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비뇨생식기계

유뇨증

초암 정만순 2016. 9. 19. 10:33



유뇨증



  유뇨증은 어린 아이들이 소변을 제어하지 못하는 일종의 병증으로 임상에서 두가지로 나눈다 : 소변실금과 수면중에서 소변을 배설한다. 본병은 만성병으로 치유가 어렵기에 환자의 정신상태는 우울하고, 정서 불안정으로 정신과 생활에 막대한 고통과 불편이 발생한다. 중의에서 비, 폐, 신, 방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腎氣부족으로 방광이 제어하지 못하고, 气化작용 이상으로 脾虚气陷,肺气不固,水液下输失常度으로 본병을 이르킨다.

치료원칙:
1、益气开陷,健脾益肺气
2、温肾固涩,温补肾阳,补养心、脾、肾
다년간 임상 실천을 통하여 침구로 33예의 유뇨증 환자를 치료하여 양호한 효과를 거두어 아래와 같이 보고한다.

임상자료
본팀 3예,남 23예,여 10예。연령범위:성인 1예,7-15세 32예,기중8-10세 4예,남성9예,10-15세 여성 6예,남성 13예。

치료방법
1、소변실금
취혈:백회(百会)、족삼리(足三里)、비수(脾俞)、관원(关元)、신수(肾俞)、중극(中极)、내관(内关)、중완(中脘)、삼음교(三阴交)、 음릉천(阴陵泉)、기해(气海)、방광수(膀胱俞)、관원수(关元俞)에 침자하고, 백회와 족삼리뜸을 가한다.
이침:신(肾)、방광(膀胱)、뇌점(脑点),침(枕)、비(脾)

2、수면중 유뇨
취혈:관원(关元)、백회(百)、족삼리(足三里)、삼음교(三阴交)、음릉천(阴陵泉)、방광수(膀胱俞)、삼초수(三焦俞)침하고,관원, 신궐, 신수, 족삼리에 뜸을 가한다.
이침:신(肾)、방광(膀胱)、뇌점(脑点)、침(枕)、지점(支点)

수지침:야뇨점(夜尿点)
10회를 한단계로 하고 중간 휴식 3-5일, 병 치료 기간 최단 3일부터 최장 4개월 치유.

치료표준
치유:소변을 제어하고, 수면중에 유뇨현상이 없다.
호전:매일 유뇨 현상이 며칠에 한번씩 혹은 점차 뜸해졌다.
무효:침후에 개선되지 않았다.

전형병예

1 등씨,남 13세,약 1년 전, 뇌염 후유증으로 소변실금 현상이 발생하였다. 밤마다 유뇨증이 발생하였고, 환자의 이곽, 회음부와 다리까지 습하여 수종과 괴사가 발생하여 2차례나 피부 이식 수술을 받아야 했다. 환자는 여위고, 정신이 맑지 못하고, 사지는 차고 표정은 고통스럽고, 설태(舌苔)는 백색, 맥약으로 본 병원에 와서 침구치료를 받게되였다.
본 환자는 큰 병후 신기가 손상되여 비, 폐, 신, 비허하고, 脾虚土不制水,中气下陷,固摄无权,气化异常,膀胱失约으로 유뇨증이 발생하였다.

치칙:温肾固涩,补养肺、脾、肾。
위의 혈위를 취하였다.
약 1개월의 치료를 경과하여 뇨실금은 현저하고 호전되여 밤새 흘리는 현상 1-2회로 호전되였다. 계속하여 침구 치료하여 2-3개월 경과하여 기본상 소변을 제어할 수 있어 이침을 가하여 1개월 후에 치유되였다. 효과를 공고히 하기위하여 약 반달 정도 침을 더하여 5년간 방문한 결과 반복되지 않았다.

2. 정씨, 여, 9세.
매일 밤 유뇨현상이 있고, 겨울이면 가중한다.
신기부족(肾气不足), 하원한랭(下元寒冷)으로 보신고원거한법(补肾固元祛寒法)으로 시침하였다.
취혈:관원(关元)、삼음교(三阴交)、족삼리(足三里)、음릉천(阴陵泉)、중극(中极)에 침자하고,관원(关元)、족삼리(足三里)에 뜸을 가한다. 침구 1개월 후에 치유되여 5년까지 방문한 결과 반복하지 않고 치유되였다.

