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허증(心血虛證) 및 허손(虛損)
● 심혈허증(心血虛證)
심음허(心陰虛), 심혈부족(心血不足). 피를 잃거나 지나친 정신 피로, 또는 혈의 생화(生化)의 근원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병증. 혈(血)은 음(陰)이므로 심음허(心陰虛)라고도 하며, 심혈부족(心血不足)이라고도 한다. 가슴이 두근거리고 갑갑하며, 잘 놀라고,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잘 잊으며 아찔하고 핑 돌고, 얼굴색이 창백하며, 입술과 혀의 색이 멀겋고, 맥이 세약(細弱)한 증상이 나타난다.
● 허손(虛損)
허로(虛勞). 권태감 및 피로감. 칠정노상(七情勞傷), 음식이나 주색 내상, 또는 병후 조섭부조로 음양(陰陽), 기혈(氣血), 장부(臟腑)가 손상되어 생김. 기허(氣虛)는 폐위(肺胃)의 허손이 많으며 사지 무력, 말하기 싫고, 움직이면 호흡촉박, 자한(自汗), 심번(心煩)이 있음. 혈허(血虛)는 심간(心肝)의 허손이 많으며 토혈, 변혈(便血), 붕루(崩漏), 두훈안화(頭暈眼花) 등이 나타나고 건혈로(乾血勞)가 되기도 함. 양허(陽虛)는 비위(脾胃)의 허손이 많으며 식사량이 줄고, 대변이 묽고, 소화가 안 되고, 요슬무력, 정신 피로, 증한, 양위(陽痿), 정설(精泄), 소변청장, 면색창백, 설담(舌淡), 설태백, 맥은 침지(沈遲)함. 음허(陰虛)는 폐신(肺腎)의 허손이 많으며 폐음허(肺陰虛)면 마른 기침, 객혈(喀血), 구건인조, 조열(潮熱), 도한(盜汗), 양관조홍(兩顴潮紅), 설강(舌絳), 맥은 세(細), 삭(數)함. 신음허손(腎陰虛損)이면 요슬무력(腰膝無力), 동통(疼痛), 두훈, 이명(耳鳴), 유정(遺精), 조설(早泄), 인후동통, 양관조홍, 설강(舌絳), 맥은 침(沈), 세(細), 삭(數)함.
<관련처방>
금액단(金液丹), 우방백출산(又方白朮散), 공진단(拱辰丹), 궁방서연원(宮方瑞蓮圓), 증익귀용원(增益歸茸圓),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인참황기탕(人參黃芪湯), 가미지황탕(加味地黃湯), 귀원음(歸源飮), 사신단(四神丹), 복화이기단(伏火二氣丹), 진영단(震靈丹),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산약주(山藥酒), 금쇄정원단(金鎖正元丹),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 반본환(返本丸), 이지환(二至丸),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보신환(補腎丸), 보음환(補陰丸), 팔선장수환(八仙長壽丸), 도식법(倒食法), 팔미대건중탕(八味大建中湯), 흑지황환(黑地黃丸),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반룡환(斑龍丸), 오보원(五補元),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황정(黃精), 십보탕(十補湯), 쇄건인유법(曬乾人乳法),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조전약법(造煎藥法), 당귀고(當歸膏),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사신단(四神丹), 접명단(接命丹),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삼출조원고(蔘朮調元膏), 삼정환(三精丸),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소접명훈제비방(小接命熏臍秘方)
[출처] 한국전통지식포탈
'建康 散步 > 증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불량 (Dyspepsia) (0) | 2017.01.04 |
---|---|
메켈게실 (Meckel's diverticulum) (0) | 2017.01.04 |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Spinocerebellar ataxia, SCA) (0) | 2017.01.04 |
신증후군 (Nephrotic syndrome) (0) | 2017.01.04 |
자폐증 (Autism) (0) | 2017.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