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오(川烏)A
학명 | Aconitum carmichaeli Debx (= Aconitum chinense Sieb. et Zucc.) |
---|---|
라틴명 | Aconiti Tuber |
일반명 | 부자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毛茛科:Ranunculaceae) |
약용부위 | 덩이뿌리 |
약재성상 | 이 약은 고르지 않은 원추형-방추형으로 길이 2-6cm, 지름 1-3cm이다. 바깥변은 회갈색-흑갈색을 띠고 위쪽에는 파여진 줄기자국과 자근(子根) 및 뿌리가 떨어진 흔적이 있고 가는 가로주름의 무늬가 있다. 질은 단단하여 꺾기 어렵다. 이 약의 횡단면은 가루상이고 사부는 갈색, 목부는 유백색-회백색을 나타낸다. |
효능 | 거풍제습(祛風除濕) 풍사(風邪)과 습사(濕邪)가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통증이 옮겨 다니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임 |
주치병증 | 두풍(頭風)을 말함. 중풍(中風)에서 늘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 반신불수(半身不隨)라고도 쓰고, 편고(偏枯), 편풍(偏風)이라고도 함.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證幷治)>에서 "풍이 병을 일으키면 으레 반신불수(半身不隨)가 된다.(夫風之爲病, 當半身不遂.)"라고 하였다. 주된 증상은 몸의 반쪽을 뜻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 사지의 근맥(筋脈)이 땅기면서 뒤틀리는 것.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에 "소아는 기육(肌肉)이 연약하여 풍(風)에 쉽게 상(傷)한다. 풍랭(風冷)의 사기(邪氣)가 기부(肌膚)를 통해 경락(經絡)에 들어와 근맥(筋脈)과 상박(相搏)하면, 근맥이 냉(冷)을 얻어 급(急)해지는 까닭에 사지구련(四肢拘攣)이 일어난다.(夫小兒肌肉嫩弱,... 이한(裏寒)의 증후. 흉복부(胸腹部)(胸腹部)가 아프고, 아픈 부위에 냉감이 있음. 비위(脾胃)가 본래 허한 데에 풍한사(風寒邪)가 침습해 정기와 사기가 다투어 상하로 쳐서 일어남. 음저(陰疽)로 인해 헌 데의 독. 풍(風), 한(寒), 습(濕)의 3기가 겹쳐 발생한 비증(痺證). [성제총록(聖濟總錄)] 제20권에 나옴. 풍, 한, 습 3기가 섞여 기혈(氣血)을 뭉치게 함으로써 몸이 무거우면서 아프고 팔다리가 땅기며, 심하면 여기저기가 아프거나 손발이 나무처럼 뻣뻣하여지기도 한다. |
수치법 | 천오두(川烏頭)를 냉수(冷水)에 3-5일(매일 1-2회 환수(換水)) 담갔다가 용기속에 넣고 흑두(黑豆) 혹은 두부(豆腐), 감초(甘草) 및 생강편(生薑片)을 넣어 뒤섞은 후에 2-4시간 자비(煮沸)해서 안쪽의 백심(白心)이 없어질 정도가 되면 냉각시켜 보료(輔料)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홍건(烘乾)한다. |
이명 | 천오두(川烏頭), 오두(烏頭), 오훼(烏喙), 해독(奚毒), 즉자(卽子), 계독(鷄毒), 독공(毒公), 경자(耿子) |
성미 | 대독(大毒), 신고(辛苦), 열(熱) |
작용부위 | 간(肝); 명문(命門); 비(脾); 신(腎); 심(心) |
금기 | 음허양성(陰虛陽盛), 열증동통(熱證疼痛)과 잉부(孕婦)는 복용을 금한다. |
포함처방 (총 403건) | 중풍(中風)으로 입이 돌아가고 사지(四肢)가 뒤틀리고 마비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은진(癮疹)이 머리와 얼굴로 올라가 붉게 붓고 간지러우며 피부가 떨어져 나가 창(瘡)을 이루며 여기저기 돌아다녀 마치 벌레가 돌아다니는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중풍(中風)에 담연(痰涎)이 심하게 막힌 것과 일절(一切)의 풍(風)병중 다른 약으로 치료가 안 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간신(肝腎)이 모두 허(虛)해서 다리와 무릎이 아프고 약하거나 혹 풍한습(風寒濕)의 사기(邪氣)를 받아 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간질이 오랫동안 낫지 않고 완고한 담연(痰涎)이 흩어졌다 뭉쳤다 하면서 여러 가지 병증을 일으키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풍습(風濕)의 사기(邪氣)로 인해 여기저기가 매우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소장기(小腸氣)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퇴산(㿉疝)이 오래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눈이 몹시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신(腎)이 허해서 생긴 요통(腰痛)과 소변이 자주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염창(臁瘡), 인면창(人面瘡)의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