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가시나무
육각형의 잎 끝이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가 있어 마치 호랑이발톱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호랑가시라고 이름지었으며,
나무가 자라면서 차츰 퇴화되어 하나의 가시만 남게 된다
묘아자나무라고도 한다.
해변가 낮은 산의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2∼3m이고 가지가 무성하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윤기가 있고 타원상 육각형이며 각점이 예리한 가시로 되어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5∼6개가 잎겨드랑이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암술은 암술대가 없고 암술머리는 약간 높아져서 4개로 갈라지고 흑색으로 된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10mm이며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4개씩 들어 있고 난형이며 맥문이 있다.
잎은 거풍 ·강장 등에 열매는 자음·강정 등에 사용한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봄에 파종한다.
한국의(전북 변산반도 이남)·중국 남부에 분포한다.
줄기
높이 2~3m이고 밑부분에서 여러 줄기의 가지가 모여 자락 털이 없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두껍우며 윤채가 있으며, 타원상 육각형으로 각점이 가시로 되고 길이가 3.5 ~ 10c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잎자루 길이는 5 ~ 8mm이다.
꽃
꽃은 암수딴그루 또는 잡성주로 4 ~ 5월에 피고 지름 7mm로 향기가 있으며, 우상모양꽃차례는 꽃이 5 ~ 6개씩 달리고 꽃대 길이 5 ~ 6mm로 털이 없다.
암술은 암술대가 없고 암술머리가 약간 높아져서 4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이 8 ~ 10mm로 붉은색이다.
종자는 4개씩 들어 있으며, 달걀형으로 세모가 지며 길이와 폭이 각 6mm × 4mm로 황록색이며, 씨껍질이 두껍고 굳으며 10월 중순 ~ 12월 중순에 성숙한다.
용도
• 강전정에도 잘 견디므로 형상목으로 재배하면 좋다.
• 성탄절 때 장식용으로 쓰고 생울타리용, 독립수, 분물로 이용하여도 관상가치가 높다.
葉은 枸骨葉(구골엽), 根은 枸骨根(구골근), 나무껍질은 枸骨樹皮(구골수피), 과실은 枸骨子(구골자)라 하며 약용한다.
(1) 枸骨葉(구골엽)
① 8-~0월에 채집하여 가는 가지와 잡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Caffeine, saponin, tannin, 苦味質(고미질)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補肝(보간), 補腎(보신), 養氣血(양기혈), 祛風濕(거풍습)의 효능이 있다.
肺 咳嗽(폐로해수), 勞傷出血(노상출혈), 腰膝 藥(요슬위약),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 타박상, 耳鳴(이명), 目眩(목현), 고혈압, 두통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9~15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酒浸劑(주침제), 농축 extract로 하여 사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만들거나 煎液(전액) 또는 膏劑(고제)로 만들어 塗布(도포)한다.
(2) 枸骨根(구골근)
① 연중 채취한다.
② 약효: 補肝補腎(보간보신), 淸風熱(청풍열)의 효능이 있다.
(요슬위약), 關節疼痛(관절동통), 頭風(두풍), 眼赤(안적), 치통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6~15g(신선한 것 15~4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전액으로 씻는다.
(3) 枸骨樹皮(구골수피)
① 성분: Caffeine, saponin, tannin, 苦味質(고미질), 전분이 함유되어 있다.
② 약효: 腰(요), 足(족)을 튼튼하게 하고 補肝補腎(보간보신)의 효능이 있다.
③ 용법/용량: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4) 枸骨子(구골자)
① 겨울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과병과 잡물을 제거한 다음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종자에는 지방유 9.84%가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 alkaloid, saponin, tannin, 苦味質(고미질)이 함유되어 있고 또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의 반응이 있다.
③ 약효: 滋陰(자음), 益精(익정), 活絡(활락)의 효능이 있다.
陰虛身熱(음허신열), 淋濁(임탁), 崩帶(붕대), 筋骨疼痛(근골동통)을 치료하며, 滋養解熱藥(자양해열약)으로 女貞子(여정자)와 같은 효능이 있다.
④ 용법/용량: 4.5~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호랑가시나무는 '홀리 나무'라고 불리며 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나무이기도 합니다.
한 번쯤 크리스마스실이나 카드에 그려진 호랑가시나무의 열매를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자생 지역에서는 일 년 내내 푸르른 호랑가시나무 잎을 볼 수 있지요.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의 잎이 아름다워 실내에 두고 키우기에도 아주 좋습니다.
