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테리
1. 參照文(참조문)
1) 담화우심 (痰火扰心)
2) 전광 (癲狂)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太陰經), 陷谷(함곡,輸), 廬兌(려태,井).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靈道(령도,經),神門(신문,輸),少府(소부,滎),少冲(소충,井)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足太陽膀胱經 : 天柱(천주), 心兪(심수,患門穴).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大鍾(대종,絡-太陽經), 照海(조해,陽交脈所出,八脈交
會穴).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郄),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
陰兪脈), 大陵(대능,輸), 勞宮(노궁,滎).
督脈 : 筋縮(근축), 身柱(신주), 陶道(도도),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强間(강간),
百會(백회), 水泃(수구), 兌端(태단).
頭頸部奇穴 : 安眠(안면).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 水泃(수구), 百會(백회).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 百會(백회), 氣冲(기충), 上髎(상료).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 人中(인중), 合谷透勞宮(합곡투노궁).
督脈 : 水泃(수구), 合谷透勞宮(합곡투노궁).
4. 김명욱임상경험집방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
각)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
특이)하게 나타난다.
히스테리 발작에는 大發作(대발작)과 小發作(소발작)이 있다.
大發作(대발작)은 수일 전부터 精神不快(정신불쾌), 過敏(과민), 恐怖(공포) 등 전구
증상이 나타난다. 다음에 주먹 같은 물건이 胃(위)나 卵巢部位(난소부위)로부터 올라
오는 것 같다. 發作 第一期(발작 제일기)는 癲癎樣痙攣期(전간양경련기)로서 四肢(사
지)가 强直性(강직성)을 띠거나 間歇性痙攣(간헐성경련)을 일으키는데서 넘어진다.
그러나 癲癎(전간)처럼 완전히 精神(정신)을 잃지 않는다. 후에는 大運動期(대운동기
)로서 間歇性痙攣(간헐성경련)이 소실되고 자리에서 이리저리 구르며 四肢(사지)의
姿勢(자세)가 이상하고 몸이 뒤로 反張(반장)되다가 다시 表情姿勢期(표정자세기)로
넘어 간다. 이때는 表情(표정)이 豊富(풍부)하여 마치 演劇(연극)을 하는 것 같은 擧
動(거동)이 나타난다. 그러다 意識(의식)이 恢復(회복)되고 발작이 서서히 消失(소실)
되거나 잡자기 정신을 차린다. 발작 持續時間(지속시간)은 15~30分 가량이다. 小發
作(소발작)이 많고 大發作(대발작)은 간혹 나타나며 小發作(소발작)은 전구증상이 있
은 후 痙攣期(경련기)에 들어가는데 의식은 흐렸다가 점차 회복된다. 히스테리 환자
는 夢昏狀態(몽혼상태)거나 꿈속에서 노는 것 같은 등 각종 精神症狀(정신증상)이 나
타난다.
主穴 : 人中(인중), 大陵(대능), 神門(신문), 心兪(심수), 湧泉穴(용천혈).-針灸
配穴 : 間使(간사) 后谿(후계) 豊隆(풍륭) 太冲(태충) 少商(소상) 合谷(합곡).
治法 : 內關(내관), 神門穴(신문혈)에 針刺(침자)하면 효과를 신속히 볼 수 있다. 먼저
少冲穴(소충혈)에서 瀉血(사혈)하고 神門穴(신문혈)에 針刺한다. 환자가 깊이
자고 깨면 精神(정신)이 爽快(상쾌)하고 다시 發作(발작)하지 않는다.
2. 現代針灸學 成樂箕
Hysteria는 전신변질증(感情過敏)으로 감각성이 높은 소질자에 있어서 일종의 심인
성 반응형으로 정서와 암시적 관념에서 일어나는 신체적 정신적 증후군을 지칭하는
것으로 Neurrosis(신경증) 중에 정신신경증에 속한다.
원인은 선천적 유전적 소인이 많으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다. 연령적으로는 청춘기
에서 장년기에 많으며 발병의 주요 요인은 격렬한 정신적 감동 공포 분노 외상 등이
지만 이밖에도 가정적 내지는 사회적 환경도 본증 발병에 깊이 관계하고 있다.
症狀은 발현하는 상태에 따라서 1) 지속성증후 2) Hysteric성 발작 3) 정신상태 등의
세 가지로 대별한다.
1) 지속성 증후
頭部 卵巢 乳房 등에 疼痛을 호소하며 특유한 것은 피부 및 점막에 Hysteia성 지각
감퇴 내지는 지각일실이며 또한 이들 지각일실은 암시에 의하여 이동하기도 한다.
오관기(organ of senes)에서는 구심성 시야감소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
니라 약시(ambyopia) 전맹(none sight)을 가져올때도 있으며 또한 청각(oditory -
senes) 미각(sense of taste) 취각(smell) 등의 이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환자의 대
부분은 언제나 인후부에 작은 공이 박혀 있는 감각을 호소하며 설혹 밑으로 넘어
진다 하여도 소실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함을 호소하는 일이 많다.
