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灸處方/오관계

알레르기 비염

초암 정만순 2016. 9. 13. 10:06


알레르기 비염


배유혈(背兪穴) 생강 뜸으로 알레르기 비염 치료 60례

1 임상자료
  60례 중,남 24례,여 36례;최소 연령7세,최대 연령60세;병정(病程) 최단 6개월, 최장 20여년. 이비인후과에서 확진, 치료 후에 방문.

2 치료방법
  취혈: 폐유(肺兪), 비허(脾虛)에 비유(脾兪)를 가하고, 신허(腎虛)에 신유(腎兪)를 가한다.
신선한 생강을 편으로 만들고, 직경 대략 2-3cm, 두께 약 2-3㎜, 중간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어, 생강편 위에 애주를 놓고 시구(施灸)한다. 매혈 뜸 3장하여 피부는 붉은 색이지만 수포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하고, 매일 1회, 10회를 1요정으로, 요정 간에는 2-3일을 쉬고, 다음 요정을 시작한다. 뜸 3개 요정, 효과를 관찰한 다음 매월 뜸 1회, 1년 동안 실시하여 효과를 공고히 한다.

3 효과관찰
3개 요정(療程) 치료 후, 임상 치유(증상 소실, 2년 관찰을 경과하여 재발하지 않음) 22례, 36.7%; 현저한 효과(증상은 현저히 감소, 발작 회수 현저히 감소, 2년 관찰 효과 유지) 21례, 35%; 유효 12례(증상 감소, 그러나 기타 약물 치료 배합), 20%; 무효 5례(3개 요정 치료를 경과하여 변화가 없음), 8.3%이고, 총유효률 91.7%를 차지하였다.
  
4 전형병례
환자, 등씨, 32세, 공무원, 1996년 3월 8일 초진, 알레르기 비염 8년, 비류청제(鼻流清涕), 비색비양(鼻塞鼻痒), 제체기, 납매(納呆), 요슬산연(腰膝痠軟), 설질담(舌質淡), 태박백(苔薄白), 맥세(脉細). 이러한 증상은 폐기부족(肺氣不足), 비신양허(脾腎兩虛)이며, 풍한(風寒)이 반복 침입한 결과이다. 온양익기(溫陽益氣), 거풍산한(祛風散寒) 법으로 폐유, 비유, 신유에 생강 뜸 3개 요정 후에 다시 1년을 계속 한 후, 3년후 방문 결과 재발하지 않았다.
  
5 체험
알레르기 비염은 전통의학에서 “비구(鼻鼽)” 범주에 속하며, 대다수가 폐장(肺臟) 허손하여 풍한(風寒)을 반복 침입하고, 비신허약(脾腎虛弱)과 관계있다. 폐기허손(肺氣虛損), 위표불고(衛表不固), 주리소송(腠理疏松), 기체(機體) 위외(衛外)기능 저하, 허(虛)하면 풍한(風寒) 침입한다.

 배유혈(背兪穴)은 장부경기를 요배부 유혈에 수주(輸注)한다. 애구(艾灸)는 국소 피부온열 자극으로 순환을 개선하고, 항체(抗體) 산생을 촉진하며, 기체 면역 기능을 높이고; 동시에 생강은 온폐산한(溫肺散寒) 기능으로 격생강구 폐유, 비유, 신유하여 온폐산한(溫肺散寒), 익기건비(益氣健脾), 보신장양(補身壯陽)하고, 장부기혈을 조절하며, 기체 면역기능 증가하고, 비폐(脾肺) 항병 능력을 강화하여 비(脾) 기능을 회복한다.

본병은 장부허손이 원인으로 재발률이 높기에 3개 요정으로 치료하고, 1년 또는 1년 이상의 효과 공고하는 시간을 요구하며, 장부기능 회복하여 외사(外邪) 침입을 방어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만족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病症別 灸處方 > 오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후두염(慢性喉頭炎)  (0) 2016.11.08
인두편도선증식증(咽頭扁桃腺增殖症)  (0) 2016.11.08
이명(耳鳴)  (0) 2015.08.16
이하선염  (0) 2015.08.13
치통(齒痛)  (0) 201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