체험:
유뇨증의 치료 과정중에서 유뇨증의 발병 원리에 의하여 정확하게 변증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중의 이론에 의하면 유뇨증은 허증에 속하며 다수는 肾气不足、肾气亏乏、下元虚冷으로 발병한다. 肾为先天之本,“肾主封藏”,开窍于二阴,主管二便,与膀胱互为表里,小便之职司于膀胱。소변의 래원은 삼초(三焦)의 기화(气化)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소변이 정상적으로 배설하는 것은 방광과 삼초의 기능이 건전하기 때문이다.

비허(脾虚) 즉 水谷精微不足以营养周身,全身不得周荣。 때문에 ,비허(脾虚)는 신허(肾虚),신과 방광허로 水道를 제어하지 못한다. 肺主一身之气,脾主中焦之气,肾主水,司开阖,肾气不足은 三焦的气化작용을 완성하지 못한다. 상호 영향을 미치고, 비허(脾虚)는 폐허(肺虚)에 영향을 미치고, 폐허(肺虚)는 신허(肾虚에) 영향을 미쳐, 신(肾)과 비(脾) 선천적으로 관계가 있다. 건비(健脾) 보신온양(补肾温阳), 溫陽으로 水分을 제어하여 보신배원(补肾培元)한다. 본문의 33예 환자는 위에서 말한 발병원리와 관계가 있다.

치료중 매환자마다 변증하여 구체적으로 같지 않은 병 상황을 분석하여 같지 않은 치료방법을 취하여 좋은 효과를 거두게 되었다.

위에서 말한 첫 번째 유뇨환자는 큰병후에 원기의 손상으로 肺、脾、肾俱虚,肾气亏乏,固摄无权,膀胱失约으로 유뇨증이 발생하였다. 温阳制水,固涩培元补养心、脾、肾하고, 동시에 이침을 가하여 치료한 결과 좋은 효과를 거두었다. 두 번째 환자의 치료는 관원 족삼음과 임맥의 교회혈이고, 阴中之海,人身元气之根,또한 三焦之气所自出의 혈위이기에 유뇨증의 중요한 혈위로서 補腎氣固本이다. 삼음교는 三陰之會로서 三陰之氣를 보하고 방광기능을 강화한다. 脾虛환자는 비, 족삼리를 가하여 健脾益氣하고, 신허환자는 신수, 기해를 가하여 補腎培元한다. 백회는 각 陽之會로서 補氣昇陽 겸元神을 조절한다. 폐기에 문제는 열결과 음릉천으로, 水道를 조절하는데 열결은 수태음폐의 絡혈이고. 팔맥교회혈으로 임맥을 통하여 폐기를 조절하며 三焦의 氣化를 완성한다. 음릉천은 족태음비경의 혈로 補脾滋陰하며 중극을 가하여 기화를 조절하고, 三焦氣化를 조절하여 溫陽制水하는 작용을 한다.

유뇨증을 볼 때 비, 폐허 환자는 健脾補肺를 위주로하고, 신허환자는 補腎配元, 溫中散寒을 위주로한다. 때문에 뜸을 가할 때는 생강뜸을 주로하고, 健脾를 보조로 한다. 병예를 볼 때 남성의 발병율이 여성 보다 높고 치유율이 높다. 어린이들은 신기부족으로 健脾補腎을 위주로 침감이 강할 수록 효과는 더욱 높다.

이외에 어린이들은 양호한 생활 습관이 중요하고, 잠들기 전에 물을 적게 마시며, 신체 단련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제고하고, 차운것을 피면하는 것이 좋다.


 

                                                


'病症別 鍼處方 > 비뇨생식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립선 비대증  (0) 2016.10.10
융폐  (0) 2016.09.19
요실금   (0) 2016.09.14
소변빈삭  (0) 2016.09.13
비신양허(脾肾阳虚) 유뇨   (0) 2016.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