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巨樹 保護樹 記念物/老巨樹 保護樹 植物

용수동 당산 느티나무

초암 정만순 2019. 4. 2. 19:16



용수동 당산 느티나무


◆ 답사일 : 2019. 4. 2 (맑음)

◆ 답사자 : 초암






▩지정종별 : 대구 민속자료 제4호 (1995. 5. 12 지정)
▩소재지 : 대구 동구 용수동 420


당산(堂山)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놓은 신당. ‘성황당(城隍堂)’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神木)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속신이 있다.

서낭당은 서낭신을 모신 신역으로서 신앙의 장소이다. 이곳을 내왕하는 사람들은 돌·나무·오색 천 등 무엇이든지 놓고 지나다녔다.

물론, 그곳의 물건을 함부로 파거나 헐지 않는 금기가 지켜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서낭이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또는 석전(石戰)에 대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도 있으나, 민간에서의 서낭은 종교적 의미가 농후하다.

우리 나라에 서낭신앙이 전래된 것은 고려 문종 때 신성진(新城鎭)에 성황사(城隍祠)를 둔 것이 서낭의 시초라 한다.

그 뒤 고려에서는 각 주부현(州府縣)마다 서낭을 두고 이를 극진히 위하였는데, 특히 전주서낭이 유명하였다.

고려 고종은 침입한 몽고병을 물리치게 된 것이 서낭신의 도움 때문이라 하여 서낭신에게 신호를 가봉하였던 일도 있었다.

수호신으로서의 서낭은 조선시대도 널리 신앙되었다.

조선시대의 서낭은 국행(國行)서낭과 민간에서의 서낭으로 나누어진다. 국행서낭은 호국(護國)이라는 두 글자를 붙였다.

이성계(李成桂)는 즉위 후 여러 산천의 서낭을 제사하였으며, 태종은 백악(白岳)서낭과 송악(松岳)서낭을 신도(新都)서낭으로 모셨다.

그 밖의 조선시대의 이름난 서낭으로는 해주·괴산·현풍·양산·신성(新城)·밀양·전주·고성서낭 등이 있었다.

이러한 서낭에서는 정기적인 제사뿐만 아니라, 국난이나 가뭄이 있을 때 서낭제를 거행하여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하려 하였다.

서낭당의 형태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서낭나무에 잡석을 난적(亂積)한 누석단이 있고, 이 신수에 백지나 청·홍·백·황·녹색 등의 오색 비단 헝겊을 잡아맨 형태,

② 잡석을 난적한 누석단 형태,

③ 서낭나무에 백지나 5색 비단 헝겊 조각을 잡아맨 형태,

 ④ 서낭나무와 당집이 함께 있는 형태,

⑤ 입석(立石) 형태 등이다.


이 다섯 가지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이 ①의 형태이며,

②의 형태는 ① 형태의 서낭나무가 퇴화되거나 길 옆에 누석단이 먼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③의 형태는 수목신앙(樹木信仰)에 후기적으로 서낭나무에 오색 비단 헝겊을 잡아매는 헌남속(獻納俗)이 복합되거나 또는 처음부터 서낭당의 신수 헌납속만 강조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신수에 당집이 복합된 ④의 형태는 중부 내륙 산간지역과 태백산백 동쪽의 영동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⑤의 형태는 높이 120∼200㎝ 안팎, 폭 90∼120㎝ 가량의 자연석을 세워놓고 ‘수구매기(水口막이)’·‘돌서낭’·‘선돌’ 등으로 부르는데, 이것은 중부, 남부 지역에서 간간이 발견된다.



대구 용수동당산(龍水洞堂山)

 

시도민속자료 제4호 용수동당산(龍水洞堂山) 1995. 5.12 지정 

대구 동구 용수동 420


용수마을 중앙에 위치한다.


용수동(龍水洞)은  마을 입구 당나무옆 개울에 용소(龍沼)가 있어 그곳에 용(龍)이 살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용수(龍水)마을은 팔공산(八公山) 동화사(桐華寺)로 가는 백안삼거리 가기 직전 좌측으로 꺾어 들어가면 동화천과 평행되게


나아가는 소로가 나타나는데 이 안 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다.


현재 80여 가구 각성이 사는 촌락(各姓村落)이다.


옛날 배씨(裵氏)와 구씨(具氏)가 이곳에 처음 들어와서 살면서 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제사(祭祀)를 지내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이 당시 만들어졌다고 하나 정확한 조성 시기는 알 길이 없다.


현재는 아름드리나무(당나무)들 사이에 어른 머리 크기 정도의 냇돌을 둥글게 쌓아 올려 박을 덮어 놓은 듯한 모양의 조산(造山)


을 만든 뒤 그 위에 막대석을 올려 둔 형태를 지니고 있다.


당굿은 30여 년 전까지 음력 정월 보름날 새벽에 행하였으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진행될 무렵부터 없어졌다고 하나


지금까지 치성을 드리는 기능은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당굿을 지냈을 때 제관(祭官)의 선출방법은 섣달 그믐날 당(堂)에서 당굿(農樂)을 쳐서 당신(堂神)의 대내림을 받아 신대가


가는대로 따라가서 멈추는 집의 호주가 제관(祭官)이 되었으며, 제관(祭官)은 1명이고 제수(祭需)는 마을 공동부담으로


마련하며, 제관(祭官)은 제사(祭祀)를 지내는 날 마을앞 개울에서 목욕재계하고 혼자서 제사(祭祀)를 올렸다 한다.


이곳 남동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은 야트막한 구릉 일대가 용수동고분군이다.




 사진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