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草房/약초(ㄱ)

금낭화

초암 정만순 2016. 5. 28. 09:26



금낭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Dicentra spectabilis
분류  현호색과
원산지  중국
분포지역  한국(설악산)



서식장소  산지의 돌무덤, 계곡                 
크기  높이 40~50cm
 
중국 원산이며 산지의 돌무덤이나 계곡에 자라지만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높이 40~50cm이다.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줄기는 연약하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3개씩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쐐기꼴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결각(缺刻)이 있다.
 


꽃은 5∼6월에 담홍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로 줄기 끝에 주렁주렁 달린다. 화관(花冠)은 볼록한 주머니 모양이다. 꽃잎은 4개가 모여서 편평한 심장형으로 되고 바깥 꽃잎 2개는 밑부분이 꿀주머니로 된다. 안쪽 꽃잎 2개가 합쳐져서 관 모양의 돌기가 된다. 꽃받침잎은 2개로 가늘고 작은 비늘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6개이고 양체(兩體)로 갈라지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殼果)이다.


봄에 어린 잎을 채취하여 삶아서 나물로 쓴다. 한방에서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금낭(錦囊)이라고 하며, 피를 잘 고르고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타박상·종기 등의 치료에 쓴다. 꽃말은 '당신을 따르겠습니다'이다. 한국에는 설악산 지역에 분포한다.
 
꽃의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이므로 절화용을 비롯하여 화단식재용, 초물분재, 지피식물류 등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식물체가 경화되기 전에 채취하여 삶아서 말린후 묵나물로 이용한다.


꽃이 아름다워 사진에서 흔히 볼수 있는 금낭화의 뿌리줄기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것을 하포목단근이라고 하는데, 풍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상처의 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옴, 종기, 버짐 등 여러 종류의 피부병을 치료한다.


