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자配穴法(배혈법)
配穴法(배혈법)은 疾病(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어떤 兪穴(수혈)들을 相互配合(상호배합)하여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로 選穴法(선혈법)과 아울러 오랜 鍼灸治療(침구치료)의 연구대상중에 하나였다. 따라서 오랜 鍼灸治療(침구치료) 역사를 통해서 발견한 훌륭한 配穴法(배혈법)들이 많이 있는데 이러한 配穴法(배혈법)을 정리해 보기로 하겠다.
(1) 일반적 배혈법: 부위에 따른 구분
부위 | 배혈 | 부위 | 배혈 |
두부 | 백회,통천,두유 | 하복부 | 음교,기해,관원,중극,삼음교,족삼리 |
상지 | 견우,곡지,합곡,후계,지구 | 배부 | 대추,도도,신주,대저,천종,견중유,견외유 |
하지 | 환도,양릉천,족삼리,현종 | 요부 | 신유,(요)양관,장강,위중 |
흉부 | 단중,내관 | 급성실증 | 사지부 수혈 |
협륵부 | 기문,장문,경문,연액,양릉천,구허 | 만성허증 | 배부 유혈에 뜸을 뜬다. |
상복부 | 상완,중완,내관,족삼리 |
|
|
(2) 1혈 단용법:단 한 개의 兪穴(수혈)만을 이용하는 방법을 1혈 단용법이라 한다. 이를 테면 토사가 심하여 사지가 싸늘해지고 맥박이 가라앉고 엎드려 있을 때[沈伏] 신궐에 隔塩灸(격염구)를 하기도 하고, 중풍으로 말 못할 때는 인당에 침을 놓으며, 졸도하였을 때는 인중에 침을 놓고, 현훈에는 백회에 뜸을 뜨는 것 등이 바로 1혈 단용법이다.
(3) 좌우병용법:하나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좌우에 있는 같은 혈을 한꺼번에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이를테면 얼굴 질환에 좌우의 합곡,요통에는 좌우의 신유, 또는 좌우의 위중, 월경통에 좌우의 혈해, 또는 좌우의 삼음교, 두항통에 좌우의 열결, 복통에 좌우의 족삼리혈을 한꺼번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4) 사지혈의 상하 병용법:상지와 하지에 있는 혈을 한꺼번에 쓰는 방법을 말한다.이를테면 만성소화기 질환에 공손과 내관, 復結(복결)에 지구와 조해,양협륵통에 행간,기죽마,지구,양릉천, 불면증에 신문과 여태 등을 쓰는 것 등이다.
(5) 陰陽配穴法(음양배혈법)/表裏配穴法(표리배혈법)
東洋哲學(동양철학)에서는 모든 사물은 대립적이면서 통일적인 2개면이
있고 이러한 두 개면을 陰陽(음양)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陰陽(음양) 변화의 법칙에 의거하여 모든 사물은 부단히 운동변화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東洋醫學(동양의학)적 입장에서 본다면 인체의 생리활동과 질병의 발생.발전 역시 음양변화의 이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를테면 陰病(음병)은 안에서 생겨서 밖으로 나가고(陰(음)으로부터 陽(양)으로 가고),陽病(양병)은 밖에서 생겨서 안으로 들어간다.(陽(양)으로부터 陰(음)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陰陽(음양)이 상호 관련되어 臟腑(장부)와 등과 복부로 서로 통한다. 그러므로 陰陽配穴法(음양배혈법)에서는 陽病(양병)에는 陰經(음경)을 치료하고, 陰病(음병)에는 陽經(음경)을 치료한다.즉 陽(양)에서 陰(음)을 유도하며,陰(음)에서 陽(양)을 유도하는 법칙이다.
이를테면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의 病(병)인 옆구리가 아프며 귀울이가 있고 입안이 쓴 병증 때에는 膽經(담경)에서 穴(혈)을 선택하는 외에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에서도 穴(혈)을 선택해 응용한다.그것은 膽經(담경)은 陽(양)에 속하고, 肝經(간경)은 陰(음)에 속하여 이 두 經脈(경맥)이 서로 陰陽表裏(음양표리)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脾(비)가 수분과 습기에 상하여 복통,소화불량,설사를 하는 병증 때 족삼리혈과 천추혈을 쓰는 이유는 脾(비)는 陰臟(음장)이요, 胃(위)는 陽腑(양부)로써 脾胃(비위)가 서로 陰陽表裏(음양표리)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胃經(위경)의 兪穴(수혈)을 응용하여 脾泄(비설)을 치료하자는 것이다. 다른 經絡(경락)도 이와 같은 법칙으로 配穴(배혈)한다.
