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뇌 신경 정신계

불매(不寐)=불면증의 변증 및 침구치료

초암 정만순 2015. 1. 19. 13:23

 

불매(不寐)=불면증의 변증 및 침구치료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심비양허(心脾陽虛) : 사려노권(思慮勞倦), 상급심비(傷及心脾). 심장신(心藏神), 심상즉음혈암모(心傷則陰血暗?), 신불수사(神不守舍), 비위(脾胃)는 생화지원(生化之源)이라, 비상즉화원부족(脾傷則化源不足), 혈불양심(血不養心), 심신불안(心神不安) 등으로 인해 불매(不寐)에 이른다.

B. 심신불교(心腎不交) : 소체허약(素體虛弱), 구병미복(久病未復), 방로과도(房勞過度), 신음모상(腎陰耗傷), 신음허(腎陰虛)로 인한 신지불영(神志不寧) 등으로 인해 불매(不寐)에 이른다.

C. 간화상요(肝火上擾) : 정지불서(情志不舒), 간기울결(肝氣鬱結), 간화상염(肝火上炎) 등으로 인해 불매(不寐)에 이른다.

D. 위기불화(胃氣不和) : 음식불절(飮食不節), 상급비위(傷及脾胃), 숙식내정(宿食內停), 울구화열(鬱久化熱) 등으로 인해 불매(不寐)에 이른다.

⑵ 변증(辨證)

A.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 : 다몽이성(多夢易醒), 심계건망(心悸健忘), 면색무화(面色無華), 음식무미(飮食無味), 체권신피(體倦神疲), 설담태박(舌淡苔薄), 맥세약(脈細弱).

B. 심신불교증(心腎不交證) : 심번불매(心煩不寐), 두운이명(頭暈耳鳴), 구건진소(口乾津少), 오심번열(五心煩熱), 심계건망(心悸健忘), 요산몽유(腰?夢遺),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C. 간화상요증(肝火上擾證) : 번조불매(煩躁不寐), 다몽경공(多夢驚恐), 성급이노(性急易怒), 협늑창만(脇肋脹滿), 두통목현(頭痛目眩), 구고인건(口苦咽乾), 변비(便秘), 설홍맥현(舌紅脈弦).

D. 위기불화증(胃氣不和證) : 야난입매(夜難入寐), 완민복창(脘悶腹脹), 애기탄산(?氣呑酸), 염식오심(厭食惡心), 설태황니(舌苔黃?), 맥활삭(脈滑數).

⑶ 치료(治療)

- 치법 : 심비경수혈위주(心脾經?穴爲主)로 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시킨다.
심비양허(心脾兩虛) - 침용보법(針用補法), 겸용구법(兼用灸法)으로 보익심신(補益心神)한다.
심신불교(心腎不交) - 평보평사(平補平瀉)로 교통심신(交通心腎)한다.
간화상요(肝火上擾) - 침용사법(針用瀉法)으로 청사간화(淸瀉肝火)한다.
위중불화(胃中不和) - 침용사법(針用瀉法)으로 조화위기(調和胃氣), 건비화담(健脾化痰)한다.
- 처방 : 신문(HT7), 삼음교(SP6), 완골(GB12).
- 수증배혈 : 심비양허(心脾陽虛) - 궐음유(BL14), 심유(BL15), 비유(BL20).
심신불교(心腎不交) - 심유(BL15), 신유(BL23), 태계(KI3).
간양상요(肝陽上擾) - 행간(LR2), 족규음(GB1), 사신총(EX-HN1).
위기불화(胃氣不和) - 중완(RN12), 풍륭(ST40), 내관(PC6).
- 방의 : 신문은 심경의 원혈(原穴)로 영심안신(寧心安神)한다.
삼음교는 비(脾), 간(肝), 신(腎) 3경의 교회혈로서 후천생화지원(後天生化之源)으로 양심신(養心神)하며, 보선천지신수(補先天之腎水)하고 제심화(濟心火)하기에 불매(不寐)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혈위(穴位)이다.
완골은 안면(安眠)에 쓰는 근대 임상의 경험혈이다.
궐음유, 심유, 비유는 심포(心包), 심(心), 비(脾)의 배유혈로 보익심비(補益心脾)한다.
심유, 태계를 배오(配伍)하여 수화상제(水火相濟), 심신교통(心腎交通)하면 불매(不寐)가 제거된다.
행간은 간경 형혈이고 족규음은 담경 정혈이며 사신총은 전정부(?頂部)의 기혈로서 청간명목(淸肝明目), 진정안신(鎭靜安神)한다.
중완은 부회혈(腑會穴), 풍륭은 위경의 낙혈, 내관은 심포의 낙혈이며 음유(陰維)와 통하기 때문에 3혈합용(三穴合用)하면 화위강역(和胃降逆), 건비화담(健脾化痰), 청열제번(淸熱除煩)하여 야매안녕(夜寐安寧)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