建康 散步/침구사 문제

제16회 뜸요법사 시험 문제ㆍ가형

초암 정만순 2015. 8. 7. 14:21

 

 

 

제16회 뜸요법사 시험 문제ㆍ가형> 2008. 10. 19 시행

 

( 객관식 20문항×4점=80점 / 주관식 2문항×10점=20점 / 총 100점 만점 )



Ⅰ. 뜸요법 기초이론


1. 정(精)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

 ① 생명력의 원천이다.

 ② 병사(病邪)는 정기(精氣)가 허(虛)할 때 들어온다.

 ③ 뇌수(腦髓)를 생(生)하여 정신 형성에 관계한다.

 ④ 생장(生長)과 발육(發育)기능을 가지며, 생식(生殖)과는 관계가 없다.

 ⑤ 신(腎)은 남은 정(精)을 저장한다.


2. 뜸의학의 특성이 아닌 것은 ?

 ① 근본을 다스리는 본치(本治)의학이다.

 ② 자연치유술을 중요시 한다.

 ③ 외부에서 침입한 사기(邪氣) 퇴치를 주된 요법으로 한다.

 ④ 몸의 균형을 잡아  자연치료를 위주로 한다.

 ⑤ 몸 전체를 다스리는 종합적인 치료를 한다.


3. 중초(中焦)의 생리적 기능과 관계가 없는 것은 ?

 ① 승강(昇降)운동의 중추이다.

 ② 혈액(血液) 생화지원(生化之原)이다.

 ③ 비별청탁(泌別淸濁)작용을 한다.

 ④ 정미(精微)를 전신에 퍼뜨린다.

 ⑤ 진액(津液)의 기화작용(氣化作用)을 한다.


4. 소변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소변량이 많고 맑다. - 한증(寒證)

 ② 소변량이 적고 붉다. - 열증(熱證)

 ③ 소변이 잦다.        - 신양(腎陽)부족

 ④ 소변볼 때 아프다.   - 임증(淋證)

 ⑤ 밤에 오줌 싸는 것   - 신음(腎陰)부족


5. 오행의 상생상극은 생리상태이고 상승상모는 병리상태이다. 틀리는 것은 ?


 ① 화승목(火乘木)  ② 수승화(水乘火)  ③ 금생수(金生水)  ④금극목(金剋木)  ⑤ 토극수(土剋水)


6. 문맥순환과 관계없는 장기(臟器)는 ?

 ① 위(胃)      ② 대장(大腸)     ③ 췌장(膵臟)    ④ 신장(腎臟)    ⑤ 소장(小腸)


7. 다음 중 림프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이 아닌 것은 ?

 ① 비장(脾臟)    ② 췌장(膵臟)    ③ 편도(扁桃)    ④ 흉선(胸線)    ⑤ 모두 아니다.


8. “명문화(命門火)”는 실제상 어느 것을 가리키는가?

 ① 신장(腎臟)   ② 간장(肝 臟)    ③ 비장(脾臟)    ④ 심장(心臟)    ⑤ 모두 아니다.


9. 다음은 신(腎)에 관해 설명한 것이다. 잘못 기술한 것은 ?

 ① 인체의 각 장부조직기관을 자윤(滋潤)하고 유양(濡養)하는 것은 신음(腎陰)이고 온조(溫照)하고 촉진(促

    進)하는 것은 신양(腎陽)이다.

 ② 신(腎)은 작강지관(作强之官)으로서 정(精)을 저장하며 신지(神志)를 주관한다.

 ③ 신(腎)은 수액대사를 주관하며 납기(納氣)를 주관한다.

 ④ 신(腎)의 액은 침(唾)이며 그 정화(精華)는 두발(頭髮)에 나타난다.

 ⑤ “천계(天癸)”는 신(腎)의 정기(精氣)가 어느 정도 충만하였을 때 생겨나는 산물로 주요기능은 성선(性

    腺)의 발육을 촉진시켜 생식능력을 갖게 하는데 있다.


10. 음양(陰陽)에 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는 것은 ?

 ① 우주 만물의 성질과 변화이치에 대한 인식체계이다.

 ② 사물의 음양(陰陽) 속성은 절대적인 것이므로 상호 전화(轉化)하지 않는다.

 ③ 인체의 생리, 병리, 진단, 치료의 기초이론이며 임상수단이다.

 ④ 음(陰)이 허(虛)하면 내열(內熱)이 생기고, 양(陽)이 허(虛)하면 외한(外寒)이 생긴다.