근경(根莖)을 荷包牡丹根(하포모단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성분 : 全株(전주)에는 cryptopine, protopine, sanguinarine, coptisine, chelerythrine, chelirubine, chelilutine 및 cheilanthifoline, scoulerine, reticul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祛風(거풍), 和血散血(화혈산혈), 消瘡毒(소창독)의 효능이 있다. 뿌리로 즙을 내어 술에 타 마시면 매우 醉(취)하는데 이것은 金瘡(금창)의 聖藥(성약)이다.
약성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독성 :무독(無毒)
채집시기/산지 :전남, 경남, 경기, 강원, 함북에서 자생하며 가을에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말린다.
가공 :건조한 것 그대로 사용
성분 :전초와 뿌리에 알칼로이드가 있다.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프로토핀과 디쎈트린이다. 기타 콥티신, 켈레리트린, 켈리루빈, 켈리루틴도 분리되었다. 알칼로이드는 전초에 0.18%, 뿌리에1.22%들어 있다. 프로토핀은 전초에 0.14%, 뿌리에 1.01% 있다.
약리 :디쎈트린은 마취작용이 있으며 많은 량에서 경련을 일으킨다. 그리고 온혈동물에게 주사하면 안티피린보다 2배나 강한 해열작용이 있다. 프로토핀은 적은 량에서 신경계통의 흥분성을 낮추고 마취작용이 있으며, 지각신경을 국소 마취시켜 아픈 느낌을 둔하게 하거나 느끼지 못하게 한다. 또한 자궁 활평근의 긴장성을 높인다. 祛風(거풍), 和血散血(화혈산혈), 消瘡毒(소창독)의 효능이 있다. 뿌리로 즙을 내어 술에 타 마시면 매우 醉(취)하는데 이것은 金瘡(금창)의 聖藥(성약)이다. 다량에서는 경련을 일으킨다.
응용 :전초 달임 약을 위 아픔에 진통 진정 약으로 쓴다.
용법/용량 :3~6g을 물로 달여서 하루3번에 나누어 마신다. 위통과 진정진통약으로 쓴다. 25%의 술에 담가두었다가 진통, 진정용으로 1회 5cc를 복용한다.


~~~~~~~~~~~~~~



금낭화(하포목단)

  

마취 진통 이뇨 해열 해독 위통 종창 금창

▶ 마취작용, 경련을 일으키는 작용, 열내림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거풍, 화혈산혈, 해독, 외상을 입었을 때, 아픔멎이약, 진정약, 소창독, 제풍, 금창, 위통, 위경련, 여러 가지 종창을 다스리는 아름다운 황금주머니꽃 금낭화



 

금낭화는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약 30~60cm이고 뿌리 줄기는 굵고 단단하다. 잎은 마주 나며 긴 자루를 갖고 있다. 3회 깃꼴겹잎으로서 작은 잎은 거꿀 달걀꼴이고 깊게 갈라지며 기부는 쐐기 모양이고 총상 화서가 정생하며 꽃이 한 쪽에 달리고 만곡되어있다. 꽃자루에는 꽃 떡잎이 2개 있고 꽃받침은 작으며 비늘 모양으로 좁은 달걀 모양이다. 4개의 꽃잎은 교차하여 내외 2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외측의 꽃잎은 약간 합착하여 심장형을 이루고 기부는 팽대하여 주머니 모양을 이루고 있고 상부에 2개의 짧은 꿀주머니가 있고 연한 홍색이다.

내측의 꽃잎은 가늘고 길며 돌출되어 있으며 백색이고 암수술을 싸고 있다. 수술은 다수이고 2체로 되어 있다. 암술대는 가늘고 길며 암술머리는 세로로 2개로 갈라지고 씨방은 상위이고 1실이다. 삭과는 가는 타원형이고 종자는 가늘고 작으며 갓털을 갖고 있다. 개화기는
4~6월에 줄기 끝에 연한 붉은색의 아름다운 꽃이 내려드리워 핀다.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의 낮은 산 그늘진 곳, 바위틈에서 자란다. 4개의 꽃잎은 교차하여 안쪽과 바깥쪽 2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에 2개의 짧은 꿀주머니가 있다. 꽃의 모양이 여성들 옷에 매다는 주머니를 닮았다고 하여 금낭화를 "며느리 주머니"라고도 부른다. 꽃의 모양이 특이하고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주머니 모양의 납작한 붉은색 또는 분홍색의 꽃이 조롱조롱 매달려 있는 모습이 귀한 금주머니를 연상케 한다.

금낭화의 여러 가지 이름은 하포모단근[荷包牡丹根: 왕연사(汪連仕), 채약서(採藥書)], 토당귀[土當歸, 활혈초:活血草: 본포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하포모단[荷包牡丹, 어아모단:魚兒牡丹: 화경(花鏡)], 하포목단, 며느리주머니, 며누리주머니, 등모란, 금낭화 등으로 부른다.  

[성분]
전초에 cryptopine, protopine, sanguinarine, coptisine, chelerythrine, chelirubine, chelilutine, cheilanthifoline, scoulerine, reticuline 등이 들어 있다. [중약대사전]
[성미]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1, <왕연사(汪連仕), 채약서(採藥書)>: "뿌리를 짓찧은 즙을 술에 타서 복용하면 깊이 취하게 되는데 금창(金瘡)의 성약(聖藥)이다."
2,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혈을 풀어준다. 창독, 풍을 제거하고 혈을 조화시킨다."

금낭화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amaire)
양귀비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50~70cm, 꽃은 엷은 홍색으로 5~6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긴타원형이다.
