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의 對話/목본(하)

호두나무

초암 정만순 2017. 3. 16. 08:56



호두나무


다른 표기 언어 Persian Walnut , 胡桃 , カシグルミ樫胡桃



요약 테이블
분류 가래나무과
학명Juglans regia


경부선 완행열차에 몸을 실어 본 추억이 있는 세대에게 호두는 아련한 낭만으로 기억된다.

서울을 출발하여 조금 출출해질 때쯤이면 ‘천안명물 호두과자’란 행상들의 외침에 군침이 돈다. 천안에는 능수버들이 축 늘어진 천안삼거리만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호두과자로 더 유명한 고장이다. 지금이야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과자가 되어버려 아쉬움이 남을 뿐이다.

호두는 아득한 옛날 멀리 중동지역에서 처음으로 중국에 들어왔다.

기원전 139년 한나라의 무제는 장건이란 외교관을 오늘날 이란, 아프가니스탄쯤으로 짐작되는 대월지(大月氏)국에 파견한다. 장건은 흉노를 협공하자는 한무제의 말을 전할 임무를 띠고 파견된 특사였다. 그러나 외교는 실패로 돌아갔고, 오히려 흉노에게 붙잡혀 13년간이나 포로 생활을 하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서 돌아온다. 그의 손은 빈손이었지만 괴나리봇짐 속에는 호두 몇 알이 들어 있었다. 이렇게 들어온 호두는 이후 중국 땅에 널리 퍼졌다.

오랑캐 나라에서 들여온, 모양이 마치 복숭아씨처럼 생긴 이 과실을 보고 중국 사람들은 호도(胡桃)란 이름을 붙였다.

우리나라도 이를 그대로 받아들여 호도라 불렀다. 다만 오늘날 한글 맞춤법에 따라 호두로 바뀌었다.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신라 때라고도 하고 고려 때라고도 한다. 《신라민정문서》각주1) 는 경덕왕 14년(755)에 만들어진 충청도 어느 지방 농토의 현황 조사서인데, 여기에 호두나무를 심은 기록이 나와 있다. 또 《고려사》에 실린 〈한림별곡〉의 가사에 나오는 당추자(唐楸子)란 구절은 호두가 벌써 당나라 때 들어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고려 말 천안 광덕면 출신의 유청신이란 문신이 있었다.

그가 충렬왕 16년(1290)에 원나라에 갔다가 임금을 모시고 돌아오면서, 호두나무 묘목과 열매를 가져왔다고 전해진다. 가져온 묘목은 천안 광덕사에, 열매는 자신의 고향집인 광덕면 뜰 앞에 심어서 오늘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때 절 앞에 심은 나무가 천연기념물 398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절 안에도 노거수(老巨樹) 몇 그루가 더 자라고 있다. 언제, 어떻게 들어왔는지는 논란이 있지만, 유청신과의 인연으로 오늘날 천안 일대는 호두나무가 많다고 한다.

호두는 탁구공보다 조금 작은 크기에 딱딱한 껍질을 뒤집어쓰고 있다.

우리가 먹는 부분은 씨앗의 속살, 즉 배유(胚乳)이다. 잣, 밤, 은행, 땅콩 등과 함께 정월 대보름날이면 호두를 깨물어 먹는데 이를 통틀어 부럼이라고 한다. 깨물어 먹으면 이가 튼튼해지고 부스럼을 앓지 않는다고 한다.


호두에는 지방과 단백질 및 당분이 많아 고소하고 약간 달콤하다.

그 외에 무기질, 망간, 마그네슘, 인산칼슘, 철, 비타민 등 무기물도 풍부하다. 고단백 웰빙 식품으로서의 조건을 모두 갖춘 셈이다. 특히 성장기 아이들의 두뇌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 씨앗 표면의 몽실몽실한 작은 주름은 뇌를 그대로 닮아 머리가 좋아질 것이라는 상상을 하기에 충분하다. 강장제나 변비를 없애는 데도 효과가 있으며, 호두기름은 민간약으로 피부병에 널리 쓰이기도 한다.

호두는 실크로드를 타고 유럽에도 널리 퍼졌다. 영어 이름은 ‘월넛(walnut)’이며, 서양인들에게도 맛있는 과실나무였다.

유명한 발레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은 호두를 가까이한 그들의 문화를 읽을 수 있는 좋은 예다.

호두나무와 가래나무는 과실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재질이 좋다고 널리 알려진 나무다.

북아메리카가 고향인 흑호두나무를 비롯하여 호두나무로 만들어진 가구나 조각품은 앞에 ‘고급’이란 접두어가 꼭 붙을 정도다.





'숲과의 對話 > 목본(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살나무  (0) 2017.08.08
향나무  (0) 2017.03.26
헛깨나무  (0) 2017.03.24
호랑가시나무  (0) 2017.03.23
향선나무  (0) 2017.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