 ⑤ 음증(陰證)의 병(病)이 있는 사람은 해가 뜨면 기분이 상쾌하고 몸이 편안해지며, 해가지면 병이 더하고

    기운이 없어진다.


11. 뜸의 보(補)하는 방법이다. 맞는 것은 ?

 ① 뜸쑥이 타들어 갈 때 바람을 보낸다.

 ② 뜸 장수(壯數)를 많이 한다.

 ③ 뜸봉을 단단하게 한다.

 ④ 잘 건조된 좋은 질의 뜸쑥을 사용한다.

 ⑤ 뜸뜨는 속도를 빠르게 거듭한다.


12. 비(脾)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 ?

 ① 운화(運化)를 주관한다.

 ② 수곡정미를 전화(轉化), 운송하며 기육(肌肉)과 사지를 충실케 한다.

 ③ 코피가 나거나 피하출혈이 나타나면 비기(脾氣)가 허약한 것으로 본다.

 ④ 사고(思考)가 과도하면 비기(脾氣)가 울결되어 운화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⑤ 비(脾)는 조(燥)를 좋아하는데 이는 원래 비(脾)가 허하면 쉽게 조(燥)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13. 초작구(焦灼灸)를 해야 할 경우이다. 아닌 것은 ?

 ① 티눈        ② 혹         ③ 감기         ④ 종기        ⑤ 독충에 쏘인데


14. 자연계와 인체의 오행분류에 맞는 것은?

 ① 목(木) : 풍(風), 동(東), 간(肝), 땀(汗)

 ② 화(火) : 여름, 심(心), 입(口), 희(喜)

 ③ 토(土) : 습(濕), 황(黃), 입술(脣), 군침(涎)

 ④ 금(金) : 백(白), 서(西), 피모(皮毛), 침(唾)

 ⑤ 수(水) : 겨울, 방광(膀胱), 노(怒), 귀(耳)


15. 오행(五行)의 속성 중 맞는 것은 ?

 ① 목(木) : 가색(稼穡)하고, 단맛이 작용한다.

 ② 화(火) : 윤하(潤下)라고 하며, 짠맛이 작용한다.

 ③ 토(土) : 곡직(曲直)을 말하고, 신맛이 작용한다.

 ④ 금(金) : 종혁(從革)이라 하고, 매운맛이 작용한다.

 ⑤ 수(水) : 염상(炎上)을 말하고, 쓴맛이 작용한다.


16. 육음(六陰)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

 ① 풍(風)은 양사(陽邪)이고, 개설(開泄)하는 성질이 있고 양위(陽位)를 침입한다.

 ② 한(寒)은 음사(陰邪)로서 양기(陽氣)를 손상시킨다.

 ③ 습(濕)은 음사(陰邪)이고 기(氣)의 순행을 저해하고, 잘 이동하고 자주 변한다.

 ④ 조(燥)는 폐(肺)를 쉽게 손상시킨다.

 ⑤ 화(火)와 열(熱)은 종양(腫瘍)을 발생시킨다.


17. 망진(望診)에서 안색(顔色)이 청색일 때의 병증이다. 거리가 먼 것은 ?

 ① 습증(濕症)    ② 통증(痛症)    ③ 한증(寒證)    ④ 어혈(瘀血)    ⑤ 경풍(驚風)


18. 설진(舌診)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설태(舌苔)는 위기(胃氣)에 의해 생긴다.

 ② 설태의 두께를 살펴 병사(病邪)가 침범된 깊이와 경중을 알 수 있다.

 ③ 설태가 황색이면 한사(寒邪)이고 백색(白色)이면 열사(熱邪)이다.

 ④ 심(心)의 병은 혀에 나타나고 심기(心氣)는 혀와 통한다.

 ⑤ 설질은 정기(正氣)의 허실, 설태는 사기(邪氣)의 강약과 성질을 살피는데 중요하다.


19. 망진(望診)시 오색주병(五色主病)의 내용이다. 연결이 잘못된 것은 ?

