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땅빈대
전국의 하천변이나 고수부지 주변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높이 20~60cm 정도로 자라고, 줄기 한 쪽에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는 약 1~3cm, 폭은 약 0.6~1.2cm이다. 잎 뒷면은 흰 빛을 띤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잎 밑부분은 비대칭을 이룬다.
꽃은 8~9월에 가지 끝에 배상꽃차례로 피며, 총포 속에는 수꽃과 암꽃이 들어 있다. 총포는 원뿔을 거꾸로 한 모양이며 4개의 꿀샘이 있다. 암술대는 3개이며 끝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유사종으로 애기땅빈대가 있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폭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등잔모양꽃차례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고 지름 1.7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평활하고 종자는 사각상 달걀모양이며 길이 1-1.2mm로서 흑갈색이고 옆으로 달린 2-3개의 주름살이 있다.
줄기
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용도
• 땅빈대/애기땅빈대/큰땅빈대의 全草(전초)를 地錦草(지금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flavonoid(quercetin 등), 沒食子酸(몰식자산), myoinositol과 triterpenoids로서 isomotiol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tannin 12.89%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解毒(청열해독), 活血止血(활혈지혈), 利濕(이습), 通乳(통유)의 효능이 있다. 細菌性下痢(세균성하리), 腸炎(장염), 咳嗽時出血(해수시출혈), 血便(혈변), 崩漏(붕루), 外傷出血(외상출혈), 濕熱(습열)에 의한 황달, 乳汁不通(유즙불통), 옹종정창, 타박상에 의한 腫痛(종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6g(生用時(생용시)는 15-30g)을 달여서 마시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粉末(분말)로 하여 살포한다.
유사종
• 땅빈대 :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 애기땅빈대 : 잎과 줄기에 흰 털이 퍼져 나고, 열매는 삭과, 털이 있다.
큰땅빈대는 귀화식물로 서울 한강 고수부지, 충북, 경북, 경남 등에서 분포가 알려져 있고, 최근 들어 분포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주로 온난하고 습기가 충분한 난온대의 남부지방에서 흔하다.
큰땅빈대보다도 잎에 적갈색 무늬가 뚜렷하고, 잎의 크기도 아주 작은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는 전국적으로 아주 흔하게 관찰된다.
애기땅빈대가 그 만큼 더욱 교란된 서식처에서도 잘 산다는 의미다.
큰땅빈대는 약간 서서(直立) 자라지만, 애기땅빈대는 땅바닥에 바짝 엎드려 자란다.
큰땅빈대를 농촌형이라고 한다면, 애기땅빈대는 도시형이다.
큰땅빈대와 애기땅빈대 모두 북미 원산의 신귀화식물종(Neophyten)으로, 그 이름은 최근에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 땅빈대(Euphorbia humifusa)에서 유래한다.
땅빈대란 한글명은 자그마한 잎이 땅에 바싹 붙어 있는 것이 마치 빈대 같다는 의미다.
일본명 오오니시끼소우(大錦草)는 ‘아름다운 비단 같은 풀’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이 두 이름은 모두 중국 한약재 지금(地錦)에 잇닿아 있다.
한글명 땅빈대의 ‘땅(地)’과 일본명의 ‘니시끼(錦)’는 지금(地錦)이라는 한자명에서 한 글자씩 나누어 가졌다.
그런데 지금(地錦)을 우리말로 ‘약진아비’라고 불렀다는
19세기 초의 기록이 있다.
따라서 땅빈대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으로 우리나라와 식물구계를 달리하는 남방 농경문화와 함께 따라 들어온 고귀화식물(Archeophyten)인 셈이다.
땅빈대는 19세기 후반(1890년대) 이후에 늦게 들어온 큰땅빈대와 애기땅빈대의 신귀화식물(Neophyten)에게 삶의 터전을 내주고 있다.
속명 오이포르비아(Euphorbia)는 등대풀속 식물의 유액(latex)을 약으로 사용한 모리타니아(모리타니(Mauritania), 아프리카 북서부에 위치하는 국가) 왕의 의사 유포르보스(euphorbus)에서 유래한다.
종소명 마쿨라타(maculata)는 잎에 반점이 있다(spotted)는 의미의 라틴어로, 기실은 애기땅빈대에는 있지만, 큰땅빈대는 반점이 없거나 아주 드물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