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 香氣/한시 한마당

한산시(寒山詩)

초암 정만순 2017. 5. 19. 10:53



한산시(寒山詩)



凡讀我詩者(범독아시자) : 무릇 내 시를 읽는 분들이여

心中須護淨(심중수호정) : 모름지기 마음속을 깨끗이 하시라.

慳貪繼日廉(간탐계일렴) : 탐욕은 날마다 청렴해지고

諂曲登時正(첨곡등시정) : 아첨과 사악함은 때를 좇아 바르게 되리라

驅遣除惡業(구견제악업) : 휘몰아 모든 악한 업(業)을 없애고

歸依受眞性(귀의수진성) : 부처님께 귀의하여 진성(眞性)을 받아라

今日得佛身(금일득불신) : 오늘 이 세상에서 부처 몸 얻기를

急急如律令(급급여율령) : 빨리 서두르고 꾸물대지 마시오.

 

 

 

한산시집(寒山詩集)


 

  당나라 태종시대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전설적인 인물인 한산(寒山)과 습득(拾得)은 은사였던 풍간(豊干) 선사와 함께 절강성에 있는 천태산(天台山) 국청사(國淸寺)에 살고 있었다.

  세상에서는 이들을 국청사에 숨어 사는 세 사람의 성자라는 뜻으로 국청삼은(國淸三隱)이라고 했으며 이들의 시를 한데 모은 『한산시집(寒山詩集)』을 ‘삼은시집(三隱詩集)’이라고도 했다.

 

  이들 세 사람은 모두 불보살의 화현으로 즉, 풍간 스님은 아미타불, 한산은 문수보살,   습득은 보현보살의 화현이라고 일컬어진다.

  그러나 당시의 사람들은 그것을 모른 채 그들의 독특하고 기이한 언행을 이해하지 못하였으므로   오히려 멸시하고 천대하기 일쑤였다.


한산(寒山)은 국청사에서 좀 떨어진 곳에 있는 한암(寒巖)이라는 굴속에 산다 하여   그렇게 불리었다.

 한산은 헤어진 옷에 커다란 나막신을 신고 다녔으며 때가 되면 국청사에 들러 대중들이   먹다 남긴 밥이나 나물 따위를 습득에게 얻어먹곤 하였다.

  그리고 절에 와서 거닐기도 하고 때로는 소리를 지르거나 하늘을 쳐다보고 욕을 하기도 하면   절의 스님들은 그런 그를 쫓아내곤 하였는데, 그러면 한산은 손뼉을 치고 큰 소리로 웃으며   가버리곤 하였다.

  이렇게 큰소리를 지르고 미친 짓을 하기도 하고 이적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그 말은 모두 불도(佛道)의 이치에 맞지 않는 바가 없다 하였다.


 습득(拾得)은 풍간(豊干)스님이 산 속을 거닐다가 길옆에서 보자기에 싸여 울고 있는 것을   주어와 길렀으므로 습득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는 부엌에서 불을 지피거나 그릇을 씻는 일을 하였는데 설거지를 한 뒤에 남은 밥이나   찌꺼기를 모아두었다가 한산(寒山)이 오면 먹도록 내어 주곤 하였다.

 

   하루는 습득이 마당을 쓸고 있었는데, 주지스님이 다가와    “너를 습득이라고 부르는 것은 풍간 스님이 너를 주워와 길렀기 때문이다.      그럼 너의 본래 姓 은 무엇이며 어디서 살았느냐?” 라고 묻자

   이 말을 들은 습득은 들고 있던 빗자루를 놓고 두 손을 맞잡고 우뚝 서 있는 것이었다.

   이를 바라본 주지스님은 넋을 잃고 바라볼 뿐 더 이상 아무 말도 못 붙이고 말았다.

   이로 인해 선문에서는 ‘차수이립(叉手而立)’이라는 화제가 생겨나게 되었다.


   일찍이 여구윤(呂丘胤)이 고을의 자사(刺史)로 부임해 왔는데 병에 걸려 앓게 되었다.

   유명한 의사들을 불러 온갖 약을 다 써보았으나 무슨 병인지 알지도 못하고 차도도 없었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풍간 스님이 자사를 만나기를 청하자 자사는 자신의 병세를 말하는 것   이었다.

