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약차 - 골담초꽃차
골담초꽃차
•재료 :
말린 골담초꽃
•만드는 방법
① 꽃을 채취해 깨끗하게 손질한 다음 3일 정도 햇볕에 바짝 말린다.
꽃이 활짝 벌어지기 전에 따서 말렸다가 쓰면 약성이 더 높다.
② 찻잔에 말린 꽃 2~3개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1~2분 정도 우려낸다.
•본초학적 특성 :
골담초(骨擔草)는 콩과의 낙엽성 관목이다. 키가 2미터까지 자란다.
달리 금작근(金雀根), 야황기(野黃)라고도 한다.
줄기에 털이 없고, 마디에 가시가 있다.
꽃이 노란색으로 5~6월에 나비 모양으로 핀다.
9월에 원기둥 모양의 협과가 달려 익는다.
꽃잎이 달린 가지와 뿌리를 말려 약재로 쓴다.
맛이 달고, 성질이 약간 차며, 독이 없다.
노랗게 피는 꽃을 따서 쌀가루와 섞어 시루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효능 :
골담초의 뿌리에는 3가지 성질의 사포닌 성분이 들어 있다.
이 성분이 주로 습을 없애고, 진통과 활혈 작용을 한다.
뿌리는 강장과 이뇨, 골절, 타박상, 류머티즘관절염 치료에 쓴다.
꽃은 대하증과 급성 유선염에 쓰면 효과가 있다.
습진에는 뿌리 달인 물로 환부를 닦으면 낫는다.
또 꽃을 따서 술에 담가 6개월 정도 밀봉했다가 하루 3번 마시면 신경통에 신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밖에 통풍과 기침,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다.
꽃향유차
•재료 :
말린 꽃향유와 잎
•만드는 방법
① 채취한 꽃과 줄기, 잎을 그늘에서 바짝 말린 다음 3센티미터 정도 잘게 썰어 밀폐 용기에 담는다.
② 찻잔에 말린 꽃과 잎을 1그램 정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1~2분 정도 우려낸다.
또는 주전자에 적당량을 넣고 푹 끓여 우려낸다.
•본초학적 특성 :
꽃향유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키가 60센티미터까지 자란다.
잎이 마주나고, 줄기에 털이 있다. 꽃 색깔이 분홍빛이 나는 자주색으로 가을에 핀다.
많은 꽃이 빽빽하게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꽃과 줄기를 모두 약재로 쓴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다.
•효능 :
꽃향유의 생약명은 향유(香)다 .약성이 폐경(肺經)과 위경(胃經)에 귀경(歸經)한다.
주로 땀을 나게 하고, 서습(暑濕)을 없애 주는 작용을 한다.
또 위(胃)를 덥혀 주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따라서 여름 감기, 부종, 배가 차가운 증상, 소변불리를 낫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발한(發汗)과 해열(解熱), 위액 분비 촉진, 지혈(止血), 이담(利(膽)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토사곽란(吐瀉亂)으로 배가 아프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경우 향유와 백편두(白扁豆) 같은 양을 물로 달여 마시면 즉효를 볼 수 있다.
광대나물꽃차
•재료 :
봉오리에서 바로 핀 꽃
•만드는 방법
① 꽃봉오리에서 바로 핀 꽃을 채취하여 깨끗한 물로 씻는다.
이것을 그늘에 두고 3일 정도 말렸다가 밀폐 용기에 보관한다.
② 찻잔에 꽃 2~3송이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낸다.
•본초학적 특성 :
광대나물은 꿀풀과의 두해살이풀이다. 키가 60센티미터까지 자란다.
줄기가 연약하고, 사각 기둥 모양이다. 잎의 윗면과 밑면에 털이 나 있다.
3~4월에 꽃이 핀다.
꽃이 연분홍색으로 긴 원형의 투구 모양이다.
생약명이 접골초(接骨草), 연전초, 보개초다.
전초(全草)를 말려서 약재로 쓴다. 맛이 맵고 쓰다.
성질은 평(平)하거나, 따뜻하다.
•효능 :
광대나물에 함유된 성분은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
또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근골동통, 혈액순환 장애, 수족마비, 타박상, 나력()을 치료하는 데 쓰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부러진 뼈에 광대나물 전초 12~20그램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가루 내어 먹으면 빠른 시일에 뼈가 붓는다.
접골초란 이름도 부러진 뼈를 잘 붓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해써 붙여졌다.
'食餌 最强 > 약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약차 - 국우화차 (0) | 2020.12.20 |
---|---|
건강 약차 -회화나무꽃차 (0) | 2020.12.20 |
건강 약차 - 하고초꽃차 (0) | 2020.12.20 |
건강 약차 - 맥문동꽃차 (0) | 2020.12.20 |
건강 약차 - 죽엽차 (0) | 202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