(6) 特定穴配穴法(특정혈배혈법)
特定穴配穴法(특정혈배혈법)은 인체 氣血(기혈)의 통로인 經絡(경락)에서 특수하고 중요한 작용을 가진 兪穴(수혈)인 特定穴(특정혈) 또는 要穴(요혈)이라고 命名(명명)된 兪穴(수혈)을 이용하여 穴(혈)을 배합하는 방법
을 말한다. 이와 같은 特定穴(특정혈)에는 原穴(원혈),絡穴(낙혈),五腧穴(오수혈),隙穴(극혈),背兪穴(배수혈),募穴(모혈),六合穴(6합혈),八會穴(8회혈),八脈交會穴(팔맥교회혈),交會穴(교회혈) 등 10가지가 있다. 이러한 特定穴(특정혈)들은 각기 특수한 適應症(적응증)과 臨床應用(임상응용)방법이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① 五行穴과 五腧穴 配穴法(오행혈과 오수혈 배혈법)
五行穴(오행혈)과 五腧穴(오수혈) 配穴法(배혈법)이란 인체 四肢(사지)의
肘關節(주관절)과 膝關節(슬관절) 아래쪽에 배속되어 있는 五腧穴(井,滎,兪,經,合)에 五行(木,火,土,金,水)속성을 붙이고,이러한 五行(오행)의 상호관계를 치료처방을 위한 配穴(배혈)로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먼저 五腧穴(오수혈)은 각자 독자적인 기능을 가지고 五臟六腑(오장육부)에 대해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 配穴法(배혈법)은 치료 효과에 있어서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그 穴(혈)의 위치가 모두 四肢(사지)의 肘關節(주관절)과 膝關節(슬관절)의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鍼灸(침구) 시술시 몸통보다 위험이 적고 또한 환자도 편안하게 받을 수 있다.
「영추.1일분위.4시」에서 “病(병)이 臟(장)에 있는 자는 井(정)을 잡고,病(병)이 얼굴색에 나타난 자는 滎(형)을 잡고,病(병)이 발작하는 때가 있어서 그것이 輕(경)한 때나 重(중)한 때가 있는 경우는 兪(유)를 잡고,病(병)이 음성에 변화를 일으키면 經(경)을 잡고, 經脈(경맥)이 가득차고 穴絡(혈락)에 울혈이 있는 것과 病(병)이 胃腑(위부) 및 음식물 섭생에 기인해서 생긴것은 合(합)을 잡는다”고 했다. 또 『난경.68난』에는 “井(정)은 心下滿(심하만)을 다스리고,滎(형)은 身熱(신열)을 다스리고,兪(유)는 體重節痛(체중절통)을 다스리고,經(경)은 喘咳(천해)와 寒熱(한열)을 다스리고,合(합)은 주로 逆氣(역기)를 泄(설)한다(逆氣而泄)”고 했다.
한편 이와 같은 五腧穴(오수혈)에다 五行(오행)의 속성을 부여한 것이 五行穴(오행혈)인데 이러한 五行穴(오행혈)을 이용하여 東洋哲學(동양철학)의 五行(오행)의 相生相克(상생상극)의 법칙을 이용하여 配穴(배혈)한 것이 五行穴配穴法(오행혈배혈법)이다.
여기서 五行(오행)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면 五行(오행)이란 木(목),火(화),土(토),金(금),水(수)의 다섯 가지를 말하는 바, 五行(오행)의 중요 운동법칙은 相生(상생)과 相克(상극)이다. 즉 相生(상생)은 사물과 현상에서 상호 의존 자생하는 것으로서 木生火(목생화),火生土(화생토),土生金(토생금),金生水(금생수),水生木(수생목)의 다섯 가지가 관계가 있다. 이때 相生(상생)사이에는 母子(모자)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즉 木生火(목생화)에서 火(화)에 대하여 木(목)은 나를 낳아 주는 母(어머니)이고, 木(목)에 대하여 火(화)는 내가 나은 子(아들)이다. 相克(상극)이란 木克土(목극토),土克水(토극수),水克火(수극화),火克金(화극금),金克木(금극목)의 다섯 가지 관계이다. 즉 하나의 行(행)이 어느 한 行(행)을 제약하고 억제하지만,다른 한 행으로부터도 제약과 억제를 받고 있는 관계이다. 즉 木克土(목극토)의 木(목)은 土(토)를 제약 억제하고 있지만, 金克木(금극목)의 木(목)은 金(금)으로부터 제약과 억제를 받고 있다.
한편 東洋醫學(동양의학)에서는 東洋哲學(동양철학)에서 기원한 陰陽五行(음양오행)의 相生相克(상생상극)의 법칙을 적용하여 五臟六腑(오장육부)를 陰陽五行(음양오행)에 결부시켜 그 생리 및 병리현상을 고찰하고 변증론치에 적용하여 왔다.
대표적인 것이 鍼灸治療(침구치료)에서 補瀉法(보사법)의 적용으로 虛則補其母 實則瀉其子(허즉보기모 실즉사기자:허하면 그 어미를 보하고,실하면 그 자식을 사한다)의 법칙에서 알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肝木(간목)이 虛(허)하여 병변이 생기면 水生木(수생목) 즉 木(목)은 낳은 生我子(생아자)인 水(수)를 補(보)하고, 實(실)하여 병변이 생겼을 때는 木生火(목생화)로써 木(목)이 낳은 아들(子),즉 我生子(아생자)인 火(화)를 瀉(사)하여서 각기 偏勝(편승),偏衰(편쇠)를 고르게 하는 것이다.
