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中風)의 변증 및 침구치료
중풍(中風)은 흔히 일종의 급성질병으로 중ㆍ노년인 환자의 경우가 많다. 본병은 돌연 혼미(昏迷), 인사불성(人事不省), 반신불수(半身不遂), 구각왜사(口角歪斜)등이 주요 증상이다.
본병은 뇌일혈(腦溢血), 뇌혈전(腦血栓), 뇌전색(腦栓塞)등을 포괄한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본병 발생원인은 대개 풍(風), 화(火), 담(痰), 3자(者)가 변하여 질환으로 되며 병변이 심(心), 간(肝), 비(脾), 신(腎)등 장부에 미친다.
⑵ 변증(辨證)
A. 중풍선조(中風先兆) : 중풍은 주로 기혈(氣血)이 상역(上逆)해 병으로 된다. 그러므로 현운(眩暈), 심계(心悸), 지마(肢麻), 수족핍력(手足乏力), 설강(舌强)등 선조증상(先兆症狀)이 나타난다.
B. 중경락(中經絡) : 병이 경락에 있으며, 장부에 미치지 않고, 혹은 장부기능(臟腑機能)이 점차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경락의 기혈은 여전히 조체(阻滯)되어 병으로 된다. 주로 반신불수(半身不遂), 기부불인(肌膚不仁), 설강언벽(舌强言躄), 구각왜사(口角歪斜), 맥세활(脈細滑)등 증상이 나타난다.
① 폐증(閉證) : 기혈상역(氣血上逆), 담탁옹성(痰濁壅盛)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신지혼매(神志昏昧), 아관긴폐(牙關緊閉), 양수긴악(兩手緊握), 면적기조(面赤氣粗), 후중담명(喉中痰鳴), 이변불통(二便不通), 맥현활삭(脈弦滑數)등의 증상을 볼 수 있다.
② 탈증(脫證) : 진기쇠미(眞氣衰微), 원양폭탈(元陽暴脫)로 인해 나타난다. 목합구장(目合口張), 수철(手撤), 유뇨(遺尿), 비한식미(鼻鼾息微), 사지궐랭(四肢厥冷), 맥상세약(脈象細弱), 한출여유(汗出如油), 양권담홍(兩顴淡紅)등의 증상을 볼 수 있다.
⑶ 치료(治療)
A. 중경락(中經絡) : 병재경락(病在經絡), 미급장부(未及臟腑)
① 반신불수(半身不遂)
- 치법 : 수족양명경혈위주(手足陽明經穴爲主)로 취혈하며, 태양(太陽), 소양경혈(少陽經穴)로 보조하고, 일반적으로 병측혈(病側穴)을 고르게 자침(刺鍼)하되,선침건측(先鍼健側) 후침병측(後鍼病側)한다. 즉 보건측(補健側), 사환측(瀉患側)한다. 이 방법은 병정(病程)이 비교적 오래된 자에 적용된다.
- 처방 : 상지(上肢) - 견우(LI14), 곡지(LI11), 수삼리(LI10), 외관(SJ5), 합곡(LI4).
하지(下肢) - 환도(GB30), 양릉천(GB34), 족삼리(ST36), 해계(ST41), 곤륜(BL60).
- 방의 : 풍병(風病)은 양경(陽經)을 침범한다. 그러므로 본 처방은 양경수혈(陽經腧穴)을 위주로 한다.
양명(陽明)은 다기다혈(多氣多血)의 경맥(經脈)으로서 양명경(陽明經)은 기혈(氣血)을 통창(通暢)시키며, 정기(正氣)를 부조(扶助)하고, 인체기능을 회복시키는 효능이 있다. 상하지경맥(上下肢經脈)의 순행노선(循行路線)이 부동(不同)하기 때문에 수족양명경(手足陽明經)을 나누어 취하여, 경맥을 조화시키고 기혈을 소통(疏通)시키는 작용이 있다.
- 수증배혈 : 위에 열거한 처방외에 반신불수(半身不遂)에는 환측(患側)의 정혈(井穴)을 점자 출혈하며, 상지(上肢)에는 견료(SJ14), 양지(SJ4), 후계(SI3)혈을 윤치(輪治)하고, 병정(病程)이 오래되었을때 상지(上肢)에는 대추(DU14), 견외유(SI14)를 배용(配用)하며, 하지(下肢)에는 요양관(DU3), 백환유(BL30)를 배용(配用)한다.