   풍간 스님은 그의 말을 듣고 깨끗한 그릇에 물을 받아 주문을 외우면서 그에게 뿌리자    언제 앓았더냐 싶게 자리를 털고 일어나 앉는 것이었다.

   자사가 크게 사례하고 설법하기를 간청하자 풍간 스님은 사양하며    “나 보다 문수 보현께 물어보시오.”라는 것이었다.

    자사 여구윤이 다시 “그 두 보살은 어디에 계십니까?” 라고 묻자 풍간 스님은    “국청사에서 불때주고 그릇 씻는 사람들이 그들입니다.” 라고 답하고는 유유히 사라져 버렸다.

   자사는 곧 예물을 갖추고 국청사의 한산 습득을 찾아갔다.

 

   마침 한산과 습득은 화로를 끼고 앉아 웃고 떠들고 있었는데,    자사 여구윤이 가까이 다가가서 절을 올리자 무턱대고 마구 꾸짖는 것이었다.

   옆에서 이러한 모습을 지켜본 스님들은 깜짝 놀라며    “대관께서 어찌하여 이 미치광이들에게 절을 하십니까?” 라고 말하자

   한산이 다시 자사 여구윤의 손을 잡고 웃으며,    “풍간이 실없는 소리를 지껄였군. 풍간이 아미타불인줄 모르고 우릴 찾으면 뭘 하나!” 라는 말을    남기고 문을 나선 뒤로는 다시 절에 돌아오는 일이 없었다.

 

   자사 여구윤 은 못내 아쉬워하며 약과 옷 등의 예물을 갖추고 한암 동굴로 다시 찾아가    예배 올리고 말씀을 기다리는데 “도적놈아! 도적놈아!” 라는 말만 남기고    한산 습득은 굴속으로 들어가 버리니 돌문이 저절로 닫히는 것이었다.

    이윽고 “그대들에게 이르노니 각기 노력하라!”라는 말이 울리고는 돌문이 완전히 닫혀 버렸다.


   자사 여구윤은 성자를 친견하고도 좋은 법문을 더 듣지 못한 것을 섭섭하게 여기며,    숲 속의 나뭇잎이나 석벽과 돌 틈 사이에, 혹은 촌락의 벽 등지에 써 놓은 한산의 시(詩)    삼백여 수를 모아 책으로 편집하였다.

   이 시집을 삼은집(三隱集)이라고 하며,<한산시(寒山詩)>라는 제목으로 전하여 오고 있다.


   중국에는 현재에도 한산스님을 기리는 한산사로 불리는 사찰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고려시대의 사찰로 전남 화순군 동복면 신율리 949에 폐사지인    한산사지(漢山寺址)가있으며, 1984년 2월에 전남문화재자료 제63호로 지정된 한산사지

   삼층석탑이 현존하고 있으며, 또한 전북 고창 선운사의 영산전에는 산신 탱화와 함께    한산습득도(寒山拾得圖) 한 폭이 걸려 있다.

 


 

    欲得安身處[욕득안신처] 마음이 평안한 곳을 찾으려면

    寒山可長保[한산가장보] 한산이 오래 머물기에 좋다네.

    微風吹幽松[미풍취유송] 미풍이 그윽한 소나무에 불면

    近聽聲愈好[근청성유호] 가까이 듣는 소리는 더욱 좋지.

    下有斑白人[하유반백인] 나무 아래에 머리 반백의 사람

    喃喃讀黃老[남남독황노] 흥얼흥얼 황제와 노자를 읽네.

    十年歸不得[십년귀불득] 십년동안 돌아가지 못했으니

    忘却來時道[망각래시도] 올 때의 그 길을 잊어 버렸네.




 

    有一餐霞子(유일찬하자) 노을 마시며 사는 한 사람이 있어      

    其居諱俗遊(기거휘속유) 그 사는 곳에서 세상 놀음 멀리 했다네

    論時實蕭爽(논시실소상) 그의 계절 이야기는 정말 시원하여

    在夏亦如秋(재하역여추) 한 여름에 있어도 가을 같다네

    幽澖常瀝瀝(유한상력력) 그윽한 시내에는 물 흐르는 소리

    高松風颼颼(고송풍수수) 높은 소나무에는 바람소리 들려오네

    其中半日坐(기중반일좌) 그 속에 반나절만 앉아 있으면

    忘却百年愁(망각백년수) 바로 백년의 시름을 잊을 수 있네.



