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성(老年性) 황반병변(黃斑病變)
노년성(老年性) 황반병변(黃斑病變)은 시망막(視網膜)의 황반구(黃斑區)의 出現 혈관증생(血管增生)으로 인하여 시망막퇴화(視網膜退化)가 발생하여 시력(視力)에 손상을 입히는 질병이다. 그외 유전(遺傳)과 흡연(吸煙)과 강열한 햇빛 조사(照射)와 심혈관병(心血管病)과 음식습관(飲食習慣)과 긴장정서(緊張情緒)도 황반병의 원인들이다. 50 세(歲) 이후에 가장 많이 발생되는 질병이다.
황반점(黃斑點)은 시망막(視網膜)의 중앙(中央)에 위치하고 있다. 황반점(黃斑點)에 있는 대량(大量)의 감광세포(感光細胞)는 물체를 볼수 있는 정세(精細)한 공능(功能)을 갖고 있다. 황반병증이 발생할 경우 중앙시력(中央視力)이 모호(模糊)해 지고 색깔을 구별하기 어려워지며 보이는 물체의 형상이 변형(變形)되어 보이고 물체의 중심(中心)이 불명해 지며 흑동(黑洞)이 출현한다. 이를 황반점(黃斑點) 감광세포(感光細胞)의 퇴화병증(退化病徵)이라고 칭한다. 병정(病情)이 악화될 경우 글자가 잘 보이지 않으며 시물이 모호해 진다.
황반병 예방 :
1. 흡연금지(吸煙禁止)
2. 고지방(高脂肪) 음식이나 콜레스테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음식(飲食)을 섭취할 경우 안부(眼部)의 혈관(血管)이 폐색된다.
3. 강열(強烈)한 자외선(紫外線)의 직접(直接) 조사(照射)를 피해야 한다. 실외에 나갈 때 반드시 UV 방지안경(防止眼鏡)을 착용해야 한다.
4. 아연과 카로틴과 비타민 C 의 함량이 높은 음식물의 섭취는 병정의 악화(惡化)를 감완(減慢)시켜 준다.
한의학에서 눈은 간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특히 간신부족(肝腎不足)은 안질(眼疾)을 유발시킨다.
노년성(老年性) 황반병(黃斑病)의 원인은 간신부족(肝腎不足)과 기허혈약(氣虛血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황반병을 조기(早期)에 진단(診斷)하여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노년성(老年性) 황반병변(黃斑病變)은 간신부족(肝腎不足)의 소치(所致)이므로 자간보신(滋肝補腎) 약재(藥材)를 섭취해 주어야 한다. 예를들면 숙지(熟地)、산약(山藥)、구기자(枸杞子)、옥계(玉桂)、황기(黃耆)、당귀(當歸)、백작(白芍)、당삼(黨參) 등이 있다.
안저(眼底)의 혈액삼출자(血液滲出者)는 비신휴허(脾腎虧虛)의 소치(所致)이므로 건비보신거습약(健脾補腎袪濕藥), 예를들면 당삼(黨參)、백출(白術)、황기(黃耆)、복령(茯苓)、택사(澤瀉)、하고초(夏枯草)、차전자(車前子)、전칠분(田七粉)、저령(豬苓)、구기자(枸杞子)、국화(菊花)、단삼(丹參)、절패(浙貝) 등을 사용해야 한다.
평상시 국화구기차(菊花枸杞茶)와 결명자차(決明子茶) 등을 복용할 경우 안병(眼病)을 예방해 준다.
매일(每日) 소량(小量)의 구기자(枸杞子)를 복용할 경우 노년성(老年性) 황반병(黃斑病)에 걸릴 확률을 강저(降低)시켜 준다.
다음은 몇가지 처방들이다.
(1) 기조단첨탕(杞棗蛋甜湯) :
재료(材料):구기자 3 전(錢)、대추 5 알(粒)、산약(山藥) 3 전(錢)、달걀 한개、홍당(紅糖) 3 전(錢).
제법(製法):구기자와 대추와 산약을 3 대접의 물속에 집어넣고 얕은 불로 15 분(分) 동안 끓인 후에 달걀과 홍당(紅糖)을 혼합하여 3 분(分) 동안 끓여서 복용한다.
공효(功效):명목건비(明目健脾)、시력(視力) 증강.
(2) 여정상심당이어탕(女貞桑椹塘虱魚湯) :
재료(材料):여정자(女貞子) 5전(錢)、상심자(桑椹子) 5전(錢)、흑두(黑豆) 3전(錢)、대추(紅棗) 5알(粒)、생강(生薑) 5 편(片)、당이어(塘虱魚) 한 마리、수육(瘦肉) 4냥(兩).
제법(製法):당이어와 수육(瘦肉)을 6 대접의 물속에 집어넣고 10 분(分) 동안 끓인 후 여정자와 상심자와 흑두와 대추와 생강을 혼합하여 얕은 불로 2 시간 동안 푹 끓인 후 복용한다.
공효(功效):보간양혈(補肝養血)、명목(明目),시력(視力) 개선(改善).
'症狀別 方劑處方 > 오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발성 구강궤양 (0) | 2016.07.15 |
---|---|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처방 (0) | 2016.01.11 |
치통(齒痛) 치료 – 험방요법(驗方療法) (0) | 2015.03.05 |
미맹(맛을 느끼지 못함) (0) | 2014.06.29 |
폭맹, 청맹, 백내장(원예내장) (0) | 201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