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출처] 서울아산병원
<증상> 빈호흡, 가슴 두근거림, 피로감, 근육긴장, 설사, 복부 불편감, 목의 이물감, 얼굴이 화끈거림, 초조함, 불면증, 빈뇨
<진료과> 정신건강의학과
<관련질환> 공황장애, 수면장애, 강박장애
<동의어> 불안증, 불안장애(不安障碍)
▶ 정의
만성적으로 걱정, 근심이 많은 병, 그래서 여러 가지 신체적인 증상이나 정신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 바로 불안장애 이다. 불안한 느낌이 지나치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다양한 신체증상이 동반되는 되는데, 걱정이나 불안, 근심의 대상이 건강, 경제적인 문제, 실직, 학업성적, 취직 등 구체적인 경우도 있지만, 무엇인가 끔찍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막연한 느낌처럼 근거가 없는 불안도 있다. 불안감 때문에 항상 긴장한 상태에 있게 되고 자율신경이 날카로워져 있어 업무에 집중하기 힘들고 일상생활에도 많은 장애가 된다.
일반인구의 약 25% 정도가 불안장애를 경험한다고 한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더 많다고 하며 우울증과 병발하는 경우도 많다.
▶ 원인
불안장애에는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다양한 질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안장애의 원인도 하나의 요소로만 설명할 수 없다. 공통적으로 불안장애는 유전적 요소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공황장애 환자의 경우 절반 이상에서 1명 이상의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친척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불안장애와 연관된 뇌 구조로는 전두엽, 변연계, 그리고 기저신경핵 등이 불안을 일으키는 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후두엽이 불안의 장소라는 이론도 있다. 이런 곳의 기능적인 장애(신경전달물질의 부족, 또는 과다)가 불안을 유발한다고 한다.
정신분석이론은 불안을 해결되지 않은 무의식적인 갈등의 표현으로 설명한다. 불안에는 무존재가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죽음에 대한 공포), 사랑하는 대상과의 이별에 관한 불안,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상실하는 데 대한 불안, 자기 자신의 이상과 가치에 대해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데 대한 불안 등이 있겠다.
또한 부정적인 주변 환경에 대한 과도한 인식, 주위 환경의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의 왜곡, 특정 문제에 대한 자신의 대응능력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인해 부정확하고 부적절하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불안이 생긴다고 인지행동이론적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 증상
일상적으로 불안감이 가끔 나타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불안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통제할 수 없어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방해받으며 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다. 불안장애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동반한다.
1. 불면증(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잠이 들기도 힘들다.)
2. 근육의 경직과 긴장
3. 예민함, 잘 놀라는 증상, 사소한 일에도 지나치게 염려한다.
4. 집중을 할 수 없으며, 마음이 항상 불안한 생각으로 차 있다. 초초하다.
5. 쉽게 피로해진다.
6. 안절부절못하고 벼랑에 선 듯한 느낌이 든다.
7. 이마 찌푸림(자신도 모르게 얼굴이 찌푸려진다)
8. 가슴이 두근거리고 손발이 저리거나 입이 마른다.
9. 얼굴이나 가슴이 화끈거린다.
10. 심장박동이 빨라진다.
11. 소변을 자주 보거나 아랫배가 불편하고 설사를 한다.
12. 목에 무엇인가 걸린 것 같은 이물감을 느끼고 호흡이 빠르다.
▶ 진단
불안장애에는 다양한 질병이 속해 있는데 그 중에 범불안장애라는 질병이 있는데 스스로 조절이 안 되는 지나친 걱정과 불안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병이다. 이 질병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여러 사건이나 활동(작업 또는 학교 성적)에 대한 지나친 불안과 걱정(염려스러운 예견)이 적어도 6개월 넘게, 최소한 한 번에 며칠 이상 일어난다.
2. 개인은 걱정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3. 불안과 걱정은 다음 6가지 증상(증상들이 적어도 며칠 이상, 지난 6개월 이내에 존재해야 한다.) 가운데 3가지(또는 그 이상) 증상을 동반한다(소아에서는 오직 한 가지 증상만 요구된다.).
(1) 안절부절못함, 또는 긴장이 고조되거나 가장자리에 선 느낌
(2) 쉽게 피로해짐.
(3) 집중 곤란 또는 머리가 멍해지는 느낌
(4) 과민한 기분상태
(5) 근육긴장
(6) 수면장애
▶ 치료
불안장애 안에는 다양한 질병이 속해 있어 질병마다 치료법이 조금씩 다르다.
약물 치료의 경우는 보통 항우울제(SSRI 등)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항불안제(벤조다이아제핀 등)을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정신과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면 약물 의존성이 생긴다고 일반적으로 생각을 많이 하는데 항우울제의 경우는 의존성이 거의 생기지 않고 항불안제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의존성이 잘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항불안제의 경우는 가급적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약물의 의존성에 대한 막연한 염려는 약을 조기에 중단하게 만들고 이로 인해 치료에 방해가 되어 오히려 약물 사용 기간만 더 길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정신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드시는 것이 약물 의존성을 낮추고 질병을 조기에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약물 치료 외에도 다양한 정신 치료, 인지 행동 치료, 이완기법, 바이오피드백 치료 기법을 이용하여 약물 치료와 병행 또는 단독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建康 散步 > 증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사증후군 [代謝症候群, metabolic syndrome] (0) | 2017.01.03 |
---|---|
식도암 (Esophageal cancer) (0) | 2017.01.03 |
폐경기 및 여성의 갱년기 상태 (Menopausal and female climacteric states) (0) | 2017.01.02 |
심장 제질환 (0) | 2017.01.02 |
조현병(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0) | 2017.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