 ① 백색(白色) - 허한증(虛寒證), 실혈증(失血證)

 ② 황색(黃色) - 허증(虛證), 습증(濕證)

 ③ 흑색(黑色) - 신허(腎虛), 어혈증(瘀血證)

 ④ 적색(赤色) - 경풍(驚風), 열증(熱證)

 ⑤ 청색(靑色) - 한증(寒證), 통증(痛證)


20. 담음(痰飮)이란 수습(水濕)이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된 것을 말한다. 습(濕), 부종(浮       腫), 복부창만(腹部脹滿)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

 ① 비병(脾病)    ② 심병(心病)    ③ 간병(肝病)    ④ 폐병(肺病)    ⑤ 신병(腎病)




[ 주관식 문제 ]


문제 1 :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氣)는 원기(元氣), 종기(宗氣), 영기(營氣), 위기(衛氣)

         네 가지가 있다. 이중 위기(衛氣)의 주요기능에 대해 쓰시오.


문제 2 :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의 경혈명(經穴名) 및 주치범위(主治範圍)를 적어 넣으오.

구  분

경혈명(經穴名)

주치범위(主治範圍)

충  맥

음유맥

 

 

대  맥

양유맥

 

 

독  맥

양교맥

 

 

임  맥

음교맥

 

 

 






<제16회 뜸요법사 시험 문제ㆍ가형> 2008. 10. 19 시행

 

( 객관식 20문항×4점=80점 / 주관식 2문항×10점=20점 / 총 100점 만점 )



Ⅱ. 경락ㆍ경혈이론



1. 12경맥과 기경팔맥(奇經八脈)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

 ① 음경(陰經)은 부(腑)에 양경(陽經)은 장(臟)에 연계된다.

 ② 음경(陰經)과 양경(陽經)은 사지(四肢)에서 서로 만난다.

 ③ 3음경(陰經)은 흉복부(胸腹部)에서 이어진다.

 ④ 기경팔맥(奇經八脈)은 장부(臟腑)와 직접 연관성이 없다.

 ⑤ 기경팔맥(奇經八脈)은 12경맥의 기혈(氣血)을 조절한다.


2. 팔회혈(八會穴)의 경혈(經穴)과 주치증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① 기회(氣會) - 전중(膻中)      - 기병(氣病), 정서적 질환, 호흡기 질환

 ② 근회(筋會) - 양릉천(陽陵泉)  - 운동계통 질환

 ③ 혈회(血會) - 혈해(血海)      - 혈액관련질환, 순환계질환

 ④ 부회(腑會) - 중완(中脘)      - 육부(六腑)의 병증

 ⑤ 수회(髓會) - 현종(懸鍾)      - 뼈와 골수(骨髓)의 병증


3. 음경맥 중 유일하게 정수리까지 올라가 독맥과 만나는 경맥은 ?

 ① 수궐음심포경          ② 족태음비경            ③ 수태음폐경          ④ 족궐음간경           ⑤ 족소음신경


4. 다음은 각 경락의 시작 혈(穴)과 끝나는 혈(穴)의 연결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동자료(瞳子髎) -  족규음(足窺陰)    ② 소택(少澤)     -  청회(聽會)      ③ 용천(湧泉)     -  유부(兪府)

 ④ 대돈(大敦)     -  기문(期門)             ⑤ 천지(天池)     -  중충(中衝)


5. 다음 경맥의 순행과 사지(四肢) 말단과 연결이 잘못된 것은 ?

 ① 수궐음(手厥陰) - 가운데 손가락,   족궐음(足厥陰) - 셋째 발가락

 ② 수태양(手太陽) - 다섯째 손가락,   족태양(足太陽) - 다섯째 발가락

 ③ 수소양(手少陽) - 넷째 손가락,     족소양(足少陽) - 넷째 발가락

 ④ 수태음(手太陰) - 첫째 손가락,     족태음(足太陰) - 첫째 발가락

 ⑤ 수양명(手陽明) - 둘째 손가락,     족양명(足陽明) - 둘째 발가락


6. 십이경맥을 명명(命名)할 때 어떤 내용을 순서로 결합 하였는가 ?

 ① 음양(陰陽), 오행(五行), 장부(臟腑)  ② 오행(五行), 수족(手足), 음양(陰陽)  ③ 장부(臟腑), 수족(手足), 오행(五行)

 ④ 수족(手足), 음양(陰陽), 장부(臟腑)  ⑤ 장부(臟腑), 수족(手足), 한열(寒熱)


7. 다음 임맥(任脈)혈 중 신기(腎氣)를 진작(振作) 시키는 혈(穴)과 양기(陽氣)를 강장(强壯)하는 혈로서 족삼음

   경(足三陰經) ․ 교회혈(交會穴)은 ?