앞에서 五行(오행)의 개념과 五行(오행)의 相生(상생)과 相克(상극)의
법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五行
(오행)의 相生(상생)과 相克(상극)의 법칙을 이용한 五行穴配穴法(오행혈배혈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五行과 身體器官 相關表(오행과 신체기관 상관표)]
五行 區分 | 木(목) | 火(화) | 土(토) | 金(금) | 水(수) | |
君火(군화) | 相火(상화) | |||||
五臟(오장) | 肝(간) | 心(심) | 心包(심포) | 脾(비) | 肺(폐) | 腎(신) |
六腑(육부) | 膽(담) | 小腸(소장) | 三焦(삼초) | 胃(위) | 大腸(대장) | 膀胱(방광) |
五官(오관) | 目(목) | 舌(설) | 口(구) | 鼻(비) | 耳(이) | |
五體(오체) | 筋(근) | 脈(맥) | 肌肉(기육) | 皮毛(피모) | 骨(골) |
○ 本經補瀉法(본경보사법)
本經補瀉法(본경보사법)이란 病(병)이 있는 본래의 經脈(경맥)에서 五行穴補瀉法(오행혈보사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은 五行(오행)으로 金(금)에 속하는데,만약 이 經脈(경맥)이 肺實證(폐실증)으로 診斷(진단)이 되면 治療(치료)는 虛則補其母,實則瀉其子(허즉보기모,실즉사기자)의 법칙에 따라서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에서 子(자)에 해당하는 水穴(수혈)인 尺澤穴(척택혈)을 선택하여 瀉法(사법)을 쓴다.
實證(실증) 달리 기침을 하고 맥고 숨 쉬는 것을 힘들어 하면 이는 肺病(폐병)으로 正氣(정기)가 부족한 虛症(허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肺經(폐경)의 土穴(토혈)인 太淵穴(태연혈)을 선택하여 補法(보법)을 써서 치료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本經補瀉法(본경보사법)이다.
이처럼 本經補瀉法(본경보사법)은 病(병)이 있는 經脈(경맥)의 五行(오행)의 속성을 알고, 虛實(허실)관계를 파악한 후 그 病(병)이 있는 本經(본경)내에서 母子(모자)관계에 있는 兪穴(수혈)을 선택하여 補瀉法(보사법)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 異經補瀉法(이경보사법)
異經補瀉法(이경보사법)이란 臟腑(장부)와 五行(오행)관계를 결합한 방법으로 病(병)이 생긴 經脈(경맥)뿐만 아니라 다른 經脈(경맥) 즉 병든 經脈(경맥)의 母經(모경)이나 아니면 子經(자경)에서 兪穴(수혈)을 선택하여 五行穴補瀉法(오행혈보사법)을 쓰는 것을 말한다. 즉 앞서 本經補瀉法(본경보사법)에서 설명한 肺實證(폐실증)에는 子經(자경)인 腎水經(신수경)의 水穴(수혈)인 陰谷穴(음곡혈)을 잡아 瀉法(사법)을 쓰고, 肺虛證(폐허증)에는 母經(모경)인 脾土經(비토경)인 土穴(토혈)인 太白穴(태백혈)을 잡아 補法(보법)을 쓰는 것이다.
○ 兩經補瀉法(양경보사법)
兩經補瀉法(양경보사법)이란 질병 치료에 두 개의 經脈(경맥)의 五行(오행)관계에 있는 穴(혈)을 선택하여 補瀉(보사)를 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本經補瀉法(본경보사법)과 異經補瀉法(이경보사법)을 합친 것으로서
앞에서 본 肺實證(폐실증)에는 本經(본경)인 肺金經(폐금경)의 水穴(수혈)인 尺澤穴(척택혈)과 子經(자경)인 腎水經(신수경)의 水穴(수혈)인 陰谷穴(음곡혈)을 잡아 瀉法(사법)을 실시하고, 肺虛證(폐허증)에는 本經(본경)인 肺金經(폐금경)의 土穴(토혈)인 太淵穴(태연혈)과 母經(모경) 脾土經(비토경)의 土穴(토혈)인 太白穴(태백혈)을 잡아 補法(보법)을 실시하는 것이 바로 兩經補瀉法(양경보사법)이다.
○ 正格 및 勝格 補瀉法(정격 및 승격 보사법)
正格(정격)과 勝格(승격)이란 단어는 舍岩道人(사암도인)이 지은 『舍岩鍼灸要訣』에 처음으로 나오는 단어인데 正格(정격)은 補法(보법)의 뜻에 가깝고, 勝格(승격)은 瀉法(사법)의 뜻에 가깝다.
正格(정격)과 勝格(승격)의 쓰이는 예를 들어 보면 肺實證(폐실증)일 때 의 肺勝格(폐승격)의 配穴(배혈)은 本經(본경)에서 官穴(관혈)에 해당하는 火穴(화혈)인 魚際穴(어제혈)를 잡고, 또 官經(관경)의 官穴(관혈)에 해당하는 心火經(심화경)의 火穴(화혈)인 少府穴(소부혈)를 잡아 이 2개의 穴(혈)에 똑같은 補法(보법)을 쓰고, 다시 肺金經(폐금경)의 本經(본경)에서 子穴(자혈)에 해당하는 水穴(수혈)인 尺澤穴(척택혈)을 잡고, 또 子經(자경)의 子穴(자혈)에 해당하는 腎水經(신수경)의 水穴(수혈)인 陰谷穴(음곡혈)을 잡고 이 2개의 穴(혈)에 똑같이 瀉法(사법)을 쓰는 방법이다.
