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미지황탕과 육미지황탕의 차이
원음 부족 (신수 부족, 신음허)에 육미지황탕이 주치이다.
원음 부족에 신양허(腎陽虛)가 겹쳐진 상태가 팔미지황탕의 목표 증상이다.
허한(虛寒)을 다스려야 할 때 (즉 부자증이 있을 때) 소음병의 대표약인 팔미지황탕을 쓴다.
부자증이 없으면 육미지황탕을 쓴다.
발에 열이 나다가 차갑다. [足煩熱과 足冷이 교차] 혹은 발에 냉증만 있어도 팔미.
발에 열만 나면 육미.
(신음허가 육미이고, 신음양허가 팔미이기 때문이다)
부자증
1. 맥침
맥이 활성화되지 못하여 침맥이다.
2. 手足冷 腹冷 腰冷 膝冷
신양이 부족하면 명문화가 약해지므로 사지말단이 시리고 배가 차며 아프다.
신과 결합부위인 허리와 신의 주관 부분인 무릎이 시리며 아프다.
表熱不足이므로 추위를 많이 타거나 냉한 증상을 호소한다.
3. 軟便, 下痢
중초가 허한하므로 똥에 물기가 있어 설사 경향이 있다.
4. 附子舌
당연히 혀에도 한증이 나타난다.
특히 돌기가 있어야 할 혓바닥 윗부분에 혓바닥 아랫부분과 같은 미끈한 설질이 나타난다.
주로 혀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해 중앙으로 향하여 간다.
이것은 몸의 불이 꺼져가고 노화되는 증상이다.
부자설(附子舌)이 나타나면 팔미지황탕이라 진단하면 된다.
계지증
氣上衝으로 인한 입이 마름(구갈), 심계항진, 폐기종 같은 숨이 차는 증상
성분
육미지황탕에 계지와 부자를 더한 것.
(연혁적으로는 먼저 팔미가 있었고, 계지와 부자를 빼서 나중에 나온 것이 육미이다.)
자음보신 숙지황 320g
자보간신 산약 160g
보기건비 산수유 160g (이상 三補)
청열양혈 목단피 120g
청열이수 택사 120g
이수작용 복령 120g (이상 三瀉)
신양온보 부자 40g
순환기능 육계 40g (즉 8 : 4 : 4 : 3 : 3 : 3 : 1 : 1 )
고방엔 계지와 건지황으로 되어 있지만
지금은 계지 대신 육계를 쓰고 건지황이 아니라 숙지황을 쓴다.
주의
평소 설사를 잘하는 사람, 위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위장 약한 사람은 보중익기탕으로 중초 보한 후 팔미지황원. 혹은 보중익기탕과 팔미지황탕 합방)
다만, 약을 먹고 한 번 혹은 이틀 내지 사흘 동안 검은 설사를 하는 것은 숙변이 빠지는 것이다.
즉 위장이 약한 탓에 부작용이 나타난 것이 아니니 계속 먹어도 된다.
부작용(설사)이 나타나지 않으면 오래 먹어도 문제 없다.
팔미를 장복하였는데 전과 달리 효과가 적거나 효과가 없다고 느껴지는 경우 육미지황탕’을 써보는 것이 좋다.
즉 팔미증에서 육미증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좋아진 것이다.
부작용 (특히 부자의 부작용)
부자는 사약의 원료이기도 할만큼 독성이 강하지만, 감두탕으로 법제하면 약으로 쓸 수 있다.
혀끝이 떫은 맛이 나는 것처럼 감각이 무디어진다.
얼굴에 열이 오르는 것 같은 열감이 있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잠이 쉽게 들지 않는다.
두통이 심하거나 수족이 마비되고 코피가 나거나 시력이 떨어지면 중증이다.
부작용이 나타나면 약을 중단하고 생쌀을 천천히 씹어 삼킨다.
감두탕(감초와 콩, 혹은 감초와 녹두를 같은 비율로 삶은 물)으로 해독한다.
육미지황탕의 경우
신음은 부족해서 문제지 남아서 문제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누구나 오래 마셔도 된다.
그러므로 보약엔 거의 육미가 포함된다.
팔미지황탕 가감례
1. 소화 안 되고 잘 체함 ==> 우슬, 차전자
2. 마른 기침 [乾咳] ==> 맥문동, 오미자
3. 당뇨 ==> 숙지황 2배 혹은 이중탕(혹은 진무탕 혹은 대시호탕) 합방
4. 토혈 ==> 아교주
5. 새벽 설사 ==> 토사자, 파고지, 오미자
6. 오래된 천식 ==> 소청룡탕 혹은 맥문동탕 합방
7. 위장과 원기 약함 ==> 보중익기탕 합방
8. 기혈 음양이 모두 부족.
식은땀이 많고, 하체에 땀이 차며( 걷거나 잘 때 다리에 땀이 많이 난다. )
식욕이 없고, 설사가 잦고, 담이 많다.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고, 속이 메슥거리며 사지가 무력하여 걷는 것이 수고롭다.
정신이 맑지 않고 부종이 있거나 귀가 울리고 폐결핵이 되려는 사람. 맥은 약하다.
손발바닥이 달아오르고 미열이 있고, 유정, 기침도 있다.
십전대보탕 합방 치험례
당뇨, 전립선염에 특효
모든 만성병 (신장을 보해주므로)
소변불리 (개복수술이나 해산 후 요실금에 좋다, 노인의 전립선 비대에 장복하면 특효)
정력제
위장병 ( 잘 체하는 느낌이 사라짐 )
허리 아래로 살이 빠지고 다리가 시리고 무릎이 시큰시큰할 때 하초가 훈훈해짐.
