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醫學 方劑 世界/방제

육미지황환(육미환)

초암 정만순 2014. 2. 4. 18:42



육미지황환(육미환)


 

(조성)
숙지황 8전, 산수유, 건산약 각 4전, 목단피, 백복령(거피), 택사 각 3전


(용법)
이상을 가루로 하고 꿀로 환을 만들어 오자대로 하여 공복에 온수로 세 알 씩 복용한다.


(효능)
자보간신∙청허열∙리습


(적응증)
간신음허(간신음허) : 머리가 띵하다∙머리가 어지럽다∙사고력이 감퇴 된다∙
귀에서 소리가 난다∙잘 들리지 않는다∙허리 및 무릎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갈증이 있다∙인후가 건조하다∙몸에 열감이 있다∙손과 발이 화끈거린다∙
이가 흔들린다∙잘 때 땀이 난다∙유정(유정)이 있다∙성욕이 가항진 되고 발기부전이나 조루∙불감증 등 기능부전이 수반된다∙

소변이 진하다∙소변이 힘없이 나온다∙변이 굳어진다∙
여성의 경우는 월경이 없거나 경혈량이 적거나 무배란 등이 보인다∙혀는 붉거나 어두운 홍색이고 건조하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유아 소아의 발육부전이나 지능의 발달불량 등.


(처방해설)
이 약은 팔미지황환에서 계지, 부자 거한 방제이고, 소아약증직결에서 소아의 신증(腎症)에 쓰기 위해 창제된 방제이다.
소아는 발육기에 양기가 왕성하기 때문에 팔미지황환에서 양기를 키우는 계지와 부자를 거한 것이지만 여기에 구애됨이 없이 음이 쇠하고 양이 성한 간신음허에는 모두 쓸 수 있는 방제이다.
간신음허는 만성소모성 질환, 만성염증성 질환, 영양불량, 선천성 허약증, 노화 등에서와 같이 음액이 소모되고, 여러 가지 물질적인 기반이 부족하거나 탈수가 된 상태에서 보상성으로 이화작용의 항진, 내분비기능의 실조, 면역 감시능의 실조 및 중추억제 기능의 약화가 일어나서 양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항진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또 간신음허에서 자주 나타나는 비뇨생식기계의 이상은 내분비계 및 자율신경계의 실조 때문이라고 해석할수도 있다.
육미지황환은 삼보와 삼사의 약물로 되어 있다. 주약이고 자음보신, 익정생혈작용이 있는 숙지황에, 자보간신, 고정지한 작용이 있는 산수유와 보기건비, 고정축뇨 작용이 있는 산약의 배합을 삼보라 하며, 청열량혈 작용이 있는 목단피에 청열이수 작용이 있는 택사와 이수 작용이 있는 복령의 배합을 삼사라 한다.
이와 같은 조성에 의해 육미지황환은 보익하는 효과를 높이고 이화항진을 억제하며 중추 흥분성을 저하하고 내분비기능을 조정하며 자율신경계를 조정하고 혈압강하, 혈당강하 및 자양강장 작용 등을 강화하고 있다.


(사용의 실제)
머리가 어지럽고 유정 등이 현저하다면 산약, 산수유를 증량하고,
기상충, 흥분, 구갈 등의 열증이 심하면 숙지황을 생지황으로 바꾸고 목단피를 증량하며,