 

 


    寒巖深更好(한암심경호) 쌀쌀한 언덕, 깊어서 더욱 좋은데

    無人行此道(무인행차도) 이 길을 다니는 사람은 없구나

    白雲高岫閑(백운고수한) 흰 구름은 높은 산꼭대기에 한가롭고

    靑嶂孤猿嘯(청장고원소) 푸른 산 봉우리엔 외로운 잔나비 우네

    我更何所親(아갱하소친) 내 다시 무엇과 친하리

    暢志自宜老(창지자의노) 뜻을 펴며 스스로 늙어 가리라

    形容寒暑遷(형용한서천) 우리의 얼굴은 철따라 변해 가나니

    心珠甚可保(심주기가보) 부디 마음을 잘 보존해야 한다




 

 

    寒山棲隱處(한산서은처) : 한산이 터잡고 사는 은거지

    絶得雜人過(절득잡인과) : 이런저런 사람들 찾아오지 않네

    時逢林內鳥(시봉임내조) : 때때로 숲에 들어 새를 만나면

    相共唱山歌(상공창산가) : 함께 산노래 부르네

    瑞草聯谿谷(서초연계곡) : 희귀한 풀 계곡에 이어지고

    老松枕嵯峨(노송침차아) : 노송은 우뚝 솟은 산봉우리 베고 있네

    可觀無事客(가관무사객) : 한가한 나그네 구경할 만하니

    憩歇在巖阿(게헐재암아) : 바위 언덕에서 한가로이 쉬네.




 

 

    登陟寒山道(등척한산도) : 한산을 높이 오르려 해도

    寒山路不窮(한산로불궁) : 한산 가는 길은 끝이 없네

    溪長石磊磊(계장석뢰뢰) : 돌 천지 긴 시내

    澗闊草濛濛(간활초몽몽) : 풀 우거진 넓은 개울

    苔滑非關雨(태활비관우) : 이끼 미끄러운들 비 탓이랴

    松鳴不假風(송명불가풍) : 바람 없이도 솔 소리는 이는 것

    誰能超世累(수능초세루) : 뉘라서 이 세상 번거로움 떠나

    共坐白雲中(공좌백운중) : 흰 구름 그 속에 나와 함께 놀랴




 

 

    茅棟野人居(모동야인거) 초가집은 야인의 거처인지라

    門前車馬疎(문전거마소) 문전에는 수레와 말이 드물다

    林幽偏聚鳥(임유편취조) 수풀이 깊어서 새들만 모이고

    谿闊本藏魚(계활본장어) 골짝은 넓어서 물고길 감추네

    山果携兒摘(산과휴아적) 산과일은 아이와 손잡고 따고

    皐田共婦鋤(고전공부서) 언덕의 밭은 아내와 김매네

    家中何所有(가중하소유) 집 안에 무엇이 있는고 하면

    唯有一牀書(유유일상서) 오직 책상에 책이 있을 뿐이라




 

 

    家住綠巖下[가주록암하] 푸른 바위 아래 내 집이 있지

    庭蕪更不芟[정무갱불삼] 뜰 잡초 무성해도 베지도 않네.

    新藤垂繚繞[신등수료요] 새 등넝쿨 칭칭 돌아 늘어지고

    古石竪巉嵒[고석수참암] 묵은 돌이 우뚝한 바위 세웠네.

    山果獼猴摘[산과미후적] 산과일은 원숭이가 따서 먹고

    池魚白鷺銜[지어백로함] 연못 물고기는 백로가 물었네.

    僊書一兩卷[선서일양권] 신선이 읽는 책 한 두 권 집어들고

    樹下讀喃喃[수하독남남] 나무 밑에서 중얼대며 읽노라.




