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五行에따른보사침혈(補瀉鍼穴)
12經 |
補處方 |
瀉處方 |
補鍼穴 |
瀉鍼穴 |
補鍼穴 |
瀉鍼穴 |
他經*2 |
自經*1 |
他經 |
自經 |
他經 |
自經 |
他經 |
自經 |
보
肺經
사 |
太白
(土,土)- |
太淵
(金,土)- |
少府
(火,火)- |
魚際
(金,火)- |
少府
(火,火)- |
魚際
(金,火)- |
陰谷
(水,水)- |
尺澤
(金,水)- |
보
大腸經
사 |
三里
(土,土)+ |
曲池
(金,土)+ |
陽谷
(火,火)+ |
陽谿
(金,火)+ |
陽谷
(火,火)+ |
陽谿
(金,火)+ |
通谷
(水,水)+ |
二間
(金,水)+ |
보
胃經
사 |
陽谷
(火,火)+ |
解谿
(土,火)+ |
臨泣
(木,木)+ |
陷谷
(土,木)+ |
臨泣
(木,木)+ |
陷谷
(土,木)+ |
商陽
(金,金)+ |
勵兌
(土,金)+ |
보
脾經
사 |
少府
(火,火)- |
大都
(土,火)- |
大敦
(木,木)- |
隱白
(土,木)- |
大敦
(木,木)- |
隱白
(土,木)- |
經渠
(金,金)- |
商丘
(土,金)- |
보
心經
사 |
大敦
(木,木)- |
少衝
(火,木)- |
陰谷
(水,水)- |
少海
(火,水)- |
陰谷
(水,水)- |
少海
(火,水)- |
太白
(土,土)- |
神門
(火,土)- |
보
小腸經
사 |
臨泣
(木,木)+ |
後谿
(火,木)+ |
通谷
(水,水)+ |
前谷
(火,水)+ |
通谷
(水,水)+ |
前谷
(火,水)+ |
三里
(土,土)+ |
小海
(火,土)+ |
보
膀胱經
사 |
商陽
(金,金)+ |
至陰
(水,金)+ |
三里
(土,土)+ |
委中
(水,土)+ |
三里
(土,土)+ |
委中
(水,土)+ |
臨泣
(木,木)+ |
束骨
(水,木)+ |
보
腎經
사 |
經渠
(金,金)- |
復溜
(水,金)- |
太白
(土,土)- |
太谿
(水,土)- |
太白
(土,土)- |
太谿
(水,土)- |
大敦
(木,木)- |
湧泉
(水,木)- |
보
心包經
사 |
大敦
(木,木)- |
中衝
(相,木)- |
陰谷
(水,水)- |
曲澤
(相,水)- |
陰谷
(水,水)- |
曲澤
(相,水)- |
太白
(土,土)- |
太陵
(相,土)- |
보
三焦經
사 |
臨泣
(木,木)+ |
中渚
(相,木)+ |
通谷
(水,水)+ |
液門
(相,水)+ |
通谷
(水,水)+ |
液門
(相,水)+ |
三里
(土,土)+ |
天井
(相,土)+ |
보
膽經
사 |
通谷
(水,水)+ |
俠谿
(木,水)+ |
商陽
(金,金)+ |
竅陰
(木,金)+ |
商陽
(金,金)+ |
竅陰
(木,金)+ |
陽谷
(火,火)+ |
陽輔
(木,火)+ |
보
肝經
사 |
陰谷
(水,水)- |
曲泉
(木,水)- |
經渠
(金,金)- |
中封
(木,金)- |
經渠
(金,金)- |
中封
(木,金)- |
少府
(火,火)- |
行間
(木,火)- |
*; 自經이란각경락에속하는오행혈
*; 他經이란각自經의오행혈과같은경락의오행혈
*; (경락,오행혈)± ; ±윗첨자는음경락과양경락을표시한다.
*; 앞의 12경락의오행혈참조
예제; 폐보처방
폐(肺)가 오행에서 金이므로 金을 補하려면 相生相剋의 補瀉법칙에의해
金의 母인 土를 補하고 金의 官인 火를 瀉해야하므로
自經인 (金, 土)의 太淵을 補하고, (金, 火)의 魚際를 瀉하며
他經인 (土, 土)의 太白을 補하고, (火, 火)의 少府를 瀉한다.
여기서 자경(自經)과 타경(他經)이라는것은 씨앗에 비유하면 씨앗자체가 오행을 일으켜 세우는 것은
자경에 해당하고주위환경(오운육기)에 의한 씨앗의 오행(火)을 일으켜 세움은 타경에 의한 것이다.
