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로(虛勞)
허로(虛勞)는 장부(臟腑)가 허손되고 기혈(氣血)음양(陰陽)이 허쇠하여 임상에서 오장(五臟)의 허증(虛證)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만성 허약증후의 총칭이다.
양방 : 여러계통의 만성 소모성질병, 기능감퇴성 질병.
一. 병인(病因)병기(病機)
① 품부(稟賦)부족, 혹은 출생후 양육(養育)실조(失調)로 장부(臟腑)기혈(氣血)음양(陰陽)이 다 허약.
② 사려(思慮)과도로 심비(心脾)손상, 기혈(氣血)허손.
③ 방사(房事) 부절제로 신정(腎精)허손.
④ 음식 부절제로 비위(脾胃)손상. ⑤ 큰병이나 만성병으로 기혈(氣血)음양(陰陽)이 손상. 등.
二. 치료(治療)원칙(原則)
1. “허즉보(虛則補)” 이론에 따라 보익(補益)이 기본원칙.
① 병리속성에 따라서 익기(益氣), 양혈(養血), 자음(滋陰), 온양(溫養) 등 치법(治法)을 분별하여 취한다.
② 오장(五臟)의 병위(病位)에 따라서 분별하여 방약(方藥)을 선택한다.
2. 주의점 :
① 비(脾)신(腎)의 보익을 중시한다. 비(脾)는 후천지본(後天之本)이고 기혈(氣血)생화지원(生化之源)이며, 신(腎)은 선천지본(先天之本)이고 원음(元陰)원양(元陽)이 있으므로 생명의 본원이
다.
② 허(虛)실(實)이 혼합되는 경우는 반드시 보(補)중에 사(瀉)가 있어야 한다. 즉 부정(扶正)거사(祛邪)하여야 한다.
三. 변증(辨證) 치료
허로(虛勞)의 변증은 크게 기허(氣虛), 혈허(血虛), 음허(陰虛), 양허(陽虛)로 나누고, 다시 오장(五臟)의 허증(虛證)으로 세분한다.
1. 기허 (氣虛)
【공통증후】면색(面色)위황(萎黃), 기단(氣短), 목소리가 작고 말하기 싫어 한다, 피곤하고 기운이 없다, 현운(眩暈), 설태 담백(淡白),맥상 세약(細弱).(1) 폐기허(肺氣虛)증
1) 임상표현 : 해수(咳嗽)무력, 가래가 묽다, 자한(自汗), 감기가 잘 걸린다.
2) 주요병기 : 폐기(肺氣)부족, 표허(表虛)불고(不固).
3) 치 법 : 폐기(肺氣)를 보익(補益).
4) 대표방 : 보폐탕 (補肺湯 : 인삼, 황기, 오미자, 숙지황, 자완, 상백피)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황기, 사삼 : 익기(益氣) 보폐(補肺)의 효과.
숙지황, 오미자, 백합 : 익신(益腎) 렴폐(斂肺)의 효과.
자한(自汗)이 심한 경우 : 모려, 마황근을 가미.
조열(潮熱), 도한(盜汗)이 있는 경우 : 별갑, 지골피, 진교를 가미.
감기가 올 경우 : 방풍, 계지, 두권, 생강, 행인, 길경 등을 가미.
(2) 심기허(心氣虛)증
1) 임상표현 : 심계(心悸), 기단(氣短), 움직이면 가중, 피곤, 자한(自汗).
2) 주요병기 : 심기(心氣)부 족으로 심(心)이 실양(失養).
3) 치 법 : 익기(益氣) 양심(養心).
4) 대표방 : 칠복음 (七福飮 : 인삼, 백출, 감초, 숙지, 당귀, 산조인, 원지)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백출, 자감초 : 익기(益氣) 양심(養心)의 효과.
숙지황, 당귀 : 음혈(陰血)을 자보(滋補)한다.
산조인, 원지 : 녕심(寧心) 안신(安神)의 효과.
자한(自汗)이 심한 경우 : 황기, 오미자를 가미.
식욕 부진의 경우 : 사인, 복령을 가미.
(3) 비기허(脾氣虛)증
1) 임상표현 : 식욕 부진, 식후 속이 불편, 권태감, 대변이 묽다.
2) 주요병기 : 비허(脾虛)실운(失運), 생화(生化)의 원천이 부족.
3) 치 법 : 건비(健脾) 익기(益氣).
4) 대표방 : 가미사군자탕 (加味四君子湯 : 인삼, 백출, 복령, 감초, 황기, 백편두)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황기, 백출, 감초 : 익기(益氣) 건비(健脾)의 효과.
복령, 백편두 : 건비(健脾) 제습(除濕)의 효과.