잎은 뾰족하게 파인 모양으로 만지면 따가우니 조심해야 합니다.
4~5월이 되면 아카시아 향이 나는 앙증맞은 꽃이 피어납니다.
겨울이 되면 붉게 익은 열매가 자연스레 크리스마스트리가 되기도 하지요.
하얀 눈이 소복하게 내려앉은 겨울에도 푸른 잎과 빨간 열매를 선명하게 보이는 호랑가시나무의 모습은 유독 눈에 띄는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열매를 가진 호랑가시나무는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변산반도 도청리의 호랑가시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122호로 지정되어 있지요.
이 지역이 우리 나라에서 호랑가시나무가 살 수 있는 북한계선입니다.
성스러운 호랑가시나무는 '가정의 행복과 평화'라는 아주 따뜻한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말처럼 집안의 평화와 행복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호랑가시나무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겠지요.
호랑가시나무는 고양이의 발톱 같다 하여 '묘아자猫兒刺', 껍질이 개의 뼈다귀를 닮았다 하여 '구골목(狗骨木)'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호랑이가 나뭇잎에 붙은 가시로 등을 긁는다고 하여 '호랑이 등긁이 나무'라고 부르다가 '호랑가시나무'가 되었지요.
호랑이 발톱같이 생겼다 하여 '호랑발톱나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예로부터 음력 2월 날씨는 종잡을 수 없이 변덕스러웠습니다.
사람들은 변덕스러운 날씨가 바람을 다스리는 신(神)인 영등할머니 때문이라고 생각했지요.
영등할머니는 하늘에 살고 있다가 음력 2월이 되면 땅에 내려오는데, 이때 사람들은 나쁜 잡귀들이 영등할머니를 방해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잡귀를 물리치려고 했지요.
우리 나라 변산 지방에서는 영등날, 호랑가시나무 가지에 정어리를 꿰어 처마에 매달아 놓고 나쁜 잡귀를 쫓는 풍습이 있습니다. 정어리의 눈알로 귀신을 노려보게 하여 호랑가시나무의 가시에 눈이 찔린 귀신이 오지 못하도록 한 것이지요.
일본에서도 입춘 전날 호랑가시나무 잎으로 문을 장식하여 도깨비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했답니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가시관도 호랑가시나무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골고다 언덕에서 날카로운 가시에 찔려 피를 흘리고 있는 예수님께 로빈이라고 하는 작은 새가 예수의 머리에 박힌 가시를 뽑아내다가 자신도 가시에 찔려 죽게 되었지요.
이 로빈새가 호랑가시나무 열매를 잘 먹기 때문에 서양 사람들은 열매를 함부로 따면 안 된다고 믿었답니다.
고대 로마에서도 호랑가시나무를 성스럽게 여겼는데, 겨울 동안 문에 장식하여 악령을 쫓는데 사용했지요.
유럽에서도 호랑가시나무를 성스럽게 여겨 이 나무로 장식하면 집안을 보호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또 영국에서는 이 나무로 지팡이를 만들어 짚으면 행운이 찾아와 위험한 일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지요.
호랑가시나무는 흔히 'Holly Tree'라고 부르는데 성스럽다는 뜻의 'Holy'에서 전해진 이름이지요.
영어 이름은 '홀리(Holly)',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호랑가시나무는 '차이니즈 홀리(Chinese Holly)'라고 하며 유럽에 자라는 종류는 '잉글리시 홀리(English Holly)', 미국에서 자라는 것은 '아메리칸 홀리(American Holly)'라니 세계적으로 성스럽게 여기는 나무가 틀림없나 봅니다.
캐럴송이 울려 퍼지고 크리스마스트리의 별 전구가 반짝이는 12월이 되면 우리는 얼마 남지 않은 한 해를 아쉬워한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 신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연말을 상징하는 우리의 문화가 되어버린 지 오래다.
크리스마스트리로 서양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나무 중에 호랑가시나무가 있다.
십자가를 멘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골고다 언덕을 올라갈 때, ‘로빈’이라는 작은 새가 예수의 머리에 박힌 가시를 빼려고 온 힘을 다하여 쪼았다고 전한다.
로빈이 좋아하는 먹이가 바로 서양호랑가시나무 열매라고 알려져 있다.