그리고 肺虛證(폐허증)일 때 쓰는 肺正格(폐정격)은 肺金(폐금)의 本經(본경)에서 母穴(모혈)인 土穴(토혈)인 太淵穴(태연혈)을 잡고, 또 母經(모경)인 脾土經(비토경)의 土穴(토혈)인 太白穴(태백혈)을 잡아 이 두 穴(혈)에 똑같이 補法(보법)을 쓰고, 肺金經(폐금경)의 官經(관경)에 해당하는 心火經(심화경)의 火穴(화혈)인 少府穴(소부혈)를 잡고, 또 肺金(폐금)의 本經(본경)에서 官穴(관혈)에 해당하는 魚際穴(어제혈)를 잡아 이 두 穴(혈)에 똑같이 瀉法(사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다른 臟腑(장부)의 正格(정격)이나 勝格(승격)도 이상과 같은 원리로 처방이 구성되는데 그것들을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正格 및 勝格 處方表(정격 및 승격처방표)]
區分 (구분) | 補瀉 (보사) | 穴 名(혈 명) | |
肝正格 (간정격) | 補(보) | 음곡(신수경의 수혈) | 곡천(간목경의 수혈) |
瀉(사) | 경거(폐금경의 금혈) | 중봉(간목경의 금혈) | |
肝勝格 (간승격) | 補(보) | 경거(폐금경의 금혈) | 중봉(간목경의 금혈) |
瀉(사) | 소부(심화경의 화혈) | 행간(간목경의 화혈) | |
心正格 (심정격) | 補(보) | 대돈(간목경의 목혈) | 소충(심화경의 목혈) |
瀉(사) | 음곡(신수경의 수혈) | 소해(심화경의 수혈) | |
心勝格 (심승격) | 補(보) | 음곡(신수경의 수혈) | 소해(심화경의 수혈) |
瀉(사) | 태백(비토경의 토혈) | 신문(심화경의 토혈) | |
脾正格 (비정격) | 補(보) | 소부(심화경의 화혈) | 대도(비토경의 화혈) |
瀉(사) | 대돈(간목경의 목혈) | 은백(비토경의 목혈) | |
脾勝格 (비승격) | 補(보) | 대돈(간목경의 목혈) | 은백(비토경의 목혈) |
瀉(사) | 경거(폐금경의 금혈) | 상구(비토경의 금혈) | |
肺正格 (폐정격) | 補(보) | 태백(비토경의 토혈) | 태연(폐금경의 토혈) |
瀉(사) | 소부(심화경의 화혈) | 어제(폐금경의 화혈) | |
肺勝格 (폐승격) | 補(보) | 소부(심화경의 화혈) | 어제(폐금경의 화혈) |
瀉(사) | 음곡(신수경의 수혈) | 척택(폐금경의 수혈) | |
腎正格 (신정격) | 補(보) | 경거(폐금경의 금혈) | 복류(신수경의 금혈) |
瀉(사) | 태백(비토경의 토혈) | 태계(신수경의 토혈) | |
腎勝格 (신승격) | 補(보) | 태백(비토경의 토혈) | 태계(신수경의 토혈) |
瀉(사) | 대돈(간목경의 목혈) | 용천(신수경의 목혈) |
심포정격 (心包正格) | 補(보) | 대돈(간목경의 목혈) | 중충(심포상화경의 목혈) |
瀉(사) | 음곡(신수경의 수혈) | 곡택(심포상화경의 수혈) | |
심포승격 (心包勝格) | 補(보) | 음곡(신수경의 수혈) | 곡택(심포상화경의 수혈) |
瀉(사) | 태백(비토경의 토혈) | 대릉(심포상화경의 토혈) | |
담정격 (膽正格) | 補(보) | 통곡(방광수경의 수혈) | 협계(담목경의 수혈) |
瀉(사) | 상양(대장금경의 금혈) | 규음(담목경의 금혈) | |
담승격 (膽勝格) | 補(보) | 상양(대장금경의 금혈) | 규음(담목경의 금혈) |
瀉(사) | 양곡(소장화경의 화혈) | 양보(담목경의 화혈) | |
소장정격 (小腸正格) | 補(보) | 임읍(담목경의 목혈) | 후계(소장화경의 목혈) |
瀉(사) | 통곡(방광수경의 수혈) | 전곡(소장화경의 수혈) | |
소장승격 (小腸勝格) | 補(보) | 통곡(방광수경의 수혈) | 전곡(소장화경의 수혈) |
瀉(사) | 족삼리(위토경의 토혈) | 소해(소장화경의 토혈) | |
위정격 (胃正格) | 補(보) | 양곡(소장화경의 화혈) | 해계(위토경의 화혈) |
瀉(사) | 임읍(담목경의 목혈) | 함곡(위토경의 목혈) | |
위승격 (胃勝格) | 補(보) | 임읍(담목경의 목혈) | 함곡(위토경의 목혈) |
瀉(사) | 상양(대장금경의 금혈) | 여태(위토경의 금혈) | |
대장정격 (大腸正格) | 補(보) | 족삼리(위토경의 토혈) | 곡지(대장금경의 토혈) |
瀉(사) | 양곡(소장화경의 화혈) | 양계(대장금경의 화혈) | |
대장승격 (大腸勝格) | 補(보) | 양곡(소장화경의 화혈) | 양계(대장금경의 화혈) |
瀉(사) | 통곡(방광수경의 수혈) | 이간(대장금경의 수혈) | |
방광정격 (膀胱正格) | 補(보) | 상양(대장금경의 금혈) | 지음(방광수경의 금혈) |
瀉(사) | 족삼리(위토경의 토혈) | 위중(방광수경의 토혈) | |
방광승격 (膀胱勝格) | 補(보) | 족삼리(위토경의 토혈) | 위중(방광수경의 토혈) |
瀉(사) | 임읍(담목경의 목혈) | 속골(방광수경의 목혈) | |
삼초정격 (三焦正格) | 補(보) | 임읍(담목경의 목혈) | 중저(삼초상화경의 목혈) |
瀉(사) | 통곡(방광수경의 수혈) | 액문(삼초상화경의 수혈) | |
삼초승격 (三焦勝格) | 補(보) | 통곡(방광수경의 수혈) | 액문(삼초상화경의 수혈) |
瀉(사) | 족삼리(위토경의 토혈) | 천정(삼초상화경의 토혈) |
② 原絡配穴法(원락배혈법)/主客配穴法(주객배혈법)
原絡配穴法(원락배혈법)이란 原穴(원혈)과 絡穴(낙혈)을 選穴(선혈)하여
配穴(배혈)하는 방법으로 일명 主客配穴法(주객배혈법)이라고도 한다.