 ① 회음(會陰) ․ 음교(陰交)                   ② 석문(石門) ․ 중완(中脘)                 ③ 중극(中極) ․ 관원(關元)         

 ④ 신궐(神闕) ․ 구미(鳩尾)                   ⑤ 상완(上脘) ․ 전중(膻中)


8. 사총혈(四總穴)이 아닌 것은 ?

 ① 족삼리(足三里)           ② 태충(太衝)           ③ 열결(列缺)         ④ 합곡(合谷)              ⑤ 위중(委中)


9. 오수혈(五腧穴) 중 구급(救急), 심하만(心下滿), 신지병(神志病)에 활용하는 혈(穴)은 ?

 ① 경혈(經穴)       ② 형혈(滎穴)        ③ 합혈(合穴)        ④ 정혈(井穴)        ⑤ 수혈(輸穴)


10. 가운데 발가락은 12경맥 중 어느 경맥의 통제 하에 있는가?

 ① 족소양담경            ② 족양명위경          ③ 족태양방광경           ④ 족태음비경            ⑤ 족궐음간경


11. 골도 분촌법 중 잘못된 것은 ?

 ① 전발제에서 후발제까지 12촌

 ② 이마 두각 사이 9촌

 ③ 기골에서 배꼽까지 8촌

 ④ 대퇴골 대전자에서 오금횡문까지 19촌

 ⑤ 양 견갑골 내측연 사이 8촌


12. 원혈, 낙혈, 극혈의 조합이 맞는 것은 ?

 ① 합곡 - 온류 - 수삼리   ② 충양 - 합곡 - 양구   ③ 신문 - 통리 - 음극    ④ 경골 - 부양 - 금문  ⑤ 족임읍 - 광명 - 외구


13. 모혈(募穴)과 배유혈(背兪穴)의 조합이다. 잘못된 것은?

 ① 중부  -  폐유         ② 기문  -  비유         ③ 거궐  -  심유            ④ 천추  -  대장유          ⑤ 석문  -  삼초유


14. 오수혈(五腧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① 십이경맥의 기(氣)가 팔꿈치와 무릎관절 이하에 흘러드는 것을 물에 비유하여 이름한  혈이다.

 ② 정(井), 형(滎), 수(輸), 경(經), 합(合)의 순서로 되어 있다.

 ③ 합혈(合穴)은 경맥의 기(氣)가 깊게 들어가 장부에 이른다.

 ④ 경락의 기(氣)는 팔꿈치, 무릎방향에서 팔, 다리의 끝으로 흐른다.

 ⑤ 양경은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 음경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 (水) 순(順)이다.


15. 원혈(原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① 장부의 원기(原氣)가 지나가고 머무는 혈이다.

 ② 맥기(脈氣)의 성쇠, 장부의 허실(虛實)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③ 장부의 병변은 원혈에 반응이 나타나므로 원혈을 자극해서 치료한다.

 ④ 12정경(正經)에 하나씩 있다.

 ⑤ 양경(陽經)의 원혈은 오수혈 중 세 번째 수혈(輸穴)에 있다.


16. 경혈과 소속 경맥(經脈)이 잘못 짝 지워진 것은 ?

 ① 청회(聽會)  -  담경(膽經)         ② 풍지(風池)  -  담경(膽經)         ③ 예풍(翳風)  -  소장경(小腸經)

 ④ 청궁(聽宮)  -  소장경(小腸經)   ⑤ 이문(耳門)  -  삼초경(三焦經)


17. 팔회혈(八會穴)의 경혈과 주치(主治) 중 잘못된 것은 ?

 ① 수회(髓會)  -  현종  -  뼈와 골수의 병증

 ② 맥회(脈會)  -  태연  -  호흡기, 순환계 질병

 ③ 근회(筋會)  -  양릉천  -  운동계통 질병

 ④ 기회(氣會)  -  중부  - 기병(氣病), 호흡기 질환, 정서적 질환

 ⑤ 부회(腑會)  -  중완  -  육부(六腑)의 병증


18. 다음 중 원혈(原穴)이면서 팔회혈(八會穴)인 것은 ?

 ① 태연(太淵)   ② 태충(太衝)    ③ 충양(衝陽)    ④ 합곡(合谷)   ⑤ 족삼리(足三里)


19. 인체의 좌, 우측 음양(陰陽)을 주관하면서 눈을 자양하고 눈꺼풀의 열고 닫음과 하지의

    운동을 주관하는 경맥은 ?