위완창만, 트림, 구역이 나는 경우 : 진피, 반하를 가미.
완민(脘悶), 복창(腹脹), 트림, 니태(?苔)인 경우 : 신곡, 맥아, 산사, 계내금을 가미.
양허(陽虛)로 파급될 경우 : 육계, 포건강을 가미.
기함(氣陷)으로 탈항(脫肛)인 경우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으로 바꾼다.
(4) 신기허(腎氣虛)증
1) 임상표현 : 요슬(腰膝)산연(酸軟), 소변(小便)빈삭(頻數), 백대(白帶).
2) 주요병기 : 신기(腎氣)불충(不充), 요독(腰督)실양(失養), 고섭(固攝)무력.
3) 치 법 : 익기(益氣) 보신(補腎).
4) 대표방 : 대보원전 (大補元煎 : 숙지황, 산약, 산수유, 인삼, 감초, 당귀, 구기자, 두충)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산약, 자감초 : 익기(益氣) 고신(固腎)의 효과.
두충, 산수유 : 신기(腎氣)를 온보(溫補)한다.
숙지황, 구기자, 당귀 : 정혈(精血)을 보양(補養)한다.
기운이 없고 피곤이 심한 경우 : 황기를 가미하여 익기(益氣)한다.
빈뇨(頻尿), 요실금(尿失禁)의 경우 : 토사자, 오미자, 익지인을 가미.
대변이 묽을 경우 : 숙지황, 당귀를 빼고, 육두구, 보골지를 가미.
2. 혈허(血虛)
【공통증후】면색(面色)담황(淡黃) 혹은 담백(淡白)무화(無華), 순설(脣舌)지갑(指甲)담백(淡白), 두운(頭暈)목화(目花), 피부가 시들고 거칠어진다, 설담(舌淡), 태소(苔少), 맥상 세(細).
(1) 심혈허(心血虛)증
1) 임상표현 : 심계(心悸)정충(??), 건망(健忘), 실면(失眠), 다몽(多夢).
2) 주요병기 : 심혈(心血)부족으로 심(心)이 실양(失養).
3) 치 법 : 양혈(養血) 녕심(寧心).
4) 대표방 : 양심탕 (養心湯 : 인삼, 황기, 복령, 복신, 오미자, 감초, 당귀, 천궁, 백자인, 산조인, 원지, 반하곡, 육계)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황기, 복령, 오미자, 감초 : 익기(益氣) 생혈(生血)의 효과.
당귀, 천궁, 백자인, 산조인, 원지 : 양혈(養血) 녕심(寧心)의 효과.
육계, 반하곡 : 온중(溫中) 건비(健脾)의 효과.
실면(失眠), 다몽(多夢)이 심한 경우 : 야교등, 합환피를 가미.
(2) 간혈허(肝血虛)증
1) 임상표현 : 두운(頭暈)목현(目眩 ), 시력감퇴, 협통(脇痛), 지체(肢體)마목(痲木), 수족(手足)진전(震顫), 월경량이 적고 심하면 경폐(經閉).
2) 주요병기 : 간혈(肝血)부족으로 근맥(筋脈)이 실양(失養).
3) 치 법 : 보혈(補血) 양간(養肝).
4) 대표방 : 사물탕 (四物湯 :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숙지황, 당귀 : 보혈(補血) 양간(養肝)의 효과.
백작약, 천궁 : 화영(和營) 조혈(調血)의 효과.
황기, 만삼, 백출 : 보기(補氣) 생혈(生血)의 효과.
혈허(血虛)가 심한 경우 : 제수오, 구기자, 계혈등을 가미.
협통(脇痛)이 심한 경우 : 울금, 향부자, 사과락을 가미.
시력감퇴가 심한 경우 : 구기자, 결명자, 저실자를 가미.
3. 음허(陰虛)
【공통증후】권홍(?紅)면적(面赤), 순홍(脣紅), 저열(低熱)조열(潮
熱), 수족심열(手足心熱), 허번(虛煩)불안, 도한(盜汗), 구건(口乾), 설홍(舌紅)소진(少津), 맥상 세삭(細數)무력.
(1) 폐음허(肺陰虛)증
1) 임상표현 : 건해(乾咳), 인조(咽燥), 심하면 실음(失音), 객혈(喀血) 등.
2) 주요병기 : 폐음(肺陰)부족으로 허열(虛熱)이 내생(內生).
3) 치 법 : 양음(養陰) 윤폐(潤肺).
4) 대표방 : 사삼맥동탕 (沙蔘麥冬湯 : 사삼, 맥문동, 옥죽, 천화분, 상엽, 백편두, 감초)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사삼, 맥문동, 옥죽 : 폐음(肺陰)을 자양(滋養)한다.