이 配穴法(배혈법)은 臟腑(장부)의 原氣(원기)가 經脈(경맥)에 머물러 있는 12개의 原穴(원혈)과 十五絡脈(15낙맥)중에서 十二正經(십이정경)에 소속되어 表裏關係(표리관계)를 강화하는 12개의 絡穴(낙혈)을 相互配合
(상호배합)하여 치료를 하는 配穴法(배혈법)이다.
原穴(원혈)이란 臟腑(장부)의 原氣(원기)가 經脈(경맥)에 머물러 있는 兪穴(수혈)로 十二正經(십이정경)에 각각 한 개씩 있으며 해당 經脈(경맥)
의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診斷(진단)에 이용될 뿐 아니라 해당 經脈
(경맥)의 병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兪穴(수혈)이기도 하다.
絡穴(낙혈)이란 十五絡脈(십오낙맥)이 갈라져 나온 곳에 있는 兪穴(수혈)
로써 모두 15개의 絡穴(낙혈)이 있는데 表裏關係(표리관계)로 가는 絡脈
(낙맥)은 그가 속한 經脈(경맥)과 表裏關係(표리관계)의 經脈(경맥) 및 갈라져 나간 絡脈(낙맥)의 병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原絡配穴法(원락배혈법)이란 臟腑(장부)의 表裏關係(표리관계)와 兪穴(수혈)의 특성을 응용한 것으로써 발병한 本經(본경)의 原穴(원혈)을 主(주)로 하고 이와 表裏關係(표리관계)가 있는 經脈(경맥)의 絡穴(낙혈)
을 客(객)으로 하여 配穴(배혈)하는 법이다.
예를 들면 肺經(폐경)에서 먼저 발병하여 大腸經(대장경)에 전병되었을 때 肺經(폐경)의 병은 主病(주병)이 되고, 大腸經(대장경)의 병은 客症
(객증)이 된다.따라서 주병 치료는 肺經(폐경)의 原穴(원혈)인 太淵(태연)
에서 하고, 客症(객증)은 大腸經(대장경)의 絡穴(락혈)인 偏歷(편력)에서 한다. 이와는 반대로 大腸經(대장경)에서 病(병)이 먼저 발생하여 肺經
(폐경)에 전병되었다면 大腸經(대장경)의 原穴(원혈)인 合谷(합곡)에서 主病(주병)을 치료하고,客症(객증)은 肺經의 絡穴(락혈)인 列缺(열결)에서
치료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配穴法(배혈법)은 표리 두 經脈(경맥)의 轉病 (전병)뿐 아니라 表裏(표리) 두 經脈(경맥)에 질병이 동시에 발생하였을 때도 적용한다.