 ① 임맥(任脈)           ② 독맥(督脈)           ③ 충맥          ④ 음유맥, 양유맥          ⑤ 음교맥, 양교맥


20. 온몸을 순행하는 기혈(氣血)의 요충(要衝)으로써 온몸에 필요한 기혈을 조절하며 “12경맥의 바다”, “오장육부의 바다”라고 부르는 경맥은 ?

 ① 임맥                    ② 독맥                ③ 대맥           ④ 양교맥, 음교맥          ⑤ 충맥

 

[ 주관식 문제 ]


문제 1. 경혈(經穴)은 장부(臟腑)의 기(氣)가 체표 부위에 모이고, 흐르고, 머무는 곳으로 체표, 경락, 장부가 상

          통하는 관점이다. 이 경혈로 치료되는 작용을 크게 3가지로 서술하시오.


문제 2. 육부하합혈(六腑下合穴)에 경혈명(經穴名)과 소재경맥을 적어 넣으시오.

육부(六腑)

경혈명(經穴名)

소재경맥(所在經脈)

 

 

대장

 

 

소장

 

 

방광

 

 

삼초

 

 

 

 

 



<제16회 뜸요법사 시험 문제ㆍ가형> 2008. 10. 19 시행

 

( 객관식 20문항×4점=80점 / 주관식 2문항×10점=20점 / 총 100점 만점 )



Ⅲ. 뜸요법 실기론



1. 팔강변증(八綱辯證)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병의 위치에 따라 표증(表證)과 이증(裏證)으로 나눈다.

 ② 병의 성질에 따라 열증(熱證)과 한증(寒證)으로 나눈다.

 ③ 병증의 진퇴(進退)에 따라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으로 나눈다.

 ④ 양증(陽證)은 허증(虛證), 열증(熱證), 표증(表證)을 포함한다.

 ⑤ 음증(陰證)은 한증(寒證), 이증(裏證), 허증(虛證)을 포함한다.


2. 창만(脹滿)과 동통(疼痛)이 있고 어반 혹은 징가적취 등이 있다면 ?

 ① 기허증(氣虛證)에 출혈이 생긴 것이다.

 ② 기(氣)가 혈탈(血脫)로 함께 이탈한 것이다.

 ③ 기체(氣滯)로 인한 어혈이다.

 ④ 기혈(氣血)이 경맥(經脈)에 영향을 못 준 것이다.

 ⑤ 혈허(血虛)로 인한 어혈이다.


3. 한열착잡에 속하지 않은 것은 ?

 ① 상열하한(上熱下寒)    ② 상한하열(上寒下熱)  ③ 표한이열(表寒裏熱)  ④ 진한가열(眞寒假熱)  ⑤ 표열이한(表熱裏寒)


4. 내장하수는 기(氣)의 어떤 병변인가 ?

 ① 기폐(氣閉)          ② 기탈(氣脫)           ③ 기함(氣陷)           ④ 기역(氣逆)          ⑤ 기체(氣滯)


5. 설진(舌診)에 관한 설명으로 연결이 적철치 못한 것은 ?

 ① 혀 가장자리에 치흔이 생김  -  비허증

 ② 혀 끝에 혓바늘이 돋음  -  비위의 실열

 ③ 담홍색의 설체  -  건강한 혀

 ④ 황색의 건조한 설태  -  열사의 침입

 ⑤ 백색의 설태  -  한사의 침입


6. 위장에 열이 있는 환자에게서 보이지 않는 증상은 ?

 ① 소곡선기(消穀善飢)       ② 구갈증(口渴症)       ③ 변비(便秘)       ④ 구취(口臭)        ⑤ 박백설태(薄白舌苔)


7. 어느 환자가 몸에 열이 나고 얼굴은 붉고 목이 마르다고 호소했으나 오히려 이불을 덮으려 하고 더운물을 좋아

   하며 많이 마시지 못한다. 소변은 청장(淸長) 상태이고 설태(舌苔)는 박백(薄白)의 상태다. 이 환자의 증상은 ?

 ① 진열가한               ② 진한가열             ③ 양성격음             ④ 한열전가             ⑤ 습열기허

 

8. 병맥에 관한 설명으로 연결이 적절하지 못한 것은 ?

 ① 부삭맥  -  표열증     ② 홍삭맥  -  외감열병    ③ 침지맥  -  이한증     ④ 현삭맥  -  풍담증   ⑤ 현세맥  -  간신음허


9. 중풍(中風)에 대한 설명으로 적철치 않은 것은 ?

