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狀別 方劑處方/소화기계

소화불량과 식적 - ‘보화환’

초암 정만순 2021. 1. 12. 09:23

소화불량과 식적 - ‘보화환’ 

 

 

소도법(消導法)은 식적내정(食積內停)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의 구성법이다.

주로 기(氣)·혈(血)·담(痰)·습(濕)·식(食) 등의 옹체(壅滯)로 인한 적체비괴(積滯痞塊)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음식이 내정되어 식적(食積)을 이루는 원인은 육류를 비롯해 화학 첨가제로 가공한 식품의 섭취와 폭음, 폭식이다.

또 비위 기능이 허약한 체질을 비롯해 큰 병을 앓고 난 뒤 비위의 기(氣)가 허(虛)해진 경우, 중초(中焦)의 허한(虛寒)으로 비위의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식적이 잘 생긴다.


식적내정증(食積內停證)의 치료는 소식도체(消食導滯)하게 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단, 겸증의 유무에 따라 개위화중(開胃和中)과 소적도체(消積導滯)의 작용이 있는 약물을 쓰면 치료 효과가 더 빠르게 나타난다.


약물의 배합은 소식도체가 주(主)가 되고 건비화위(健脾和胃) 약물이 보조가 되어 적절히 쓰는 것이 좋다.

배합 규칙은 이기(理氣)와 거습(祛濕), 청열(淸熱), 공적도체(攻積導滯), 건비지사(健脾止瀉)를 원칙으로 한다.

 

 

보화환[ 保和丸 ]

 

산사육(山樝肉) 40g, 

반하(半夏: 생강즙에 법제한 것) · 내복자(萊菔子: 덖은 것) · 황련(黃連: 덖은 것) · 진피(陳皮) 각 20g, 

신국(神麴: 덖은 것) 12g,

 맥아(麥芽: 덖은 것) 8g.

 

 [《동의보감(東醫寶鑑)》]

음식에 체해서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신물이 올라오며 소화가 안 되는 데 쓴다.

급 · 만성 위염 등에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신국 200g을 넣어서 쑨 풀에 반죽하여 0.3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50~70환씩 하루 3번 식후에 먹는다.

 산사(山樝) 240g, 

신국(神麴) · 반하(半夏) · 백복령(白茯苓) 각 80g, 

진피(陳皮) · 내복자(萊菔子) · 연교(連翹) 각 40g. 

 

[《의림촬요(醫林撮要)》]

적응증은 ①과 같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쌀풀로 0.3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70환씩 더운물로 먹는다.

산사육(山樝肉) 200g, 

맥아(麥芽: 덖은 것) · 신국(神麴: 덖은 것) · 반하(半夏) 각 120g, 

백복령(白茯苓) · 진피(陳皮: 안쪽 면의 흰 부분을 긁어 버린 것) · 내복자(萊菔子) · 연교(連翹) 각 40g. 

 

[《의림촬요(醫林撮要)》]

맥아가 없는 보화환도 있다. 음

식에 체하여 배가 불러오르고 답답하며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는데 쓴다.

비위(脾胃)가 허약한 사람은 먹지 않는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신국(새것) 200g과 생강즙(生薑汁)을 넣어서 쑨 풀에 반죽하여 0.3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30~50환씩 더운물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단계보화환(丹溪保和丸)이라고도 한다.

 

'症狀別 方劑處方 > 소화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膽石症 治療案  (0) 2022.01.03
소화불량으로 인한 체증 - ‘과체산’  (0) 2021.01.11
설사와 복통 - ‘반하사심탕’  (0) 2021.01.11
逆流性食道炎 - 淸熱養胃湯  (0) 2019.02.22
위장병  (0) 2017.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