병측경근(病側經筋)이 굴곡구련(屈曲拘攣)된 자 ;
주부(肘部)에는 곡택(PC3)을 배취(配取),
완부(腕部)에는 대릉(PC7)을 배취(配取),
슬부(膝部)에는 곡천(LR8)을 배취(配取),
과부(踝部)에는 태계(KI3)를 배취(配取),
언어건삽(言語蹇澀)에는 아문(DU15), 염천(RN23), 통리(HT5)를 배취(配取),
기부불인(肌膚不仁)에는 환부(患部)에 피부침(皮膚鍼)을 배취(配取)함.
② 구각왜사(口角歪斜) :
- 치법 : 수족양명경혈위주(手足陽明經穴爲主)로 하며 초기에는 단자병측(單刺病側), 구병(久病)에는 좌우균자(左右均刺)한다.
- 취혈 : 지창(ST4), 협차(ST6), 합곡(LI4), 내정(ST44), 태충(LR3).
- 수증배혈: 견정(경외기혈:이병전 요함처), 수구(DU26), 사백(ST2), 하관(ST7).
- 방의 : 수족양명(手足陽明)과 족궐음경맥(足厥陰經脈)은 골고루 두면(頭面)에 상달되므로 지창, 협차는 국부의 경기를 조절하기 위해 취하며, 합곡, 내정, 태충은 본 경맥의 경기를 조화하기 위해 원격취혈(遠隔取穴)한 것이다.
B. 중장부(中臟腑) : 병변(病変) 심중(深中) 장부(臟腑)
① 폐증(閉證)
- 치법 : 독맥(督脈) 및 십이정혈(十二井穴) 위주로 하며 호침자사법(毫鍼刺瀉法) 또는 점자 출혈한다.
- 처방 : 수구(DU26), 십이정혈, 태충(LR3), 풍륭(ST40), 노궁(PC8).
- 수증배혈: 아관긴폐(牙關緊閉)일 때 협차(ST6), 합곡(LI4).
언어불리(言語不利)일 때 아문(DU15), 염천(RN23), 관충(SJ1).
- 방의 : 본방(本方)은 평간식풍(平肝熄風), 청화거담(淸火祛痰), 개규계폐(開竅啓肺)의 공능이 있다. 폐증(閉證)은 간양폭장(肝陽暴張), 기혈상역(氣血上逆)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십이정혈(十二井穴)을 점자 출혈하거나 수구를 사(瀉)하여 음양을 교통시키고, 개규성뇌(開竅醒腦)케 한다.
간맥(肝脈)은 정수리까지 상달(上達)되므로 태충을 사(瀉)함은 간경(肝經)의 역기(逆氣)를 하강(下降)시켜 평식간양(平熄肝陽)을 위함이다.
비위(脾胃)는 생담지원(生痰之源)이므로 담탁옹알(痰濁壅遏), 기기실선(氣機失宣)인 경우에는 족양명경(足陽明經)의 낙혈(絡穴)인 풍륭을 취해 비위이경(脾胃二經)의 기기(氣機)를 선통시키고,“형주신열 (滎主身熱)”이므로 수궐음경(手厥陰經)의 형혈(滎穴)인 노궁을 취해 청심설열(淸心泄熱)시킨다.
② 탈증(脫證) :
- 치법 : 임맥경혈위주(任脈經穴爲主)로 하며, 대애주구(大艾炷灸)로 취용(取用)하여 회양고탈(回陽固脫)케 한다.
- 처방 : 관원(RN4), 신궐(RN8)에 격염구(隔鹽灸).
- 방의 : 임맥(任脈)은 음맥지해(陰脈之海)이며 관원은 임맥경(任脈經)이면서 족삼음경(足三陰經)의 교회혈(交會穴)이고 삼초의 원기(元氣)가 나오며, 명문의 진양(眞陽)과 연계되며, 음중(陰中)에 양(陽)을 함유한 혈위(穴位)이다.
신궐은 진기(眞氣)가 저장된 혈위(穴位)이다. 고로 위 이혈(二穴)에 대애주중구(大艾炷重灸)한다.
대한침구사협회
'病症別 鍼處方 > 뇌 신경 정신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풍의 침구 치료 (0) | 2016.09.07 |
---|---|
동씨기혈 말초 안면신경마비 (0) | 2016.09.06 |
현운(眩暈)<부:고혈압>의 변증 및 침구치료 (0) | 2016.09.05 |
두통(頭痛)<부:삼차신경통>의 변증 및 침구치료 (0) | 2016.09.05 |
면탄(面癱)<구안와사>의 변증 및 침구치료 (0) | 2016.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