 ① 중풍환자는 재발방지가 최우선이다.

 ② 중풍(中風)치료 칠요혈(七要穴)은 근(筋)을 다스리는 양릉천(陽陵泉)과 음(陰)을 보(補)하는 음릉천(陰陵泉)이 포함된

      다.

 ③ 지주막 출혈은 뇌출혈에 비해 발생하는 연령(年齡)이 비교적 젊다.

 ④ 중풍 치료는 꾸준한 뜸이 좋다.

 ⑤ 중풍 환자는 근력운동(筋力運動)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10. 진액부족으로 인한 증상이 아닌 것은 ?

 ① 입이 마르고 입술이 마르며 갈라진다.

 ② 소변이 짧고 적으며 대변이 건조하다.

 ③ 혀는 붉고 혓바닥은 건조하다.

 ④ 눈꺼풀과 상반신의 부종이 나타난다.

 ⑤ 이상에서는 답이 없다.


11. 호흡력이 감퇴되고 기침, 가래, 천식기가 있다. 평소 감기는 달고 살며, 식은땀도 자주 난다. 백태(白苔)에 허

      맥(虛脈)인 병증은 ?

 ① 폐기허(肺氣虛)      ② 신기허(腎氣虛)   ③ 폐열증(肺熱證)     ④ 폐습열증(肺濕熱證)    ⑤ 심폐양허증(心肺兩虛症)


12. 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습사(濕邪)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음사(陰邪)로서 기기(氣機)를 가로막아 쉽게 양기(陽氣)를 손상한다.

 ② 성질이 중탁(重濁)하다.

 ③ 점체(粘體)하는 성질이 있다.

 ④ 아래로 흐르는 성질이 있어 쉽게 음위(陰痿)를 유발한다.

 ⑤ 잘 이동하고 자주 변한다.


13. 육음(六淫)중 동통을 일으키게 하는 주된 사기(邪氣)는 ?

 ① 풍(風)       ② 한(寒)       ③ 습(濕)        ④ 서(暑)       ⑤ 화(火)


14. 위열(胃熱)과 관련된 병증에서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은 ?

 ① 위완부(胃脘部)가 쓰리고 아프다.

 ② 많이 먹어도 배가 고프다.

 ③ 구취(口臭)가 난다.

 ④ 변비증세가 있다.

 ⑤ 설태가 황적(黃赤)하다.


15. 풍(風)은 백병지장(百病之長)이라 했다. 풍(風)으로 인한 병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현기증(眩氣症), 현훈(眩暈)이 있다.

 ② 병(病)의 변화가 빠르다.

 ③ 통처(痛處)가 돌아다닌다.

 ④ 보통 초기(初期)의 병이다.

 ⑤ 풍병(風病)이 오면 몸 전체가 짓누르듯 아프며 오래가는 것이 특징이다.


16. 가슴이 답답하고 심신(心神)이 불안한데 건망증도 겸하고 귀에서 소리도 난다. 허리와  무릎도 시큰거리고 오

     심번열(五心煩熱)이 나타나는데 변증(辨證)을 한다면 ?

 ① 심신불교(心腎不交)   ② 심비양허(心脾兩虛)  ③ 비신양허(脾腎兩虛)   ④ 간위불화(肝胃不和)   ⑤ 간비부조(肝脾不調)


17. 도한(盜汗)과 거리가 먼 것은 ?

 ① 허약 체질이나 과로 후 쇠약해진 경우 잘 나타난다.

 ② 잘 때 땀나고 깨면 없어진다.

 ③ 양허증(陽虛證)으로 발생하며 오후에 더욱 심해진다.

 ④ 도한은 증기(蒸氣)같아서 소금기는 없다.

 ⑤ 도한(盜汗)은 허증(虛症)이므로 폐를 보(補)하는 뜸을 뜨면 치유된다.


18. 간풍내동(肝風內動)과 관련이 적은 것은 ?

 ① 간음(肝陰)이 허(虛)하여 간양(肝陽)을 제어하지 못해서 발생한다.

 ② 신음허(腎陰虛)가 간음허(肝陰虛)를 유발한 것이 원인이다.

 ③ 각궁반장(角弓反張)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④ 외적 증상은 실증(實證)이지만 병인은 간음허증(肝陰虛證)이다.

 ⑤ 음액(陰液) 고갈이 기본 병리이므로 혈압 역시 저혈압(低血壓)으로 나타난다.