요량감소, 배뇨통이 있으면 택사, 복령을 증량한다.
허증이 심하면 천문동, 맥문동, 현삼 등을 가하고,
구갈이 심하면 천화분, 석곡, 옥죽 등을 택사, 복령 대신에 가한다.
기허를 수반하면 인삼, 당삼, 황기 등을 가하고,
양허가 수반되면 부자, 육계 등을 가한다.
오미자를 가하면 신기환이 되는 데 이는 폐를 자양하여 신수를 생하고,
육계, 부자 가하면 팔미환이 되는 데 이는 명문의 양허를 다스리며,
우슬, 차전자 가하면 금궤신기환이 되는 데 이는 음허에 의한 부종을 다스린다.
유뇨가 계속될 때에는 택사를 거하고 익지인을 가하며,
노인 및 임부 부종에는 택사를 배로 가하고,
음허에 의한 부종에는 숙지황을 감하고 우슬, 차전자, 계지, 부자를 가한다.
황달에는 인진호를 가하고,
상한이 때를 넘겨 허열이 없어지지 않고 구조, 설건, 맥허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인삼을 배로 가하맥문동과 귤피 등을 가한다.
가감팔미원을 소갈에 오래도록 복용하면 영원히 병이 났는 데 이것이 신기환이다.


(임상응용)
자율신경실조증, 고혈압증, 동맥경화증, 당뇨병, 만성신염, 갑상선기능 항진증, 폐결핵, 만성요로감염증, 기관지천식, 강피증 등의 만성질환과 무배란, 무월경, 과소월경 등 부인과 질환에서 간신음허가 있을 때. 유소아의 발육불량, 지능발달불량 등에 쓴다.


(참고)
육미환은 간신음허에 대하여 널리 이용되는 명방으로 그 쓰는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육미환의 간신음허증이 있으면서 흥분, 상기증, 열감, 오후의 미열, 인통, 구갈, 식은 땀, 성욕가항진 등의 음허화왕에 의한 증상이 있을 때에는 지모황백을 가하고,

눈이 침침하다, 눈이 어지럽다, 눈이 부시다, 눈에 건조감과 통증이 있다, 시력이 감퇴된다,

두통, 두운이 있다 등의 간음화왕에 의한 증상이 있을 때에는 감국구기자를 가하며, 건해, 천식, 흡 기성 호흡곤란, 담이 없거나 점조한 가래, 특히 가래에 피가 섞이는 등의 폐음허의 증상이 있을 때에는 오미자맥문동을 가하고,

발열, 갈증, 인후통, 입과 혀 및 잇몸이 허는 등 염증이 있을 때에는 육계를 가한다.
현기증, 이명, 갈증, 미열, 요통 등이 있을 때에는 당귀작약을 가하고,

시력장애, 눈물이 많이 흐르고 눈병이 있을 때에는 구기자, 감국, 당귀, 작약, 백질려, 석결명 등을 가한다.
<중국의학대사전>
신허요슬산통, 가두충우슬. 소변빈삭, 거택사가익지인. 월경부조, 가향부미엽.
<만병회춘>
육미환, 우명육미지황환. 차장수지제. 부인지생. 이신위주. 범병개유신허이치. 차방내천일생수지제. 무유불가용자. 세소지. 약신허발열작갈. 소변림폐. 담기옹성. 해수토혈. 두현운. 소변단소. 안화이농. 인후내조.구열창열. 치불견고. 요퇴 연. 오장제손. 간경부족지증. 우당용지.육미환은 일명 육미지황환이라 한다.
이것은 수를 기르는 약이다. 남자들의 생활은 신이 위주가 된다. 그러므로 대개 남자들의 병은 신허에서 원인 한다.
이 방제는 생수지제로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다.
만약 신허발열하여 갈증이 있다, 소변이 임폐한다, 담기가 옹성하다, 해수토혈한다,
머리와 눈이 어지럽다, 소변이 단소하다, 안화가 있고 귀가 들리지 않는다,
인후가 건조하다, 구열창열한다, 치아가 든든하지 않다, 허리와 무릅이 약하다,
오장이 다 허손하거나, 간경부족증에 널리 사용한다.



'韓醫學 方劑 世界 > 방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미환  (0) 2014.02.04
팔미지황탕과 육미지황탕의 차이  (0) 2014.02.04
일반 약재 법제법  (0) 2014.02.04
신이 내린 정력제「생강」  (0) 2014.02.02
술(酒)로 인한 관련 병증 및 처방  (0) 201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