建康 散步/건강 백과

호흡

초암 정만순 2014. 4. 14. 10:56

호흡

 

동의보감의 내용중 호흡에 관련된 내용을 옮겨 적어요. 

기는 호흡의 뿌리이다.

 

『정리』에서는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아 태어날 때, 자궁 안에서는 어머니의 호흡을 따라 호흡하다가 이윽고 태어나 탯줄을 자르면 한 점의 참으로 신령한 기氣가 배꼽 밑에 모인다. 사람은 기가 가장 우선하니 호흡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눈, 귀, 코, 혀, [몸뚱이], 뜻[意](이것을 육욕六慾이라 한다)은 모두 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기가 아니라면 소리, 빛깔, 냄새, 맛, 감촉, 법法을 모두 알 수 없을 것이다. 내쉬는 기는 하늘의 근원과 사귀고, 들이마시는 기는 땅의 근원과 사귄다.  

사람의 몸에서 기는 하루에 180장丈을 돈다"고 하였다.

 

○ 『참동계』에서는 ... 숨을 내쉬면 기가 나가니 양陽이 열리는 것이며, 들이쉬면 기가 들어오니 음이 닫히는 것이다. 대개 사람의 음양은 천지의 음양과 서로 비슷하다. ...

 

○ 장주는 "진인眞人은 발뒤꿈치로 호흡하고, 보통 사람은 목구멍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대개 기가 하초下焦에 있으면 그 호흡이 깊고 멀며, 기가 상초上焦에 있으면 그 호흡은 촉급하니, 의미가 비슷하다.

 

○ 상초上焦 : 횡격막 위의 부분으로, 심장과 폐를 포괄하는 부위를 이르는 말. 삼초(三焦)의 하나이다.

○ 중초中焦 : 비장, 위장, 간장 등을 중심으로 하는 복부를 이른다.

○ 하초下焦 : 배꼽 아래의 배를 이르며, 신장, 대장, 소장, 방광 따위가 이에 속한다.

 


고대로 부터 호흡은 생명을 뿌리라고 하여 다양한 수련방법들이 호흡에 기반해서 나왔어요.  

이제는 과학적으로도 호흡의 중요성이 인정이 되어서 최근에 개발되는 운동들에는 호흡이 빠지지 않고 들어가지요.  

요가나 태극권 국선도 오래된 무술이나 깨어남을 위한 여정에는 호흡이 빠진적이 없어요.  

 

위의 글에서 장주는 장자를 말해요. 여기에서 장주라고 표현한 것은 장자의 이름이 주였기 때문이에요. 

발 뒤꿈치로 호흡을 한다는 것은 발 뒤꿈치까지 호흡이 내려가는 느낌이 느껴진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에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횡경막이라고 부르는 곳은 한 곳이지만 기능적으로 횡경막의 역할을 하는 곳이 몇 곳 더 있어요.  

그 부분중 하나가 발바닦에 있어요 깊이 호흡하는 분들은 그곳에서 호흡이 나가고 들어올 때 근육이 이완되고 하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아래는 소마지성에서 말하는 대표적인 횡경막이에요.  

노자께서 말씀하신 뒤꿈치는 이 횡경막을 말씀하시겠지요  


 

우리는 태어날 때 온몸으로 호흡을 하고 온몸의 호흡을 경험할 수 있었엉요.  

그런데 자라면서 삐딱한 자세와 감정들의 추적등으로 몸과 마음이 굳어지면서 호흡이 옅어지게 되요.  

이렇게 점점더 옅어지게 되면서 목구멍에 가까이 점점 가게 되지요. 

숨이 넘어갔다는 표현도 있잔아요  

 

호흡수련이나 옅게 호흡하라고 말하는 것은 모두 호흡을 아래쪽으로 내려서 전신으로 하는 태어났을 때의 호흡으로  

달아가자는 이야기라고 해요  

 

호흡을 애써허 어떻게 하려고 하지는 마시구요.  

호흡이 어디까지 내려가고 얼마만큼의 길이인지 호흡의 굵기를 관찰하시면  

저절로 호흡이 깊어지게 되요. 

 

그것과 함께 요가나 행공등을 함께 해주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수련을 하면  

더욱 가속화가 되지요.  

 

결국 마음과 몸에 쌓인 스트레스로 인해 호흡이 짧아졌으니  

마음과 몸을 잘 길러내면 호흡은 다시 돌아오게 되는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