분포/
전남, 경남(지리산), 경기, 강원, 함북의 산기슭에 자라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뿌리줄기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하포모단근(荷包牡丹根)이라고 하며, 거풍, 화혈산혈, 소창독, 해독의 효능이 있고, 여러 가지 종창을 치료한다. 뿌리 줄기를 짓찧어 즙을 내어 술에 타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 환부에 붙이거나 즙을 내어 바른다.

성분/ 전초에는 cryptopine, protopine, sanguinarine, coptisine, chelerythrine, chelirubine, chelilutine, scoulerine, reticuline, chelianthifoline 등의 알칼로이드(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cryptopine은 아편 중에 들어 있는 미량 성분이나 의약품의 papaverine에 함유된 양은 4%에 달하고, 작용은 papaverine과 비슷하다.
]

금낭화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하포목단근(荷包牧丹根)

[기원]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L. Lem.의 뿌리줄기이다.
[성미]
맛은 맵고, 약성은 따뜻하다.
[효능주치]
산혈(散血), 소창독(消瘡毒), 제풍(除風)한다.
[임상응용]
외상을 입었을 때에 즙을 술에 타서 마신다.
[화학성분] Coptisine, cheilantifoline, scouler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금낭화와 관련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D. Don)
다른 이름:
며느리주머니
식물:
높이 약 6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깃겹잎이고 쪽잎은 거꿀달걀 모양이다. 봄철에 줄기 끝에 연한 붉은색의 아름다운 꽃이 내려드리워 핀다.

중부와 남부의 낮은 산 그늘진 곳, 돌각담에서 자란다. 각지에서 꽃보기풀로 심어 기른다.

성분:
전초와 뿌리에 0.1~2%의 알칼로이드가 있다. 주성분은 프로토핀과 디센트린이다. 기타 콥티신, 켈레리트린, 켈리루빈, 켈리루틴도 분리되었다. 알칼로이드는 전초에 0.18%, 뿌리에 1.22% 들어 있다. 프로토핀은 전초에 0.14%, 뿌리에 1.01% 있다.
작용:
디센트린은 마취작용이 있으며 많은 양에서 경련을 일으킨다. 그리고 온혈동물에게 주사하면 안티피린보다 2배나 센 열내림작용이 있다.
응용:
전초 달임약을 위아픔에 아픔멎이약, 진정약으로 쓴다.
또한 프로토핀을 만드는 원료로서 전망이 있다.]

금낭화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하포목단근(荷苞牧丹根)
기원:
현호색과(玄胡索科: Corydalis)식물인 하포모단(荷苞牧丹: Dicentra spectabilis (L.) Lem.)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多年生) 초본(草本)으로 높이는 30∼6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회(回) 우상복엽(羽狀複葉)이고 소엽(小葉)은 도란형(倒卵形)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가 정생(頂生)하고 꽃은 휘어진 화서(花序)에 한쪽으로 늘어져서 피고, 꽃받침잎은 작으며 인편(鱗片)모양으로, 꽃잎은 4장이고 교대로 배열되어 2층을 이룬다. 많은 수술이 2조(組)를 이루고, 암술대는 가늘고 길며 암술머리는 순상(盾狀)이며 둘로 갈라진다.
분포: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서북(西北)에 고루 재배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채집한다.
성분:
전초(全草)는 cryptropine, protopine, sanguinarine, coptisine, chelerythrine, chelirubine, chelilutine, heilanthifoline, scoulerine, reticul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진통(鎭痛), 해경(解痙), 이뇨(利尿).

주치:
위통(胃痛), 위경련(胃痙攣).
용량: 하루 1∼3g을 사용한다.참고문헌: 동북초본식물지(東北草本植物誌) 제 4권(1980년판) 15면.]


금낭화에 대해 중국의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에서는 "이 꽃은 북방에서는 무성하게 잘 자라고 장강(長江)을 넘으면 점차 적어진다. 어떤 사람은 당귀(當歸)라고 생각하는데 틀린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연분홍색의 아름다운 금낭화를 바라볼 때 금주머니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꽃의 모양을 금빛 비단주머니 모습으로 만드신 조물주는 우리 인류에게 꽃을 바라보는 즐거움을 주기 위해 각양 각종의 꽃의 자태를 연출하심으로 또다른 행복을 주기 위해 만들어 놓으신 것이 분명하다.



 


'本草房 > 약초(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송이버섯  (0) 2016.07.05
괭이밥(酢漿草)  (0) 2016.05.31
개미  (0) 2016.05.08
광나무  (0) 2016.05.08
강황   (0) 2016.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