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무
[ Adlay, 의이인(薏苡仁) ]
생물학적 분류 | 현화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
특징적 분류 | 한해살이풀 |
자생지 | 물가, 습지 |
분포지역 | 한국(전지역), 일본, 중국, 아시아열대, 아열대 |
원산지 | 동남아시아 |
크기와 너비 | 크기 1.5~2m |
꽃색깔 | 암꽃: 백색, 자색 |
파종 및 수확시기 | 파종 4월 하순, 수확 9월 하순 ~ 10월 중순 |
제철시기 | 상시 |
종류 | 식용식물(열매) |
정의, 어원, 동일명 및 전설
한자어인 인미 혹은 의미를 율믜라하고, 그 후 율무로 불림.
특징
율무는 벼과의 1년생 초본식물이다. 키는 1.5~2.0m에 달하고, 줄기는 속이 비어있고 마디는 13~18개이다. 줄기의 아래 마디사이는 극히 짧아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들고, 위에 5~7개의 마디가 길게 신장한다. 밑 부분에서부터 2~5번째 마디에서 가지가 나오고, 마디사이가 신장하는 3~4번째 마디에서 나온 가지에 열매를 맺는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과 잎집으로 구분되는데, 잎몸은 아랫부분이 넓고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잎집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다. 7~8월경 가지의 잎겨드랑에서 몇 개의 꽃이삭이 나온다. 암이삭은 밑부분에 있으며 딱딱한 엽포로 쌓여있고 3개의 암꽃 중 한 개만 익는다. 2개의 암술대는 길게 포밖으로 나오고 밑에 영과가 1개 있다. 숫이삭은 암이삭 위로 나와 길게 자라며 1마디에 1~3개의 작은 이삭이 달린다. 작은 이삭마다 꽃이 2개 달리나 1개는 대가 없고 수술은 2개씩이다. 9월 중순 이후 종자가 익으며, 영과는 타원형으로 품종에 따라 종실의 종피색이 회백색, 황갈색, 암갈색, 흑갈색 등으로 나타난다. 종자 1,000립중은 100g 전후이다. 동속식물인 염주는 껍질이 딱딱하여 도정이 어려워 작물로 이용되지 않는다.
Coix속에 속하는 원산지는 인도 또는 동남아시아로부터 혹은 야생형으로 또는 재배형으로 전세계의 열대 및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꽃생김새
꽃은 암, 수로 구별되고, 암꽃은 총포에 싸여 있으며, 수꽃은 총포 속의 자성소수가 착생하는 마디에서 수경이 나와 총포 밖으로 자라나서 5~8개의 웅성소수가 달림. 암꽃은 보통 3개의 소수로 형성되지만 그중 2개는 퇴화되어 1개만이 발달됨.
심는 방법
10a에 필요한 종자 3~4kg을 후루디옥소닐종자처리액상수화제 2,000배액에 3일간 침종소독 후 건져서 맑은 물에 3일간 다시 침종한다. 침종이 끝나면 건져서 그늘에 말려 파종한다. 비옥지에 일찍 파종할 때는 고랑 간격을 60cm로 하여 포기 사이를 30cm로 심으며, 한 포기에 3알 정도를 넣는다. 파종이 늦고 개간지와 같이 척박한 밭에서는 골랑 너비 60cm, 포기 사이를 20cm로 심는다.
가꾸기포인트) 쓰러지기 쉬우므로 키가 작은 품종을 선택하거나, 비료를 적게 준다.
기후, 토양조건
기후조건) 연평균기온이 10℃ 이상이고 7월의 평균기온이 20℃ 이상인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강우량이 1,000mm 내외이거나 또는 그 이상의 습한 곳이 생산의 중심이다.
토양조건) 율무는 아열대가 원산지이므로 고온다조하에 습윤 토양에서 왕성한 생육을 한다. 생육중 담수조건에서도 양호한 생육을 보이며 종자수량도 많은 수생식물적 경향이 있다. 이 외에도 내비성이나 내도복성도 강하고 산성토양, 신개간지, 척박지 등 열악지에서도 타작물보다 많은 생산량을 가져 올 수 있다.
물, 거름주기
물주기) 간단관개
거름주기) 10a를 기준으로 질소 15kg, 인산 9kg, 가리 5kg을 준다. 질소는 생육초기의 과번무로 인한 도복피해를 방지하고 성숙기까지 비료부족 현상을 막고 잎마름병을 예방하여 건전한 식물체로 유지하기 위하여 밑거름으로 50~60%를 주고, 웃거름은 40~50%를 출수기에 준다.
수확하기
수확은 가을 9월 하순~10월 중순 전체 종실 70~80%가 익었을 때 낫으로 베거나 기계로 수확한다. 수확 후 7일 정도 밭에서 말린 후에 탈곡하여 정선한다.
질병
관련질병) 잎마름병, 충해(조명나방)
질병증상) 잎마름병: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황색 또는 황갈색의 병반이 생긴다.
조명나방: 출수 후부터 성숙기에 걸쳐 줄기를 식해한다. 유충이 줄기를 먹어 들어간 부분에 배설물을 배출하므로 쉽게 식별 할 수 있다.
질병치료법) 잎마름병: 디페노코나졸유제,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액제, 이프로수화제를 사용한다.
조명나방: 할로스린유제, 그로포수화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