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안육
용안은 계원(桂圓)이라고도 부른다.
살은 부드럽고 연하며 색깔이 투명하고 수정(水晶)같이 빛나고 맛은 달다.
국제 과일 시장에서 환영받는 진귀한 과일 중 하나이다.
용안에 대한 신화적 전설이 민간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아득한 옛날 남쪽 나라의 어느 마을에 나쁜 용 한 마리가 나타나서 바람을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였다. 그리하여 온 마을 사람들의 집과 논밭을 물에 침수시켜 버리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의 생활이 점점 어려워졌다. 그 마을에 지용지용을 겸비한 소년이 있었다. 그 소년은 그 악용의 머리를 칼로 쳐서 죽여 다시는 마을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못하게 하겠다고 장담을선언하였다.
어느 날 새벽에 또 그 악용이 나타나서 해를 끼치려고 하였다. 악용은 또 비를 몰고와서 마을 사람들의 집과 전답을 침수시키려고 하였다. 소년은 분노하여 큰 칼을 휘두르며 악용과 일전을 벌였다. 결국 그 악용의 머리를 큰 칼로 쳐서 잘라 버렸다. 그런데 용의 두 눈알이 쑥 빠져 땅에 떨어졌다. 그 자리에서 상록교목이 자라나와 가지와 잎이 무성하였다. 나무의 껍질은 짙은 밤색이었다. 꽃이 피고 난 후 공처럼 둥근 열매를 맺었다. 사람들은 그 열매를 "용의 눈" 즉 용안(龍眼)이라고 불렀다.
용안은 음력 8 월에 성숙한다.
옛날 사람들은 음력 8 월을 계월(桂月)이라 칭했다.
용안의 모양은 원형이라서 계원(桂圓)이라고 부른다.
용안은 자고 이래 보신하는 과일로 알려져 있다.
이시진은 본초강목에 "용안의 맛은 달고 위와 비장을 돕고 보허(補虛)에 가장 좋은 과일이다." 고 말했다.
근대의 명의 장석순(張錫純)은 용안은 심혈(心血)을보하고심기(心氣)를 보해 주며 위와 비장을 돕기 때문에 생각이 많은 사람과 심허(心虛)로 인한 심계항진(心悸亢進), 심비양허(心脾兩虛), 불면증과 비허설사(脾虛泄瀉)와 양변하혈(兩便下血) 증상들을 치료한다 고 말했다.
현대 약리 실험연구 결과 용안은 포도당, 주석산, Adenine, 단백질, 지방, 비타민 B1, B2, C, P 와 인, 칼슘, 철분 등 무기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혈작용과 진정작용과 신경성심계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용안으로 치료 가능한 간단한 처방은 다음과 같다.
1. 비허설사 : 용안 40 개, 생강 3 편
2. 심계실면(心悸失眠) : 용안육 100 그램, 찹쌀 120 그램으로 죽을 끓여 복용한다.
3. 빈혈 : 용안육 15 그램, 대추 15 그램, 땅콩 10 그램, 찹쌀 30 그램으로 죽을 끓여 먹는다.
4. 신경쇠약 : 용안육 15 그램, 산조인 15 그램을 함께 끓여 복용한다.
5. 뜨거운 물에 덴데 : 용안각(殼)을 가루내어 참기름과 섞어 환부에 바른다.
6. 딸국질 : 용안 7 개를 구어서 가루내어 복용한다.
7. 외상출혈 : 용안의 씨를 가루내어 환부에 바른다.
8. 심비양허(心脾兩虛), 기혈부족 : 용안육 20 개, 달걀 두개, 설탕 적당량을 아침 새벽 공복에 끓여서 복용한다.
9. 심신허약(心身虛弱) : 용안육 250 그램, 고량주(高梁酒) 750 그램을 함께 섞어 1 개월 간 보관한 후 매일 잠자기 전에 한 잔씩 마신다.
용안육은
무환자나무과의 용안의 과육을 말합니다.
용안육의
성미는 달고 따뜻하며
귀경은 심경과 비경에 작용합니다.
용안육은
불면, 경계(잘놀람), 건망, 빈혈, 실면(잠을 이루지 못함), 안지(정신을 편안하게 함)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용안육은
보심비(심장과 비장의 기를 보함),
익기혈(기와 혈을 보충함),
안신지(정신을 안정시킴)
기혈양허(기와 혈이 모두다 허함, 어지럼증, 얼굴창백, 심장두근거림 등의 현상이 나타남),
면색무화(얼굴색이 밝지 못함),
두훈안화(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른거림, 간장과 신장이 허해서 일어남),
심비양허(심장과 비장이 모두다 허함, 잠을 잘 자지 못하고 꿈을 많이 꿈, 건망증, 식사를 적게함 등의 증상이 나타남), 빈혈,
심계정충(가슴이 두근두근 거림),
실면건망(잠을 자지못하며 기억력이 감퇴되어 잘 잊어버림),
비위허약( 비장과 위장이 기혈부족으로 모두 허약함),
식소(비위가 허해서 음식을 조금밖에 먹지 못함), 설사
등을 치료합니다.
섭취시 주의사항 / 용안육 부작용
복창(배가 더부룩하며 불러옴), 담화(끈끈한 가래가 많이 나옴),
습체정음(몸안에 습이 쌓여 정체되어 있는 경우) 등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