[原絡配穴表(원락배혈표)]
經脈(경맥) | 主經脈 (주경맥) | 原穴 (원혈) | 絡穴 (낙혈) | 主客穴 (주객혈) | |
主(주) | 客(객) | ||||
肝(간) | 膽(담) | 肝經(간경) | 太衝(태충) | 蠡溝(여구) | 太衝(태충),光明(광명) |
膽(담) | 肝(간) | 膽經(담경) | 丘墟(구허) | 光明(광명) | 丘墟(구허),蠡溝(여구) |
心(심) | 小腸(소장) | 心經(심경) | 神門(신문) | 通里(통리) | 神門(신문),支正(지정) |
小腸(소장) | 心(심) | 小腸經(소장경) | 腕骨(완골) | 支正(지정) | 腕骨(완골),通里(통리) |
脾(비) | 胃(위) | 脾經(비경) | 太白(태백) | 公孫(공손) | 太白(태백),風隆(풍륭) |
胃(위) | 脾(비) | 胃經(위경) | 衝陽(충양) | 豊隆(풍륭) | 衝陽(충양),公孫(공손) |
肺(폐) | 大腸(대장) | 肺經(폐경) | 太淵(태연) | 列缺(열결) | 太淵(태연),偏歷(편력) |
大腸(대장) | 肺(폐) | 大腸經(대장경) | 合谷(합곡) | 偏歷(편력) | 合谷(합곡),列缺(열결) |
腎(신) | 膀胱(방광) | 腎經(신경) | 太谿(태계) | 大鐘(대종) | 太谿(태계),飛揚(비양) |
膀胱(방광) | 腎(신) | 膀胱經(방광경) | 京骨(경골) | 飛揚(비양) | 京骨(경골),大鐘(대종) |
心包(심포) | 三焦(삼초) | 心包經(심포경) | 大陵(대릉) | 內關(내관) | 大陵(대릉),外關(외관) |
三焦(삼초) | 心包(심포) | 三焦經(삼초경) | 陽池(양지) | 外關(외관) | 陽池(양지),內關(내관) |
③ 隙穴配穴法(극혈배혈법)
隙穴(극혈)에서 隙(극)은 틈을 의미한다. 따라서 隙穴(극혈)이란 “氣血(기혈)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는 뜻이다. 이러한 隙穴(극혈)은 十二正經(십이정경)에 한 개씩 있고, 奇經(기경)중에서 陰蹻脈(음교맥),陽蹻脈(양교맥),陰維脈(음유맥),陽維脈(양유맥)에 각각 하나씩 있어서 모두 十六隙穴
(16극혈)이 있다. 臟腑(장부)에 병이 있을 때 해당 經脈(경맥)의 隙穴(극혈)에 반응이 나타난다. 주로 經脈(경맥)과 臟腑(장부)의 急性病(급성병) 및 出血症(출혈증)을 치료하는데 쓴다. 隙穴(극혈)의 종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장의 요혈 또는 특정혈을 참고하기 바란다.
④ 兪募配穴法(유모배혈법)
兪募配穴法(유모배혈법)은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配穴法(배혈법)으로 背部(배부)에 있는 兪穴(유혈)과 腹部(복부)에 있는 募穴(모혈)을 선택하여 증상에 따라 치료하는 配穴法(배혈법)이다.
背部(배부)의 兪穴(수혈)은 腹部(복부)의 募穴(모혈)은 六臟六腑(육장육부)에 모두 있는데 募穴(모혈)은 陰(음)에 속하고 兪穴(수혈)은 陽(양)에 속한다. 따라서 募穴(모혈)과 兪穴(수혈)은 서로 陰陽(음양)의 관계로 상대가 되어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募穴(모혈)은 陰(음)이고 經脈(경맥)의 氣(기)가 모이는 곳이라는 뜻이고,
兪穴(수혈)은 經脈(경맥)의 氣(기)가 運輸(운수)되는 곳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兪穴(수혈)과 募穴(모혈)은 어떤 臟腑(장부)에 병이 있을 때에는 그 臟腑(장부)에 소속된 募穴(모혈)과 兪穴(수혈)을 배합하여 해당 장기의 질병을 직접 치료하는 것은 물론 간접적으로 그 장기와 연계되어 있는 질환도 치료한다. 예를 들면 胃經(위경)에 병이 있어서 오목가슴이 아프고 식욕이 없으면 腹部(복부)에 있는 中脘(중완)을 잡고, 동시에 背部(배부)에 있는 胃兪(위수)를 배합하여 치료한다. 또한 膀胱病(방광병)에는 膀胱經(방광경)의 募穴(모혈)인 中極(중극)을 잡는 동시에 둔부에 있는 膀胱兪
(방광수)를 배합하여 치료한다. 이것은 어떤 장기에 병이 있을 때 해당 經脈(경맥)의 兪募穴(수모혈)을 配穴(배혈)하는 법칙이다.
그리고 해당 장부 소속 기관의 질병까지 치료한다는 것은 肝兪穴(간수혈)로써 안과질환을 치료하며, 腎兪穴(신수혈)로써 耳聾(이롱)을 치료하는것 등이 그것이다. 다른 장기의 질환도 이상에서 본 예에 준해서 兪募穴(수모혈)을 배합해서 치료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兪募穴(유모혈)은 비록 국부취혈에 속하나 그의 주치 기능은 국부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이다. 특히 陰(음) 부위에 있는 穴(혈)과 陽(양) 부위에 있는 穴(혈)을 동시에 취하게 되므로, 이 配穴法(배혈법)은 陰陽關係(음양관계)의 작용과 떼어놓을 수 없으며, 그로 인해 특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兪募配穴表(유모배혈표)]
五臟 區分 | 肝(간) | 心(심) | 脾(비) | 肺(폐) | 腎(신) | 心包 (심포) |
兪穴 (유혈) | 肝兪 (간수) | 心兪 (심수) | 脾兪 (비수) | 肺兪 (폐수) | 腎兪 (신수) | 厥陰兪 (궐음수) |
募穴 (모혈) | 期門 (기문) | 巨闕 (거궐) | 章門 (장문) | 中府 (중부) | 京門 (경문) | 膻中 (단중) |
六腑 區分 | 膽(담) | 小腸 (소장) | 胃(위) | 大腸 (대장) | 膀胱 (방광) | 三焦 (삼초) |
兪穴 (유혈) | 膽兪 (담수) | 小腸兪 (소장수) | 胃兪 (위수) | 大腸兪 (대장수) | 膀胱兪 (방광수) | 三焦兪 (삼초유) |
募穴 (모혈) | 日月 (일월) | 關元 (관원) | 中脘 (중완) | 天樞 (천추) | 中極 (중극) | 石門 (석문) |
※兪(유),腧(수),輸(수)자는 거의 비슷한 의미이다. 이 책에서는 이 세 가지의 한글음을 “수”로 표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그렇지만 유모배혈법의 표기만은 “수”가 아닌 “유”자로 표기함이 발음상 편리할 것 같아 兪募配穴法(수모배혈법)이 아닌 兪募配穴法(유모배혈법)으로 기술하기로 했다.
