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소아계

소아감적(疳積)

초암 정만순 2016. 9. 13. 14:42



소아감적(疳積)


임상에서 소아 감적(疳積)은 흔히 보이는 질병이고, 필자는 40년간 소아감적 분형 침구 치료경험을 아래와 같이 보고한다.

1. 실형(實型):

면황기수(面黃肌瘦), 복대견경(腹大堅硬), 뇨여미감(尿余微疳), 대변은 끈적하고, 냄새가 많이 나며, 흙이나, 석탄, 생쌀을 먹고, 비공(鼻孔)을 파며, 손가락 빨고, 때로는 복통, 구간번갈(口干煩渴) 등 현상 있으며, 대다수는 허약하고, 음식실상(飮食失常), 식적(食積), 충적(虫積)으로 위장이 정체하며, 비양실운(脾陽失運)한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청이구충(淸利驅虫), 소적화체(消積化滯)로 내정, 족삼리, 삼간, 중완, 활육문, 풍륭, 사봉, 비유, 삼음교 침자한다.

전형병예:

임씨, 남, 9세, 많이 먹고, 피로, 놀란 후에 기면(嗜眠)이 있었고, 점차 복통, 구간번갈(口干煩渴), 식욕부진, 여위고, 정신 상태는 나쁘며, 여러 가지 치료는 무효하여
내정, 족삼리, 후계, 간사, 사봉, 풍륭을 침자한 결과 좋은 효과가 있고, 두 번째 치료는 중완, 활육문, 사봉, 내정을 침자하여 효과를 보고, 후에 구충제를 복용하고, 격일 침자 1회, 10회하여 완치하였다.

2. 허형(虛型):

면색위백(面色萎白), 순설담(唇舌淡), 기부불택(肌肤不泽), 모발고조(毛发枯燥), 형용소수(形容消瘦), 정신위둔(精神萎顿), 기식저미(气息低微), 대변당활(大便溏滑), 오후조열(午后潮热), 지문 침암(沉暗) 현상이 있고, 대다수는 체질이 허약하고, 중기 허약, 또는 큰 병후에 영양이 결핍하고, 식욕부진 한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이기장양(理气壮阳), 배진고원(培真固元)으로
중완, 기해, 족삼리, 합곡, 비유, 대추, 백회, 관원(뜸), 신궐(뜸), 삼음교 침자 한다.

전형병예:

요씨, 남, 4세, 음식 불결으로 설사, 복통, 오후조열, 점차 여위고, 정신 상태는 나쁘며, 환병 2개월 후
사봉, 족삼리, 내정, 합곡, 백로를 침자하여 조열(潮熱)은 감소하고, 정신상태 호전,
계속 족삼리, 상중완, 양문, 기해, 내관을 침자하여 식욕이 회복, 설사는 멎었다.
세 번째 백로, 관원, 신궐(뜸), 사봉을 침자하여 현저한 효과가 있고, 계속 격일 1회, 위의 혈에 후계, 장문, 격유, 간유를 취하며, 매번 3-5개혈을 치료하여 모두 15회로 치유하였다.

3. 실다허소형(实多虚少型):

오후조열(午后潮热), 구갈희음(口渴喜饮), 신수복대(身瘦腹大), 면용초췌(面容憔悴), 두발고위불택(头发枯萎不泽), 많이 먹고 소화하지 못한다. 비위손상으로 점차 비괴(痞块)를 형성한다. 소적화식(消积化食), 청간이담(清肝利胆), 화위거체(和胃祛滞), 건비이기(健脾理气)로
상완, 활육문, 기해, 족삼리, 풍륭, 내관, 조해, 지구, 사봉, 곡택, 백로를 침자 한다.

전형병예:

이씨, 남, 12세, 감적, 소화불량 설사는 백색, 여위고, 약 3주일. 비양(脾陽)을 배양하여 원기(元氣) 회복하는 방법으로 백회(뜸), 신궐(뜸), 기해(뜸), 족삼리, 천추, 내정, 합곡 침자한 결과 설사는 감소하고,

여위고, 정신상태 반응이 늦으며, 오후조열(午后潮熱) 등 증상에 중완, 천추, 합곡, 족삼리, 신궐(뜸), 기해 침자하고,

세 번째 치료로 사봉, 이내정, 족삼리, 지구, 상중완, 기해를 취하여 먼저 침자하고, 후에 신궐 뜸하여 효과를 보고, 후에 위의 혈에 행간, 풍지, 곡택 가하여 매차 3-5개혈을 취하고, 격일 1회로, 모두 10회 치료하여 완치하였다.

4. 허다실소형(虚多实少型):

선식기수(善食肌瘦), 두발고초(頭發枯焦) 탈락, 대변당박(大便溏薄), 연황색 소화불량의 끈적하고, 비린 냄새나는 변을 1일 5-6회 또는 수십 회를 보며, 번조불안(煩躁不安), 대다수가 허다실소(虚多实少) 후기에 위장 문란하여 소화능력 실조가 원인이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소식도체(消食導滯), 이기(理氣) 배원고본(配元固本)으로
중완, 태을, 천추, 기해, 족삼리, 태백, 합곡, 내정, 비유, 중려유를 침자 한다.

전형병예:

송씨, 남, 6세, 식체상비(食滯傷脾), 비허운화(脾虛運化)하지 못하여 대변당설, 여위고, 번조(煩躁), 오랜 질병이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이기도체(理氣導滯)로 중완, 태을, 천추, 기해, 족삼리, 내정, 내관, 대도를 치료하여 증상이 감소한 다음, 위의 혈에 비유, 격유, 간유를 가하여 격일 1회, 3-5개혈 선택하여 모두 7회 치료 경과하여 완치하였다.

체험:

소아감적 치료는 급성과 만성 여부와 엄중정도에 따라 보사를 선택하고, 대다수가 허증이 많으나, 실사(實邪)하기에 소열소적(消熱消積), 화체구충(化滯驅虫)하고, 비위(脾胃)를 조절하여 효과 본다.



 


'病症別 鍼處方 > 소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 안면마비  (0) 2016.09.19
소아 설사  (0) 2016.09.19
소아 안면마비 치료  (0) 2016.09.11
소아경련의 침구요법  (0) 2016.09.06
백일해의 침구요법  (0) 2016.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