런 것은 덧눈(부아, 副芽)이라고 합니다.

말오줌때의 가짜끝눈
말오줌때의 가짜끝눈

겨울눈은 대부분 눈비늘조각(아린, 芽鱗)이라는 조직으로 싸입니다.

그래야 꽃이나 잎이 될 조직을 겨우내 보호할 수 있습니다.

눈비늘조각 없이 그대로 드러난 것도 있습니다. 그런 겨울눈을 ‘맨눈(나아, 裸芽)’이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무방비 상태로 노출하는 건 아닙니다. 대개 겉면이 털로 덮여 있습니다.

쪽동백나무나 나도밤나무가 그렇습니다.

이들의 특이하게 생긴 겨울눈을 익혀두면 겨울 산에 가서 너무나도 싱겁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너도밤나무의 눈비늘조각
너도밤나무의 눈비늘조각



나도밤나무의 맨눈
나도밤나무의 맨눈

사실 겨울나무들은 내가 누군지 알아 맞춰보라고 도발하는 듯합니다.

꽃이나 잎이 있어도 알아보지 못하는 마당에 어떻게 알아볼까 싶지만,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위에서 말한 겨울눈 외에 훤히 드러난 나무껍질로도 얼마든지 식별이 가능합니다.

나무껍질만으로 모든 나무를 구별해 낼 수는 없지만, 특징적인 껍질을 가진 나무들은 요즘 같은 겨울에 더 잘 보입니다.

허옇게 버짐이 핀 듯한 양버즘나무의 푸석한 껍질, 사슴뿔처럼 아름다운 결을 가진 노각나무의 울긋불긋한 껍질,

원숭이도 미끄러진다는 배롱나무의 매끄러운 껍질, 군복을 흉내 낸 듯한 모과나무의 얼룩덜룩한 껍질, 상서로운 흰빛으로

빛나는 백송의 새하얀 껍질은 너무나도 인상적입니다.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겨울눈과 나무껍질로 겨울에도 나무이름 알 수 있다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겨울눈과 나무껍질로 겨울에도 나무이름 알 수 있다

화단이나 정원에는 키가 작고 줄기가 여럿인 나무가 많습니다. 관목(떨기나무)이라고 부르는 나무입니다.

그중 줄기가 짙푸른 것은 십중팔구 황매화입니다.

줄기가 붉고 열매가 흰색인 것은 흰말채나무일 겁니다.

열매가 흰색인 건 같은데 줄기가 노란색이라면 노랑말채나무일 겁니다.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겨울눈과 나무껍질로 겨울에도 나무이름 알 수 있다

이 정도만 알려고 해도 금방 봄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여튼 나무들은 열심히 그들만의 잔치를 준비하고 있을 겁니다.




'숲과의 對話 > 목본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팥배나무 마가목  (0) 2019.04.01
벚나무의 종류와 구별법  (0) 2019.04.01
독특한 수피들  (0) 2018.01.28
나무이름의 유래  (0) 2017.11.09
단풍나무 - 종류와 특징  (0) 2017.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