천화분, 상엽, 감초 : 청열(淸熱) 윤조(潤燥)의 효과.
육계, 반하곡 : 온중(溫中) 건비(健脾)의 효과.
건해(乾咳)가 심한 경우 : 백부, 관동화를 가미.
각혈(?血)이 심한 경우 : 백급, 선학초, 소계를 가미.
조열(潮熱)이 심한 경우 : 지골피, 진교, 별갑을 가미.
도한(盜汗)이 심한 경우 : 오미자, 오매를 가미.
(2) 심음허(心陰虛)증
1) 임상표현 : 심계(心悸), 실면(失眠), 번조(煩躁), 구설(口舌)생창(生瘡).
2) 주요병기 : 심음(心陰)부족으로 허열(虛熱)이 내생(內生).
3) 치 법 : 자음(滋陰) 양심(養心).
4) 대표방 : 천왕보심단 (天王補心丹 : 생지황, 현삼, 맥문동, 천문동, 인삼, 오미자, 복령, 단삼, 당귀, 산조인, 백자인, 원지, 주사, 길경)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생지황, 현삼, 맥문동, 천문동 : 양음(養陰) 청열(淸熱)의 효과.
인삼, 오미자, 복령, 당귀 : 익기(益氣) 양혈(養血)의 효과.
단삼, 산조인, 백자인, 원지 : 양심(養心) 안신(安神)의 효과.
번조(煩躁), 구설(口舌)생창(生瘡)인 경우 : 당귀, 원지를 빼고, 황련, 목통, 죽엽을 가미.
조열(潮熱)이 심한 경우 : 지골피를 가미.
도한(盜汗)이 심한 경우 : 모려, 부소맥을 가미.
(3) 비위(脾胃)음허(陰虛)증
1) 임상표현 : 구건(口乾)순조(脣燥), 식욕 저하, 변비, 심하면 건구(乾嘔), 애역(?逆), 면색(面色)조홍(潮紅).
2) 주요병기 : 비위(脾胃)의 음액(陰液)이 손상되어 유양(濡養)이 실조됨.
3) 치 법 : 양음(養陰) 화위(和胃).
4) 대표방 : 익위탕 (益胃湯 : 생지황, 맥문동, 사삼, 옥죽, 빙당)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생지황, 맥문동, 사삼, 옥죽 : 자음(滋陰) 양액(養液)의 효과.
오매, 백작약, 감초 : 산감(酸甘) 화음(化陰) 효과.
구건(口乾)순조(脣燥)가 심한 경우 : 석곡, 천화분을 가미.
식욕 저하가 심한 경우 : 맥아, 편두, 산약을 가미.
애역(?逆)이 심한 경우 : 죽여(竹茹), 시체(??)를 가미.
(4) 간음허(肝陰虛)증
1) 임상표현 : 두통, 현운(眩暈), 이명(耳鳴), 목건(目乾)외광(畏光),
시력감퇴, 조급(躁急)이노(易怒), 지체(肢體)마목(痲木), 근육 경련.
2) 주요병기 : 음허(陰虛)로 인해 양(陽)이 항진되어 상부가 교란됨.
3) 치 법 : 간음(肝陰)을 자양(滋養) .
4) 대표방 : 보간탕 (補肝湯 :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산조인, 모과, 감초)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 양혈(養血) 유간(柔肝)의 효과.
모과, 감초 : 산감(酸甘) 화음(化陰)의 효과.
산수유, 하수오 : 간음(肝陰)을 자양(滋養)한다.
두통, 현운, 이명, 근육경련이 심한 경우 : 석결명, 국화, 조구등, 백질려를 가미.
목건(目乾)외광(畏光), 시력감퇴가 심한 경우 : 구기자, 결명자, 여정자를 가미.
조급(躁急)이노(易怒)가 심한 경우 : 하고초, 목단피, 치자를 가미.
(5) 신음허(腎陰虛)증
1) 임상표현 : 요슬산연(腰膝酸軟), 유정(遺精), 현운(眩暈), 이명(耳鳴), 심하면 이농(耳聾), 구건(口乾), 인통(咽痛).
2) 주요병기 : 신정(腎精)부족으로 유양(濡養)이 실조됨.
3) 치 법 : 신음(腎陰)을 자보(滋補).
4) 대표방 : 좌귀환 (左歸丸 : 숙지황, 산약, 산수유, 구기자, 토사자, 구판, 녹각, 우슬)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숙지황, 산약, 산수유, 구기자, 구판, 우슬 : 신음(腎陰)을 자보(滋補)한다.
녹각, 토사자 : 신기(腎氣)를 온보(溫補)하고, 조양(助陽)생음(生陰)한다.