이것을 일명 Hsteriaball(히스테리구)이라 지칭한다.
운동장애로서는 무성, 보행장해, 진전(fremor), 기립불능, 구련(拘攣 spasm) 등이
있으며 혈관운동장해로서는 피부궐냉(皮膚厥冷) 내지는 열감, 다한(多汗, many
sweat) 등 증을 볼 수 있다.
2) 히스테리성 발작
제1기(epilepsy 양기)에는 전신의 강직성 내지는 간대성 경련을일으키며 이어서
몬통(軀干)을 비틀거나 전신을 활처럼 구부리기(hysteric 궁)도 하며 도한 骨
盤을 문지르는 운동을 한다.
제2기(격동적 자세)에는 여러 가지의 자세를 나타내어 연극풍의 감동적 자세를 나
타내며, 이어서 짧은 섬어기(譫語期,delirium stage)를 거쳐서 단시간의 강직
상태를 나타낸다음에 울거나 훌쩍거린 후에 발작이 끝난다. 발작중에 일어난 모든
일은 기억하지 못한다.
전간발작(巓癎發作,Epilepsy)과 다른 점은 전간처럼 졸도하는 일이 없고 Zyanose
도 일어나지 않으며 대광반사도 거의 정상인 점이다.
소발작은 발생빈도가 높고 대발작과 같이 정형적이 아닌 경련기에는 비명성 경련,
소경련(laugh), 호흡경련(crying)을 일으킬 때가 있으며 또한 호흡근의 경련이 일
어날 때는 견폐성 해수(개짖는 소리)또는 호흡촉박을 나타낸다.
3) 정신상태
Hysterical성격, hysterical patient는 일반적으로 이기적이며 자기 중심으로 감정이
불안정하게 변하기 쉽고, 정열적 감격성의 일면을 나타내는가 하면금방 우울해지
는 등 감정의 억제력이 결핍되어 있으며 몽상 경향이 강하고 허영심과 의뢰심이
강하며, 타인의 동정을 끌기 위해 병에 대해 과장 호소한다. 일반적인 신경증은
내향성, 폐쇄성으로 자기 부정이 강하고 열등감을 같는데 반하여 Hysteria는 이와
대조적으로 외향성 개방성으로 자기주장에 집착이 강하다.
治療 : Hysteria를 현대의학에서는 유전적 소인, 심인적 성인, 신경증상 등을 중시
하지만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는 거의 찿아볼 수가 없다.
그러나 동양의학 침구의학의 입장에서 고찰할 때는 독자적인 병리관 증후관에서
설명되고 있다. 그것이 비록 비과학적인 이론 같이 보이지만 그 이론에 의거하여
치료하면 상당한 임상가치가 발현하고 있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가 없다.
치료는 먼저 맥진(脈診)과 절진(切診)으로 허실(虛實)을 대별한 다음에 증상에 의
거하여 주치경(主治經)과 주치혈(主治穴)을 선택 치료한다.허실에 대한 대표적인
증상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實症 : 비교적 체력과 영양상태가 좋으며 복증에는 어혈증을 많이 볼 수 있고 하
허상실(下虛上實)로 하반신이 냉하고 특히 좌측은 음(陰)과 혈(血)이 주관
하고 있다는데서 어혈증상(瘀血症狀)이 잘 나타난다. 그리고 상충증상이 심하여
심계항진증(心悸亢進症)이 잘 나타나고 심하(心下)에서 상복(上腹) 중앙부에 걸
쳐서 딱닥하고, 배꼽에서 하복부에 걸쳐서 동계(신간동계)가 촉지되며 소위 신적(
奔豚)이라 일컷는 적(積)이 있으며 Hystericalball은 이 신적이 복부항진과 더불어
심하부(心下部)에 상충하는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어혈은 전신을 순환하여 여러
가지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다.
虛證 : 일반적으로 gastroptosis atony of stomach, enteroposis(臟下垂) 등의 이완
성 위장장해를 나타내며, 늑골궁각은 예각, 복부는 주저형(배 밑과 같음)으
로 마르고 무력하다. 배꼽위에 동계가 현저하며 심한 경우에는 심하부까지 올라
간다. 이밖에도 변비 또는 하리(下痢)의 경향이 있으며 랭증,상충,견비통,tinnitus,
두통, 지각마비, neuralgia, irerular menstruation 등 증을 수반한다.
정신상태는 불안정한 경향이 있지만 그 가운데는 놀라울 정도로 직관력이나 영감
을 나타내는 사람도 있다.
3. 이침(耳針)
耳穴 : 심(心).
'病症別 鍼處方 > 뇌 신경 정신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에서 발생하는 각종 병증에 대한 침구치료법 (0) | 2016.09.02 |
---|---|
반신불수 (0) | 2016.09.02 |
두통(頭痛) (0) | 2016.08.31 |
평형침임상 - 두통, 경추성 (0) | 2016.08.30 |
석학민 교수의 성뇌개규법 (0) | 2016.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