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耳鳴)과 이롱(耳聾)의 치료(治療)
후경부(後頸部) 근육강경(筋肉僵硬) 또는 경추(頸椎)의 반탈위(半脫位) 문제(問題) 때문에도 이명과 이롱이 발생되는데 후경부(後頸部) 근육을 이완시켜 주고 경추(頸椎)를 정상위치로 복원시켜 줄 경우 치료효과가 높아진다. 진(晉) 나라 이전(以前)에 저술된 의적(醫籍) 중에 이명(耳鳴)과 이롱(耳聾)이 독립적(獨立的) 병증(病症)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명(耳鳴)은 경증병이며 이롱(耳聾)은 중증병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청(隋) 나라 때 이후(以後)의 의가(醫家)에서는 이명과 이롱을 일종(一種)의 병증(病症)이라고 수록되어 있다.
현재 한의학에서는 이명(耳鳴)과 이롱(耳聾)은 장부(臟腑)의 공능(功能)이 실조(失調)되므로 인하여 반영(反映)되는 일종의 병증이라고 설명하며 한약과 침구(針灸)와 안마(按摩)와 음식조양(飲食調養) 등 방법(方法)을 사용하여 청력(聽力)을 개선(改善)시킴을 목적으로 치료하고 있다.
한의학에서 인경약(引經藥)의 작용(作用)을 강조하는데 인경약(引經藥)은 치료약물들을 끌고 치료하려고 하는 지방으로 데리고 들어가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귀(耳)의 질병(疾病) 치료(治療)에 있어서 이명(耳鳴)과 이롱(耳聾)과 중이염(中耳炎) 등을 불문하고 임상(臨床)에서 석창포(石菖蒲 : 九節菖蒲)는 가장 중요한 인경약(引經藥)으로 사용하고 있다. 석창포(石菖蒲 : 九節菖蒲)는 통규(通竅) 작용이 있으며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높혀준다.
침자수법(針刺手法) :
두부(頭部)의 주요혈위(主要穴位)는 신정혈(神庭穴)인데 만약 좌측 이명(耳鳴)일 경우 신정혈(神庭穴)의 좌측으로 0.5 촌처(寸處)에 일침(一針)을 놓고 우측 이명(耳鳴)일 경우엔 신정혈(神庭穴)의 우측으로 0.5 촌처(寸處)에 일침(一針)을 놓는다.
그 다음 백회혈(百會穴)과 솔곡혈(率谷穴), 풍지(風池)、예풍(翳風)、청회(聽會) 등이다.
치료효과를 높히기 위하여 풍지(風池)와 예풍(翳風)과 청회(聽會)의 3혈(三穴)에 한 시간 동안 유침(留針)해 둔다.
이명(耳鳴) 환자(患者)들에게 경추정복(頸椎整復)과 더불어 침자요법(針刺療法)을 실행할 경우 한약을 복용하는 것 보다 치료효과가 신속하다.
'病症別 鍼處方 > 오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안신경마비(动眼神经麻痹) (0) | 2016.09.21 |
---|---|
비염, 비두염 (0) | 2016.09.21 |
평형침임상 - 상완신경총신경염, 상비염 (0) | 2016.09.19 |
이명(耳鳴). 이롱(耳聾) (0) | 2016.09.18 |
가성연수마(假性延髓麻痹) (0) | 2016.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