또 춥고 음침한 겨울에 진초록 잎을 바탕으로 새빨간 열매를 달고 있어서 행운을 가져다주는 나무로 생각하기도 한다.
호랑가시나무는 늘푸른나무이며, 두꺼운 잎을 가지고 있어서 나무를 꺾어 오래 두어도 잘 썩지 않으므로 크리스마스트리를 만들기에 제격이다.
고전적으로 만들어진 크리스마스카드엔 실버 벨과 함께 어김없이 호랑가시나무의 잎이 그려져 있다.
주로 영국 쪽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호랑가시나무가 많이 쓰였다고 한다.
호랑가시나무는 잎 모양이 제멋대로 생겼다.
흔한 나뭇잎 모양으로 생각되기 쉬운 갸름한 잎은 너무 심심하여 싫단다.
그래서 긴 오각형에서 육각형으로 모서리마다 가시가 튀어나와 정말 괴상하게 생긴 잎을 만들었다.
마치 피카소 그림을 보는 듯하기도 하고 유치원에서 아이가 서툰 가위질로 아무렇게나 잘라 놓은 것 같기도 하다.
가죽 같은 두툼한 두께에 단단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발달해 있다.
얼마나 날카로우면 호랑이 발톱에 비유했겠는가.
호랑이가 등이 가려우면 잎에다 문질러 댄다는 뜻에서 호랑가시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그 외에 고양이의 새끼발톱 같다 하여 묘아자(猫兒刺), 회백색의 껍질을 두고 중국에서는 개뼈다귀 나무란 뜻으로 구골목(狗骨木)이라 한다.
모두 괴상한 모습의 잎을 두고 붙인 이름이다.
다만 서양 이름은 ‘홀리(holly)’라 하여 성스럽다는 뜻의 ‘홀리(holy)’와 뜻이 같다.
그러나 이렇게 괴상하게 생긴 잎은 어릴 때만 새로 나온 가지에 달리고 나무가 자라면서 잎 가시는 차츰 퇴화되어 잎 끝의 가시 하나만 남는다.
무슨 이유로 어린 시절에는 가시가 달린 이런 잎을 만들게 되었을까?
이는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는 초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아무리 튼튼한 입과 이빨을 가졌더라도 이 어마어마한 잎 가시를 무시하고 먹어치울 수 있는 동물은 없기 때문이다.
호랑가시나무는 넓은잎을 가진 늘푸른 작은 나무로, 자연 상태로는 제주도와 전남북 서쪽 해안지대에서 드물게 자랄 뿐이다.
암수 딴 나무이며 늦봄 잎겨드랑이에 5~6개의 황록색 작은 꽃이 핀다.
굵은 콩알 크기만 한 동그란 열매가 가을이면 빨갛게 익어 다음해 봄까지도 가지에 달려 있는 모양이 아름다워 흔히 정원수나 분재로 심는다.
그러나 가시 같지도 않은 잎 가시에 몇 번 호되게 당하고 나면 사람들은 홧김에 나무를 통째로 잘라내 버린다
나라마다 호랑가시나무에 얽힌 이야기가 많다.
일본에서는 음력 2월 4일 호랑가시나무 가지에 정어리를 같이 묶어 문 앞에 매달아 놓으면 어린애를 괴롭히는 여러 가지 역병을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유럽 사람들은 악마들이 호랑가시나무를 무서워하여 집 주변이나 마구간에 걸어두면 사람이나 가축 모두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영국에서는 지팡이를 만들어 짚고 다니면 행운을 가져와서 위험한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독일인들은 면류관을 짜는데 호랑가시나무를 썼다고 한다.
중국인들은 주술적인 의미가 아니라 약재로 이용했다.
껍질과 잎이 달린 가지로 즙을 만들어 마시면 강장제로서 특히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겼다.
우리나라는 자라는 지역이 남쪽 일부이고 험상궂은 잎 가시 탓인지 쓰임이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다.
호랑가시나무 외에 감탕나무, 먼나무, 꽝꽝나무, 대팻집나무, 일본에서 가져온 낙상홍까지 호랑가시나무 식구들을 여기저기에서 흔히 심고 있다.
대부분 아름다운 붉은 열매를 자랑하는 늘푸른나무이며 남부지방에서만 자랄 수 있으나, 대팻집나무만은 갈잎나무로서 중부지방에서도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