 

 

    杳杳寒山道(묘묘한산도) 머나먼 한산 길,

    落落冷澗濱(락락냉간빈) 차가운 산 개울 물 콸콸 떨어지고

    啾啾常有鳥(추추상유조) 지지배배 새들 늘 머물고 있어도,

    寂寂更無人(적적갱무인) 천지가 조용히 인적도 없는 듯.

    淅淅風吹面(석석풍취면) 싸아 싸아 바람이 얼굴을 스치고,

    紛紛雪積身(분분설적신) 어지러이 흩날리는 눈이 내 몸을 덮어도,

    朝朝不見日(조조불견일) 아침 마다 뜨는 해 보이지 않고,

    歲歲不知春(세세부지춘) 흐르는 세월 봄이 오는지도 모르네




 

 

    人問寒山道(인문한산도) 한산으로 가는 길 묻지만

    寒山路不通(한산로불통) 한산으로 통하는 길 없다네.

    夏天氷未釋(하천빙미석) 한여름에도 얼음 녹지 않고

    日出霧朦朧(일출무몽롱) 해 떠올라도 안개 몽롱하다네.

    似我何由屆(사아하유계) 나 같으면 어찌 갈 수 있지만

    與君心不同(여군심불동) 그대의 마음과는 같지 않다네

    君心若似我(군심약사아) 그대 마음 내 마음과 같다면

    還得到其中(환득도기중) 어느덧 그곳에 이르리라!




 

 

    千雲萬水間(천운만수간) 자욱한 구름과 골짝 물

    中有一閑士(중유일한사) 그곳에 한가로운 선비 있으니

    白日遊靑山(백일유청산) 낮에는 청산에 노닐고

    夜歸巖下睡(야귀암하수) 밤들어 바위 아래 잠들면

    倏爾過春秋(숙이과춘추) 세월은 살같이 흘러가고

    寂然無塵累(적연무진루) 세상 먼지 들붙지 않는다

    快哉何所依(쾌재하소의) 쾌재라 어찌 기댈 바를 찾으랴

    靜若秋江水(정약추강수) 고요한 마음 가을 강물 같네.




 

 

    盤陀石上坐(반타석상좌) : 비탈진 너럭바위 위에 혼자 앉아서

    谿澗冷凄凄(계간냉처처) : 계곡의 물소리 차갑게 들리고

    靜玩偏嘉麗(정완편가려) : 말없이 아름다움 감상하는데

    虛巖蒙霧迷(허암몽무미) : 바위 산 중턱엔 안개구름 헤매네.

    怡然憩歇處(이연게헐처) : 흔연히 앉아 편히 쉬나니

    日斜樹影低(일사수영저) : 나무 그림자 해 따라 낮아지네.

    我自觀心地(아자관심지) : 내 스스로 마음을 보나니

    蓮花出於泥(연화출어니) : 진흙탕 속에서 연꽃 한 송이 피어나네.


          - 그림 : 소치 허련,  천태첩, 한산자 시의도(天台帖, 寒山子詩意圖)




<방석도산수도(倣石濤山水圖)>

 

 

                小痴此畵固佳, 同收於臨摹石濤卷, 全不相稱,

                以其不斷畵家 從橫習氣耳, 使之剔出別置他卷, 仍題示如此.

 

   소치(小痴) 허유(許維)의 이 그림은 뛰어난 가작으로 중국 청(淸)나라 초기의 화승(畵僧)인

   석도(石濤)의 작품을 임모하였다.

   그런데 석도(石濤)의 화풍을 닮지 않은 것은 소치(小痴)가 부단히 습기를 익혔기 때문이다.

   이 그림을 떼어내어 다른 서첩에 옮기면서 이와 같이 제발(題跋)을 쓴다. - 추사가 제발을 씀.



<소림모정(疏林茅亭) >

 

 

                 以徑之奇怪論 則畵不如山水 以筆墨之精妙論 則山水決不如畵

                     그림 속 지름길이 기이하게 묘사된 것으로 논하면 그림이 경치만 못하고

                     필묵의 정묘함으로 논하면 산수가 그림만 못하다

            東坡有詩曰 論畵以形似 見與童兒隣 作詩必此詩 定非知詩人

              동파가 시를 말함에 “그림을 형사로 논하는 것은, 견해가 어린이 수준에 가깝다.