즉, 씨앗자체는 오행이 살아 있어 미미한 自火(유전인자; 火氣)가 살아있다가 계절이 바뀌어 봄이 되면
외부에서 강력한四象의 土氣(濕,溫), 金氣(燥,?), 水氣(寒), 木氣(風)의 不及이 균형을 갖추어 감으로 씨앗에
火氣를 일으켜 세우도록 부추기면, 씨앗내부에서 내부사상이自火를 일으켜 세우므로 새싹이트기
(중력반대방향의힘인火氣의생성이) 시작하고 다시 오행이 활발히 변화를 거듭하는 과정
(不及이균형을맞추어가는)이 살아가는 과정인것이므로 불균형을 일으켜 세우는데는 他經이 먼저이고
自經이 다음으로 침으로 치료할때도 씨앗이 싹을 틔울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어 주는것이 선(先)과
후(後)의 이치이다.
手足 |
12 經絡補瀉(五行補瀉; 一名舍巖補瀉) |
刺鍼穴處數 |
手 |
足 |
[足±] |
木의補처방...(金瀉水補) |
1 |
3 |
木의瀉처방...(金補火瀉) |
2 |
2 |
[手±] |
火의補처방...(水瀉木補) |
2 |
2 |
火의瀉처방...(水補土瀉) |
2 |
2 |
[足±] |
土의補처방...(木瀉火補) |
1 |
3 |
土의瀉처방...(木補金瀉) |
1 |
3 |
[手±] |
金의補처방...(火瀉土補) |
3 |
1 |
金의瀉처방...(火補水瀉) |
3 |
1 |
[足±] |
水의補처방...(土瀉金補) |
1 |
3 |
水의瀉처방...(土補木瀉) |
0 |
4 |
그러므로 위의결과는 아래표와 같이 經絡의 穴處에 따라 手足이 3:1이지만 火의 처방은 中心-火로서 양쪽에
공평하게 手:足=2:2이며 火를 瀉해야하는 木의 瀉처방도 手:足=2:2이나 火를 補해야하는 水의 瀉처방은
手:足=0:4가된다.
5)刺鍼法
먼저 자침(刺鍼)의 깊이, 유침(留鍼)의 정도, 보사(補瀉)판단, 혈(穴)의 선후(先後), 혈의위치 선정이 결정되면
(1) 病이 있는 반대편에 刺鍼하라.
(2) 鍼이란 妙한 이치를 가지고 있으니 陰陽을 살펴서 補하고 瀉하라. 경락의 流注방향은 “대-한민국“하고
두손을 들었을때 陽經은 손끝에서 부터 아래로 흐르고 陰經은 발끝에서 부터 위로흐른다.
(3) 남자는 왼쪽이 陽이고 여자는 오른쪽이 陽이된다.
(4) 왼손으로 穴處를 찾아서 손톱으로 적이기를 열번한후에 (열려있는혈찾기)
(5) 오른손에 鍼을 가지고 얕고 깊음을 알아 신중히 찌르데 貴한 손님을 대하듯 공경하고 맹수를
때려잡듯 私를 두지말라.
(6) 밥먹기前(胃가空하고)이나 後(胃가實하여)에 鍼을주지마라.
昏倒 하는 수 가 있다.
(7) 昏倒한 즉시에는 겁내지 말라 三里(土土)를 補하면 곧 깨어난다.
(8) 鍼을 經絡따라 補하는 건 隨하고 瀉하는 건 迎한다.
(9) 下鍼하기를 急히 하면 血을 傷하고 出鍼하기를 急히 하면 氣를 傷한다.
(10) 살살비비면 아프지 않고 급히 비비면 아프다.
(11) 補하는데 비비는 방법은 九九數(엄지손가락으로 9을쓰듯)로 하고 瀉하는데 비비는 방법은
六六數(엄지손가락으로 6을쓰듯)로한다.