⑤ 八脈交會穴 配穴法(8맥교회혈 배혈법)
八脈交會穴(팔맥교회혈)이란 奇經八脈(기경팔맥)과 교회하는 8개의 兪穴(수혈)을 말하는데 이것들은 모두 손목과 발목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八脈交會穴(8맥교회혈)을 손과 발의 각각의 1개 兪穴(수혈)을 짝을 지으면 4쌍을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 奇經八脈(기경팔맥)이 모이는 부위의 병을 치료하게 된다. 이러한 배혈법을 八脈交會穴(8맥교회혈)
配穴法(배혈법)이라 하고 치료범위와 효과가 넓기 때문에 임상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八脈交會穴 配穴表(팔맥교회혈 배혈표)]
八脈交會穴 (팔맥교회혈) | 本經(본경) | 交會奇經 (교회기경) | 部位 (부위) | 主治(주치) |
公孫(공손) | 脾經(비경) | 衝脈(충맥) | 內 (내) | 心(심),胸(흉),胃(위),高血壓 (고혈압),心臟病(심장병) |
內關(내관) | 心包經(심포경) | 陰維脈(음유맥) | ||
臨泣(임읍) | 膽經(담경) | 帶脈(대맥) | 側 (측) | 目外眦(목외자),耳後(이후),肩(견),頸(경),頰(협),胸脇通(흉협통),耳痛(이통),坐骨神經痛 (좌골신경통),偏頭痛(편두통) |
外關(외관) | 三焦經(삼초경) | 陽維脈(양유맥) | ||
列缺(열결) | 肺經(폐경) | 任脈(임맥) | 後 (후) | 肺系(폐계),喉嚨(후농),胸膈 (흉격)-婦人病,下焦病 |
照海(조해) | 腎經(신경) | 陰蹻脈(음교맥) | ||
後谿(후계) | 小腸經(소장경) | 督脈(독맥) | 下焦 (하초) | 目內眦(목내자),頸(경), 項(항),耳(이),肩(견) |
申脈(신맥) | 膀胱經(방광경) | 陽蹻脈(양교맥) |
⑥ 八會穴 配穴法(8회혈 배혈법)
八會穴(팔회혈)이란 臟(장),腑(부),氣(기),血(혈),筋(근),脈(맥),骨(골),髓(수)
의 病(병)들을 치료하는데 있어 효과가 높은 8개의 兪穴(수혈)을 말한다. 八會穴(팔회혈)은 장부기관의 이름 뒤에 會(회)자를 붙여 혈 이름을 대신
하는데 臟會(장회),腑會(부회),氣會(기회),血會(혈회),筋會(근회),脈會(맥회),骨會(골회),髓會(수회)등이다.
八會穴(팔회혈)은 그 치료범위가 넓으므로 임상에서 많이 쓰이는데 치료범위는 다음 표와 같다.
[八會穴表(팔회혈표)]
八會穴(팔회혈) | 穴名(혈명) | 治療範圍(치료범위) |
臟會(장회) | 章門(장문) | 五臟(간,심,비,폐,신)의 病(병) |
腑會(부회) | 中脘(중완) | 六腑(담,소장,위,대장,방광)의 病(병) |
氣會(기회) | 膻中(단중) | 모든 氣(기)의 病(기체,기울,기허...) |
血會(혈회) | 膈兪(격수) | 모든 血(혈)의 病(어혈,출혈,혈허...) |
筋會(근회) | 陽陵泉(양릉천) | 모든 筋肉病(경련,근마비,관절통...) |
脈會(맥회) | 太淵(태연) | 모든 血脈病(출혈...) |
骨會(골회) | 大杼(대저) | 모든 骨病(골위,부저골...) |
髓會(수회) | 懸鍾(현종) | 모든 髓病(골수,뇌수,척수...) |
⑦ 交會穴 配穴法(교회혈 배혈법)
交會穴(교회혈)이란 2개 또는 그 이상의 經脈(경맥)이 서로 교차되거나 交會(교회)하는 부위의 兪穴(수혈)을 말한다. 예를 들면 中府穴(중부혈)은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과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交會穴(교회혈)이고,大椎穴(대추혈)은 手足三陽經(수족삼양경)과 督脈(독맥)의 交會穴(교회혈)이다. 이와 같은 交會穴(교회혈)을 이용하여 本經(본경)및 交會(교회)하는 여러 經脈(경맥)의 病(병)을 치료할 수 있는데 이러한 配穴(배혈)방법을 交會穴 配穴(교회혈 배혈)이라 한다. 여러 經脈(경맥)의 交會穴(교회혈)에 대해서는 제1장의 兪穴理論(수혈이론)편을 참고하기 바란다.