              시를 지을 때 이것으로 쓴다면, 그는 진정 시를 모르는 사람이리라.”하였다.


<산수도(山水圖)>

 

 

               披襟澹對漸睡處  가슴을 열고 조용히 희미한 석양을 마주하니

               政是詩翁得意時  바로 시 짓는 늙은이가 득의(得意)한 때로다.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寒雲結重陰  차가운 구름은 겹겹이 음기를 맺고

                  密雪下盈尺  조밀한 눈은 한자 남짓 내렸다

                  羣峰失蒼翠  뭇 산들은 푸른빛을 잃고

                  萬樹花俱白  나무들은 흰 꽃을 덮었다 

                  幽居深磵曲  외딴 집 산골 깊은 곳에 있어

                  門逕斷行跡  문 앞길엔 발자국이 끊겼다

                  伊誰能遠尋  누가 멀리서 찾아 오는가

                  應是探梅客  매화 찾아 나선 객이리라.



<산수도(山水圖)>

 

 

                   江樹青紅江草黄  강가의 나무는 알록달록 강가의 풀은 누렇고,

                   好山不斷楚天長  산들은 끊이지 않고 고향 하늘은 멀기만 하다.

                   雲中樓觀無人住  구름 속 누대에는 머무는 사람이 없고,

                   只有秋聲送夕陽  다만 가을 소리만이 석양에 전해온다.

                                 小癡 소치



<공강어가도(空江魚歌圖)>

 

 

                      空江漠漠漁歌度  텅빈 강 쓸쓸한데 들려오는 어부의 노래,

                      一片疏林帶夕曛  한 조각 성긴 숲엔 어슴프레 황혼이 깃드네.



산수도(山水圖)

 

 

        邨居本是葛天民(촌거본시갈천민) ; 시골에 살면 원래 순수한 갈천씨의 백성이지

        但道山靑便是春(단도산청편시춘) ; 산 푸르면 봄이라는 것만 알뿐이라네.

        兩岸桃花一溪水(양안도화일계수) ; 양 기슭 복사꽃 한 갈래 시내인데

        此中老却打魚人(차중노각타어인) ; 노인은 고기 잡는 이를 다그치네. 



산수도(山水圖)

 

 

             小葺茆茨紫翠間(소즙묘자자취간) ; 붉고 푸른 사이 작은 초당을 이었으니

             今年偸得半年閒(금년투득반년한) ; 올해 틈을 내어 반년 한가로움 얻었네.

             門前落木須霜曉(문전낙목수로효) ; 문 앞 낙엽은 새벽 서리 탓이려니

             臥看西南一角山(와간서남일각산) ; 누어서, 서남쪽 일각산을 바라보네. 

 

 


<모란도(牡丹圖)>

 

 


                      昔年我是洛陽客 지난해 나는 낙양의 나그네가 되어

                      看盡繁華寫牧丹 활짝 핀 꽃을 보고 모란을 그렸다.

                      泓碧波 慧賞 小癡居士

                      泓碧波(벽파선사) 선생께. 소치거사 허련.

 

 


<오백장군암(五百將軍巖)>

 

 

   巨靈何代劈靑山(거영하대벽청산) 하늘의 신령이 어느 때 푸른 산을 쪼개

   撐柱東南天地間(탱주동남천지간) 동남쪽 하늘과 땅 사이를 지탱하게 하였나?

   石將森羅仙洞肅(석장삼라선동숙) 바위 장군 늘어서고 신선의 골짜기 엄숙한데

   半天神鏤各呈顔(반천신누각정안) 하늘 가운데 신기하게 아로새겨 제각기 얼굴이 드러났네.


 오백장군암은 한라산 정상 백록담 서남쪽에서 정상 쪽으로 난 390여 미터의 계곡에

 2천여 개의 기암이 모여 장관을 이룬 곳이다.

 제주도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열 곳(영주십경瀛州十景) 가운데 하나인 오백장군암은

 영실기암靈室奇巖 또는 오백나한이라고도 불린다.