허리가 아픔 ( 허리가 펴진다 )
불면 불안 초조
장복하면 머리가 검어짐.
알레르기 체질 (3개월 이상 장복하면 놀라운 효과)
고혈압 (말초혈관 저항 높고 심장 기능 약해 하반신이 찬 노년기 고혈압에 주효)
효능
온보신양 : 신장의 양기를 보한다.
하초의 약으로 신허(腎虛, 신장의 허증)를 개선하는 약이다.
부자가 포함되었기 때문에 대표적인 노인의 보약으로
후세방이든 고방이든 빈도가 높은 유명한 처방이다.
주치
신양부족으로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다. 腰痛脚軟
하반신에 찬 기운이 있다.
아랫배가 땅긴다.
번열 때문에 눕지 못한다.
오줌을 시원하게 누지 못한다.
맥이 약하면서 가라앉는다.
혀는 창백하다.
담음 당뇨 각기병
처방해설
腎陽不足 신장에 양기가 부족하면 하반신을 덥히지 못한다.
그래서 배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고,
하반신(다리와 배)이 차며, 아랫배가 땅기는 느낌이 있다.
몸의 기와 물을 운행하지 못하여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운용
1. 腎陽不足 (신장의 양기가 부족) 증상 [腎虛]
허리가 시리고 다리에 힘이 없다 [腰?腿軟]
오줌이 맑다 [小便淸利]
혀가 창백하면서 커보인다 [舌淡而?]
담 (신양이 부족하면 수가 운행하지 못해 담이 된다)
당뇨 (신양이 부족함녀 진액이 변하지 못하여 당뇨가 된다)
2. 신양부족에 속하는 당뇨병, 신경쇄약,
만성 신염, 만성 기관지 천식, 만성 비염 등 신허가 원인인 경우.
출처 금궤요략, 동의보감, 방약합편 등
약리
1. 당지질대사 개선작용(랫트, 마우스에 실험
① 내당능 시험에 있어서 가냉에 의한 혈당처리능(당동화기능)의 저하를 억제.
인슐린분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특히 에피네프린 투여에 의한 교감신경흥분성 고혈당시에 현저하
였다.
② 고콜레스테롤로 사육한 랫트 및 마우스에 있어서 항지간작용이 확인되었다.
③ 라벨 콜레스테롤을 이용한 실험에 있어서 콜레스테롤의 회전률의 증가작용이 확인.
④ 장기 알코올 투여 랫트에 있어서 지질대사기능의 저하에 대한 개선작용 및 항산화작용
2. 이뇨작용(랫트, 마우스에 실험
Na배설증가를 동반한 이뇨효과가 확인되었다.
3. Aldose Rectase(AR) 활성저해작용
랫트 렌즈 AR활성의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4. 남성호르몬양 작용
유약 랫트 및 성숙거세 랫트에 경구 투여한 결과,
양군 모두 전립선의 티미딘키나제활성의 증가가 확인.
남성호르몬인 에난드산 테스토스테론과의 동시투여로부터 그 효소활성이 억제.
구성 생약의 약리
1. 숙지황 - 혈당강하작용, 혈액응고 억제작용, 이뇨작용, 완하작용
2. 산수유 - 항당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면역부활작용
3. 산약 - 남성호르몬 증강작용
4. 택사 - 이뇨작용, 항지방간작용, cholesterol 경감작용, 혈액응고 억제작용
5. 복령 - 이뇨작용, 소화성궤양 억제작용, 교감신경 흥분작용, 평활근 마비작용, 강심작용
6. 목단피 - 진통·진정작용,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작용, 면역부활작용, 지방분해 억제작용, 혈소판응집 억제작용, 월경곤란증 개선작용, 항균작용·항바이러스작용
7. 계지 - 해열작용, 혈관확장작용, 혈소판응집 억제작용, 항침해수용작용, 항염작용, Hexobarbital 수면연장작용, 스트레스성 궤양 억제작용, 살균작용, 담즙분비 항진작용
8. 부자-강심작용, 혈압상승효과, 혈압강하작용, 혈관확장작용, 신진대사촉진작용, 뇌회백질 조직호흡
촉진작용, 간단백 생합성촉진작용, 면역활성작용, 혈당강하작용, 진통작용, 국소마취작용, 항염증작용, 자발운동 억제작용, stress성궤양 억제작용, Hexobarbital수면 연장작용 당뇨, 당지질대사 개선 작용 (혈중의 콜레스테롤 및 당을 저하시키는 작용)
혈압강하 작용, 이뇨 작용, 호르몬 조절 작용 당뇨병, 신염, 좌골신경통, 요통, 각기, 방광카타르, 전립선비대,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
단 위장이 약하거나 상기(上氣)되기 쉬운 사람은 주의를 요한다.
상기(上氣)
상기, 즉 뒷골이 아프거나 눈이 침침하거나 가슴이 답답하거나 열이 날 때 족삼리에 뜸을 뜨면 좋다.
상기증이 심하지 않다면 족삼리에 꾸준히 뜸을 뜨면서 복용하면 된다.
'韓醫學 方劑 世界 > 방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의 기본 개념 (0) | 2014.02.04 |
---|---|
팔미환 (0) | 2014.02.04 |
육미지황환(육미환) (0) | 2014.02.04 |
일반 약재 법제법 (0) | 2014.02.04 |
신이 내린 정력제「생강」 (0) | 201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