⑧ 標本緩急 配穴法(표본완급 배혈법)
標本(표본)이란 病症(병증)의 本質的(본질적)인 것과 非本質的(비본질적)인 것, 先次的(선차적)인 것과 副次的(부차적)인 것을 相對的(상대적) 으로 표현한 말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標本(표본)의 의의는 매우 광범하게 포괄되어 있다. 즉
○ 病(병)의 原因(원인)과 症狀(증상)으로 말한다면 原因(원인)은 本(본)이 되고,症狀(증상)은 標(표)가 된다.
○ 病(병)이 생긴 部位(부위)로 말하면 몸속이나 아래 부위에 생긴 것은 本(본)이 되고 체표나 윗부위에 생긴 것은 標(표)가 된다.
○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말한다면 갓 생긴 병과 속발성은 標(표)에 속하고, 오래된 병과 원발성은 本(본)에 속한다.
○ 病(병)이 생긴 先後(선후)를 가지고 말한다면 먼저 생긴 병은 本(본)에 속하고 뒤에 생긴 病(병)은 標(표)에 속한다.
○ 몸의 精氣(정기)와 邪氣(사기)를 가지고 말한다면 精氣(정기)는 本(본)에 속하고,邪氣(사기)는 標(표)에 속한다. 그리고 經絡(경락)에서 標本(표본)을 갈라보면 팔다리에 있는 것은 本(본)이 되고, 머리,얼굴,몸통에 있는 것은 標(표)가 된다. 따라서 疾病(질병)은 急性(급성)이든 慢性(만성)이든 할 것 없이 모두 輕症(경증)과 重症(중증)의 구별이 있으며, 副次的(부차적)인 것과 根本的(근본적)인 것이 같지 않다.그리하여 病(병)의 변화가 비록 많으나 총괄해 보면 標本(표본)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臨床(임상)에서 標本(표본)을 이용하여 病症(병증)을 가리고 치료의 선후를 정하기도 한다. 옛날 책에는 病(병)이 重(중)하고 急(급)하게 경과하면 標(표)부터 치료하고, 輕(경)하고 완만하게 경과하면 本(본)부터 치료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음식에 체해서 발생한 急性胃腸病(급성위장병)일 때 구토와 설사를 지나치게 한 까닭에 亡陽(망양)이 되어 땀이 몹시 나고 사지가 싸늘하며 맥박이 촉지되지 않을 때에는 곧 신궐에 격염구와 관원 또는 기해에 직접 뜸을 뜨고,인중과 백회에 침을 놓아 陽(양)을 급히 회복시킨다.그리하여 땀이 멎고 사지가 온화하여지고 맥박이 촉지된 뒤에 胃正格(위정경)으로 胃(위)를 補(보)하는 치료를 한다.또는 족삼리,중완,천추 등을 응용하여 본증을 치료한다. 그리고 만일 慢性病(만성병)일 때에는 그 病因(병인)에 근거하여 치료하여 모든 증상이 소실될 수 있다.옛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 主(주)되는 것을 굴복시키면 그 원인을 먼저 치료해야 한다“는 것이 곧 원인 요법의 기본정신이다. 이를테면 血虛(혈허)한 肝風(간풍)환자가 항상 眩暈(현훈)이 있고 눈꺼풀이 떨리며 입이 실룩거리는 등의 증상이 발작할 때에는 補血處方(보혈처방)인 心正格(심정격)을 응용하는데,그것은 “바람을 치료하려면 먼저 피를 운행케 하여야 한다”는 원리로서 병의 원인을 고려하여 配穴(배혈)하는 방법이다.이 配穴法(배혈법)은 임상에서 매우 중요한데 病(병)의 변화를 옳게 인식하여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⑨ 綜合配穴法(종합배혈법)
이상 8종의 配穴法(배혈법)을 살펴 보았는데,綜合配穴法(종합배혈법)이란 이들 8종의 配穴法(배혈법) 가운데서 몇 가지 配穴法(배혈법)을 동시에 配合(배합)하여 쓰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兪募配穴法(유모배혈법)과 原絡配穴法(원락배혈법)을 같이 쓰거나,遠近配穴法(원근배혈법)과 表裏配穴法(표리배혈법) 및 兪募配穴法(유모배혈법)을 같이 쓰는 것 등이다.이러한 綜合配穴法(종합배혈법)에서는 주로 개별적 兪穴(수혈)의 작용과 적응증에 의하여 여러 가지 증상들을 공통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兪穴(수혈)들을 선택하여 처방을 구성한다.
'鍼灸 小考 > 침구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악정(王乐亭)의 염전보사법 (0) | 2016.08.24 |
---|---|
대법 "구당 김남수, 오프라인서도 침·뜸 교육 가능" (0) | 2016.08.10 |
반응점을 이용하여 침처방을 만드는 법 (0) | 2015.10.06 |
침술 마취 (0) | 2015.09.19 |
치료의 대원칙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