 사람 모습을 연상시키는 기묘한 바위들이 수없이 서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제주도에 가기가 아주 어려웠다. 관리나 귀양 가는 죄수들만 배를 타고

 오갔을 뿐이다. 그렇게 먼 제주도를 허련이 그림으로 그린 것은 스승 김정희가

 당시 제주도 대정에서 귀양살이를 했기 때문이다.

 허련은 1841년과 1843년에 제주도에 가서 김정희를 만났다고 하는데,

 <오백장군암>도 그 무렵에 그려졌다.


 

<산수도>

 

 

          看山終日倚高樓  높은 누대에 기대어 하루 종일 산을 바라보고 있는데

              晩渡何人更喚舟  석양 무렵에 건너려고 어떤 사람이 다시 배를 부르네.

 

 


<산수도>

 

 

           看山終日倚高樓  높은 누대에 기대어 하루 종일 산을 바라보고 있는데

               晩渡何人更喚舟  석양 무렵에 건너려고 어떤 사람이 다시 배를 부르네.

 


 

<산수인물도>

 

 

                         白雲回望合 (백운회망합)  흰구름 돌아보면 합쳐지고

                         靑霧入看無 (청무입간무)  푸른 이내, 들어가 보면 없어지누나.

                                 乙酉秋八耋  小癡 寫 을유년 가을 팔십 늙은이 소치 그림.


]

 

                         <王維의 시 終南山 >

                      太乙近天都 태을산은 수도 장안과 가깝고

                      連山接海隅 이어진 산들이 바닷가에 접해있네

                      白雲回望合 흰구름 돌아보면 합쳐지고

                      靑靄入看無 푸른 이내, 들어가 보면 없어지누나.

                      分野中峰變 들녘의 경계는 가운데 봉우리 따라 변하고

                      陰晴衆壑殊 흐리고 개임은 골짜기마다 다르구나.

                      欲投人處宿 사람 사는 곳에 하룻밤 묵고 싶어

                      隔水問樵夫 물 건너 나무꾼에게 물어보네.



<산수도(山水圖)>

 

 

            陳后山詩云,

            晚知書畫有得 却悔歲月來無多

            진후산(송대 시인)의 시에 말하길

           “만년에 서화를 알아 참으로 얻은 바가 있다면

             도리어 다가올 세월이 많지 않음을 후회한다는 것이다.” 하였다.

 

 



<산수도(山水圖)>

 

 

          王右丞有詩云, 宿世謬詞客 前身應畵師.

          왕우승(唐 시인)의 시에 말하길 “宿世의 인연으로 시인이 되었지만,

           전생은 틀림없이 화가로 살았을 것”이라고 하였다.

           甲戌夏日, 雲林閣中, 小痴老人作. 甲戌(1874년)여름, 운림각에서 소치노인이 쓰다.



<설옹관(雪擁關)>

 

 

                    葛士走馬漢橋上  갈사는 말을 타고 계곡 다리 위를 건너는데, 

                    前路蒼芒雪擁關  앞길엔 눈 덮인 옹관이 아득하구나



 

<산수도(山水圖)>

 

       畵山水之法 洵可以意會 不可以言傳. 用墨先後 渲染濃淡 配合遠近諸法 得之心應之手.

       所謂咫尺應 想論萬里者 其爲臥遊 不亦遠乎.

       산수(山水)를 그리는 법은 참으로 그 마음이 한곳에 모아져야 하니

       말로 전할 수는 없는 것이다.

       먹을 먼저 쓰고 뒤에 쓰든가, 색채의 농담(濃淡)을 처리하든가,

       거리의 원근(遠近)을 맞추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은 마음으로 터득하고

       손으로 따르는 것이다.

       지척(咫尺)의 거리라 하더라도 반드시 만리(萬里)밖을 상논(想論)해야 하는 것이니

       그것을 누워서 유람(遊覽)하자니 또한 멀리 보이지 않겠는가? 




'古典 香氣 > 한시 한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야(月夜)   (0) 2017.08.04
賞秋(상추)   (0) 2017.08.04
桃源行(도원행)-王維(왕유)  (0) 2017.02.04
庭花(정화)   (0) 2017.02.04
推句(추구)  (0) 2017.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