유정(遺精)이 심한 경우 : 모려, 금앵자, 감실, 연자육을 가미.
조열(潮熱), 구건(口乾)인통(咽痛), 삭맥(數脈)인 경우 : 녹각을 빼고, 지모, 황백, 지골피를 가미.
4. 양허(陽虛)
【공통증후】면색(面色) 창백(蒼白) 혹은 어둡다, 추위를 탄다, 손발이 차다, 식은땀이 난다, 정신 피곤, 호흡 미약, 혹은 부종(浮腫)이 하지가 심하다, 설질(舌質) 반눈(?嫩),치흔(齒痕), 설태(舌苔) 담백
(淡白)윤(潤), 맥상 세미(細微),침지(沈遲) 혹은 허대(虛大).
(1) 심양허(心陽虛)증
1) 임상표현 : 심계(心悸), 자한(自汗), 눕기를 좋아한다, 심흉(心胸) 별민(?悶)동통(疼痛) 등.
2) 주요병기 : 심양(心陽)부진(不振), 심기(心氣)부족, 운혈(運血)무력(無力).
3) 치 법 : 익기(益氣) 온양(溫陽).
4) 대표방 : 보원탕 (保元湯 : 인삼, 황기, 육계, 생강, 감초)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황기 : 익기(益氣) 부정(扶正)의 효과.
육계, 생강, 감초 : 양기(陽氣)를 온통(溫通)한다.
심흉(心胸)동통(疼痛)이 심한 경우 : 울금, 천궁, 단삼, 삼칠을 가미.
손발이 차고 추위를 잘 타는 경우 : 부자, 파극, 선모, 선령비, 녹용을 가미.
(2) 비양허(脾陽虛)증
1) 임상표현 : 면색 위황(萎黃), 식사량이 적다, 대변이 묽다, 장명(腸鳴)복통.
2) 주요병기 : 중양(中陽)부족으로 온후(溫煦)와 운화(運化)가 실조됨.
3) 치 법 : 온중(溫中) 건비(健脾).
4) 대표방 : 부자이중탕 (附子理中湯 : 부자, 건강, 인삼, 배출, 감초)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인삼, 백출, 감초 : 익기(益氣) 건비(健脾)의 효과.
부자, 건강 : 온중(溫中) 거한(祛寒)의 효과.
복중(腹中)냉통(冷痛)이 심한 경우 : 고량강, 향부자, 혹은 정향, 오수유를 가미.
식후 복창(腹脹), 구역(嘔逆)이 심한 경우 : 사인, 반하, 진피를 가미.
설사(泄瀉)가 심한 경우 : 보골지, 육두구, 의이인을 가미.
(3) 신양허(腎陽虛)증
1) 임상표현 : 요배(腰背)산통(酸痛), 유정(遺精), 양위(陽萎), 빈뇨(頻尿), 혹은 요실금(尿失禁), 오경(五更)설사(泄瀉), 완곡불화(完穀不化).
2) 주요병기 : 신양(腎陽)부족으로 온후(溫煦)와 고섭(固攝)이 실조됨.
3) 치 법 : 신양(腎陽)을 온보(溫補).
4) 대표방 : 우귀환 (右歸丸 : 숙지황, 산약, 산수유, 육계, 부자, 구기자, 토사자, 녹각, 두충, 당귀) 가감.
5) 상용약 및 가감 :
부자, 육계 : 신양(腎陽)을 온보(溫補)한다.
녹각, 두충, 토사자, 산수유 : 신기(腎氣)를 온보(溫補)한다.
숙지황, 산약, 구기자, 당귀 : 정혈(精血)을 보익(補益)하고 자음(滋陰)하여 조양(助陽)의 효과.
유정(遺精)이 심한 경우 : 금앵자, 상표초, 연자육, 혹은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을 가미.
완곡불화(完穀不化)가 심한 경우 : 숙지황, 당귀를 빼고, 인삼, 백출, 의이인 등을 가미.
오경(五更)설사(泄瀉)가 심한 경우 : 사신환(四神丸)을 가미.
부종(浮腫)이 심한 경우 : 복령, 택사, 차전자, 혹은 오령산(五苓散 )을 가미.
천식, 기단(氣短)이 심한 경우 : 보골지, 오미자, 합개(蛤?)를 가미.
'症狀別 方劑處方 > 장수 정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력을 돕는 신비로운 약 (0) | 2015.07.07 |
---|---|
도가(道家)의 비방(秘方) 몇가지 (0) | 2015.06.17 |
정력을 샘솟게하는 독계산 (0) | 2014.08.01 |
목향 공진단 (0) | 2014.07.29 |
천금단(千金丹)-발기불능 조루 (0) | 201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