19. 전신이 허약하고 얼굴도 창백하며 가슴이 두근거린다. 손발이 저리기도 하고 어지럽고  눈도 침침하다. 어느

     병증(病證)인가 ?

 ① 혈허증(血虛證)      ② 혈어증(血瘀證)      ③ 기체증(氣滯證)        ④ 양허한증(陽虛寒證)        ⑤ 혈한증(血寒證)



20. 가슴을 옥죄는 듯한 통증이 심하고 심하면 어깨까지 아프다. 간헐적으로 통증이 반복되고 심계(心悸)증상도

     발생한다. 가장 관계된 변증(辨證)을 고르시오 ?

 ① 담미심규(痰迷心窺)    ② 심맥비조(心脈痺阻)  ③ 담화요심(痰火擾心)   ④ 심폐양항(心肺陽亢)  ⑤ 간풍내동(肝風內動)



[ 주관식 문제 ]


문제 1. 눈(目, 眼)은 전체적으로 간(肝)의 개규처(開窺處)로 간(肝)의 상태를 반영하고 각 장부(臟腑)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눈의 각 부분별로 연관되어 있는 오장(五臟)과의 관계를 기재 하시오.

구  분

관련 장부(臟腑)

오륜(五輪) 명칭

눈의 내외자(目內․ 外眥)

 

 

눈의 검은 자위

 

 

눈의 흰자위

 

 

눈의 동공

 

 

눈의 눈꺼풀(안검)

 

 

 



문제 2. 육경변증(六經辨證)에 의한 질병의 전변순서를 순서에 입각해서 기술하시오.



뜸요법기록부 작성


- 가 형 -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사는 김복실씨는 1968년 1월 10일생으로,

  일찍 남편과 사별하고 금년 중학교 1학년인 아들과 단 둘이 살고 있으며

  개인기업체의 사무경리직으로 근무하고 있다.

    성격은 예민한 편이며, 작은 일에도 잘 놀라고 항상 초조하고 불안한

  상태며 불면증과 함께 간혹 태양혈 주위로 측두통 증세가 나타난다.

    생리는 불규칙하며 빠르기도 하고 예정일 보다 늦기도 하며 생리혈은

  자색에 가까운 붉은 색이며 혈괴가 섞여 있다고 한다.

    생리 전에는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아무 것도 아닌 일에 화를 잘 내며

  심하면 먹는 것도 토할 때도 있다고 한다.

    핏기가 없는 얼굴이며 혀는 약간 선홍색이고 현세맥을 보이고 있다.

 

 

  ☞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진료기록부 해당란에 빠짐없이 기재하시고,

     진단변증(診斷辨證)과 처방 및 처방풀이를 답안지에 차례대로 설명

     하십시오.

 

  1. 변 증

 

 

 

  2. 처 방

 

 

 

  3. 처방풀이

 

 

 

 

 

 

뜸요법기록부 작성


- 나 형 -

 

    서울시 동작구 사당동에 사는 김복순씨는 1965년생으로 공무원인 남편

  과 자녀2명을 둔 평범한 가정의 주부다.

   약해 보이는 체격이지만 큰 병 없이 근검절약을 생활신조로 지금까지

  가정을 알뜰살뜰하게 꾸려온 보통의 주부다.

   성격은 다소 내성적이며 항상 2자녀의 진학문제나 남편의 건강문제에

  골몰하면서 생활해 왔는데 최근 1년 전부터 몸이 심하게 지치고 피곤하

  면서도 잠이 잘 오지 않고 가슴이 수시로 두근거리며 답답한 증세가 나

  타나기 시작했다.

    앉았다가 일어나면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당기며 다리에 힘이 없다고

  한다. 가슴에 항상 열감이 있고 얼굴이 화끈거리며 수시로 땀이 나 하루

  에도 몇 번 속옷을 갈아입는다고 한다.

    혀는 약간 붉고 건조한 편이며 세삭맥을 보이고 주호소증은 불면과 상

  열증이다.

 

  ☞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진료기록부 해당란에 빠짐없이 기재하시고,

     진단변증(診斷辨證)과 처방 및 처방풀이를 답안지에 차례대로 설명

     하십시오.