99數(補法) 66數(瀉法)
6)한열보사침혈(寒熱補瀉鍼穴)
12經 |
寒證處方(따뜻하게) |
熱證處方(차갑게) |
補鍼穴 |
瀉鍼穴 |
補鍼穴 |
瀉鍼穴 |
自經 |
他經 |
自經 |
他經 |
自經 |
他經 |
自經 |
他經 |
肺經 |
魚際 |
少府 |
尺澤 |
陰谷 |
尺澤 |
陰谷 |
少府 |
魚除 |
大腸經 |
陽谿 |
陽谷 |
二間 |
通谷 |
二間 |
通谷 |
陽谷 |
陽谿 |
胃經 |
解谿 |
陽谷 |
內庭 |
通谷 |
內庭 |
通谷 |
陽谷 |
解谿 |
脾經 |
大都 |
少府 |
陰陵泉 |
陰谷 |
陰陵泉 |
陰谷 |
少府 |
大都 |
心經 |
少府 |
然谷 |
少海 |
陰谷 |
少海 |
陰谷 |
少府 |
然谷 |
小腸經 |
陽谷 |
崑崙 |
前谷 |
通谷 |
前谷 |
通谷 |
陽谷 |
崑崙 |
膀胱經 |
崑崙 |
陽谷 |
通谷 |
前谷 |
通谷 |
前谷 |
陽谷 |
崑崙 |
腎經 |
然谷 |
少府 |
陰谷 |
少海 |
陰谷 |
少海 |
少府 |
然谷 |
心包經 |
勞宮 |
然谷 |
曲澤 |
陰谷 |
曲澤 |
陰谷 |
勞宮 |
然谷 |
三焦經 |
支溝 |
崑崙 |
液門 |
通谷 |
液門 |
通谷 |
支溝 |
崑崙 |
膽經 |
陽輔 |
陽谷 |
俠谿 |
通谷 |
俠谿 |
通谷 |
陽谷 |
陽輔 |
肝經 |
行間 |
少府 |
曲泉 |
陰谷 |
曲泉 |
陰谷 |
少府 |
行間 |
* 따뜻하게하려면
각경락(經絡)의 화(火)를 보(補)하고 수(水)를 사(瀉)해야한다.
예, 肺를 따뜻하게 하려면 金經의 火인 魚際와 火經의 火인 少府를 補하고
金經의 水인 尺澤과 水經의 水인 陰谷을 瀉한다.
*차갑게하려면
각경락(經絡)의 수(水)를 보(補)하고 토(土)를 사(瀉)해야한다.
예, 肺를 차갑게 하려면 金經의 水인 尺澤과 水經의 水인 陰谷을 補하고
金經의 土인 太淵과 土經의 土인 太白을 瀉한다.
7) 긴급처방 (사암침구요결에서)
㉠화색(華色)을 먼저 살펴 오행으로 미루어 짐작하고; 顔色(이마, 왼쪽볼, 오른쪽볼, 턱), 瓜甲色(손톱색),
口脣色(입술색), 피부색(상태), 머리색(상태)
㉡눈의 흰창이 빨간색; 百會穴*붙임6에서 피를 뺀다.(혹은가운데손가락끝에서)
㉢졸도, 인사불성; 십선혈(十宣穴)*붙임6에서 피를 뺀다.
㉣침을 줄줄 흘린다; 팔사혈(八邪穴)*붙임6에서 피를 뺀다.
㉤배꼽아래, 위를 만져보고 관장을 시킨다(心瀉法).
㉥쪽바람으로 입이 돌아간 것은(편풍구와) 肝實에 心實이 합세한 것이니 심포의 화혈(勞宮;相火,火) 補와
심의 화혈(少海;火,水)을 瀉한다.(둘다 심사방에 속한다.)
㉦입과 눈이 돌아간 것은(구안와사) 肝虛에 心實이 합세한 것이니 少海(火,水)補, 然谷(水,火)瀉
㉧肝實로 惡寒을 만나 심하게 추위를 느낄때 寒熱補瀉로 陰谷(水水)補, 太衝(木土)瀉 (땀을흘리면옷을벗긴다)
㉨脈으로 체질을 정확히 조사하여 기본처방을 행하며 진료를 계속한다.
이후 氣의 흐름이 원활 하도록 관절운동을 보강케 지시한다.
㉩두통; 심포(心包)의 화혈(勞宮)과 심(心)의 수혈(少海)을 瀉한다.
㉪피부의 일부에 적색 얼루레기가 나타나는 證에는 金을 補하기위해 모든 火經을 모두 瀉하는 처방을
취하므로 魚際, 陽谷, 勞宮, 支溝, 少府, 陽溪, 大都, 行間, 海溪, 陽輔, 昆崙의 11개 火穴을 瀉하나.
腎의 火穴은 하지말라.
㉫밤눈이 어두우면; 간보처방
㉬귀에서 소리가 나면; 방광보처방
㉭귀가 먹으면; 신보처방
㉮코가 막히거나 말을 못한다; 폐보처방
㉯목구멍이 한쪽만 부어 오른다; 간보처방
㉰목아지 멍울; 대장보처방
㉱뼈마디가 물어 뜯는 것 같이 아픈것은 腎虛(골다공증)니 腎補로 經渠(金金)補하고 太白(土土)瀉해야하나
일종의 痛風에 의한 것이니 木瀉金補 처방으로 經渠補, 大敦瀉로한다.
㉲토사각란으로 이미 사망 했더라도 가슴에 더운 기만있거든 太衝木土, 三里土土를補하고, 合谷金本을瀉하라.
㉳모든 딸국질은 대장보 처방을 써야하나 오랜 투병 후 에 나는것은 심보처방을쓴다.
㉴五十肩에는 二間金水, 陽谷火火補한다.
㉵腰痛에는 委中水土, 三里土土, 昆崙穴水火을 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