 

  1. 변 증

 

 

  2. 처 방

 

 

  3. 처방풀이

 

 

 

 

 

 

제16회 객관식 문제 정답


������가형


Ⅰ. 뜸요법 기초이론

1

4

6

4

11

4

16

3

2

3

7

2

12

5

17

1

3

5

8

1

13

3

18

3

4

5

9

2

14

3

19

4

5

1

10

2

15

4

20

1

 


Ⅱ. 경락․경혈학 이론

1

1

6

4

11

5

16

3

2

3

7

3

12

3

17

4

3

4

8

2

13

2

18

1

4

2

9

4

14

4

19

5

5

1

10

2

15

5

20

5

 


Ⅲ. 뜸요법 실기론

1

4

6

5

11

1

16

1

2

3

7

2

12

5

17

3

3

4

8

4

13

2

18

5

4

3

9

2

14

1

19

1

5

2

10

4

15

5

20

2

 



주관식 답안


1. 뜸요법 기초이론


문제 1 :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氣)는 원기(元氣), 종기(宗氣), 영기(營氣), 위

         기(衛氣) 네 가지가 있다. 이중 위기(衛氣)의 주요기능에 대해 쓰시오.


답 : ① 신체의 표면을 보호하여 외사의 침입을 막는다.

        위기는 피부 사이에 충만하여 주리의 개폐를 주관하는데, 마치 방어선처럼 기육(肌肉)을 감싸 외사

        에 저항하여 체내를 보호한다.

     ② 장부, 기육, 피모 등을 온양(溫養)한다.

        위기는 안으로는 장부를, 밖으로는 기육, 피모를 온양하며 전신을 따뜻하게 보온함

     ③ 주리를 열고 닫음으로써 땀의 분비를 조절하고 통제한다.

        땀의 근원은 영혈(營血)과 진액이나 땀의 분비여부는 위기의 통제와 조절에 의존함



문제 2 :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의 경혈명 및 주치범위(主治範圍)를 적어 넣으시오.

경맥(經脈)

경혈명(經穴名)

주치범위(主治範圍)

충맥, 음유맥

공손(公孫), 내관(內關)

 심(心), 가슴(胸), 위(胃)

대맥, 양유맥

임읍(臨泣), 외관(外關)

 눈외각, 귀 뒤, 어깨, 목 앞, 뺨

독맥, 양교맥

후계(後谿), 신맥(申脈)

 눈내각, 목 뒤, 귀, 어깨

임맥, 음교맥

열결(列缺), 조해(照海)

 폐계(肺系), 인후(咽喉), 흉격(胸膈)

 



2. 경락경혈학 답안


문제 1. 경혈(經穴)은 장부(臟腑)의 기(氣)가 체표 부위에 모이고, 흐르고, 머무는 곳으로 체표, 경락, 장부가 상

          통하는 관점이다. 이 경혈로 치료되는 작용을 크게 3가지로 서술하시오.


<답>

 ① 근치작용 : 경혈은 위치한 부위와 가까운 인근 조직, 기관의 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

 ② 원치작용 : 십이경맥의 주관절과 슬관절 이하의 경혈은 국부의 병을 치료할 뿐 아니라, 경맥이 순행하는 먼 부위의 조직,

     기관, 장부의 병도 치료한다.

 ③ 특수작용 : 일부 경혈은 병증의 양면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데 작용을 한다.


문제 2. 육부하합혈(六腑下合穴)에 경혈명(經穴名)과 소재경맥을 적어 넣으시오.

육부(六腑)

경혈명(經穴名)

소재경맥(所在經脈)

족삼리

족양명경

대장

상거허

족양명경

소장

하거허

족양명경

방광

위중

족태양경

삼초

위양

족태양경

양릉천

족소양경

 



3. 뜸요법 실기론


문제 1. 눈(目, 眼)은 전체적으로 간(肝)의 개규처(開窺處)로 간(肝)의 상태를 반영하고 각 장부(臟腑)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눈의 각 부분별로 연관되어 있는 오장(五臟)과의 관계를 기재 하시오.

구  분

관련 장부(臟腑)

오륜(五輪) 명칭

 눈의 내외자(目內․ 外眥)

심장

혈륜

 눈의 검은 자위

간장

풍륜

 눈의 흰자위

폐장

기륜

 눈의 동공

신장

수륜

 눈의 눈꺼풀(안검)

비장

육륜

 



문제 2. 육경변증(六經辨證)에 의한 질병의 전변순서를 순서에 입각해서 기술하시오.


  답 : 태양경 → 양명경 → 소양경 → 태음경 → 소음경 → 궐음경

 

'建康 散步 > 침구사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뜸요법사 시험 문제ㆍ가형  (0) 2015.08.07
침뜸요법 시함문제  (0) 201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