建康 散步/침구사 문제

침뜸요법 시함문제

초암 정만순 2014. 7. 27. 10:32

 

침뜸요법 시함문제

( 객관식 20문항×4점=80점 / 주관식 2문항×10점=20점 / 총 100점 만점 )

 

Ⅰ. 침뜸요법 기초이론

1. 음양(陰陽)에 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양(陽)이 승(勝)하면 음병(陰病)이 생기고 음(陰)이 승(勝)하면 양병(陽病)이 생긴다.

② 음(陰)은 속에 꽉 차고 양(陽)은 고밀(固密)하게 해야 정(精)과 신(神)이 비로소 다스려 진다.

③ 태극(太極)이 동(動)하면 양(陽)을 생하고 정(靜)하면 음(陰)을 생한다.

④ 좌우(左右)는 음양(陰陽)의 징조(徵兆)이다.

⑤ 음양(陰陽)이 동(動)하여 한열(寒熱)이 되고 변(變)하여 기혈(氣血)이 된다.

2. 다음 중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설명이 틀린 것은 ?

① 인체를 비롯한 사물의 현상은 반드시 대립적인 두 요소의 성질이 작용해 나타난다.

② 음양(陰陽)와 오행(五行)은 태극(太極)의 한 기(氣)에서 나누어진 변화이다.

③ 오행(五行)의 각각은 음(陰)과 양(陽)으로 다시 변화 할 수 없다.

④ 사물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지속 현상은 다섯 요소의 속성과 상호 관계로 이루어진다.

⑤ 오행(五行)의 목(木)․화(火)는 팽창과정이므로 양(陽)에 속하고, 금(金)․수(水)는 수축과정이기 때문에 음(陰)에 속한다.

3. 다음은 자연계와 인체의 오행(五行)분류를 나열한 것이다. 맞게 연결된 것은 ?

① 목(木) - 간(肝) - 풍(風) - 신맛(酸) - 눈(目) - 걷기(行) - 백(魄)

② 토(土) - 비(脾) - 습(濕) - 단맛(甘) - 입(口) - 눕기(臥) - 의(意)

③ 수(水) - 신(腎) - 한(寒) - 짠맛(鹹) - 귀(耳) - 서기(立) - 혼(魂)

④ 금(金) - 폐(肺) - 조(燥) - 매운맛(辛) - 코(鼻) -앉기(坐) - 지(志)

⑤ 화(火) - 심(心) - 열(熱) - 쓴맛(苦) - 혀(舌) - 보기(視) - 신(神)

4.『소문(素問) ․ 영란비전론(靈蘭秘典論)』에 보면 각 장부(臟腑)들은 제각기 맡은 바 직분을 가지고 있으면서 상호 작용을 통해 완전한 정체성과 통일성을 이루고 있음을 논술하고 있다. 다음 중 여기에서 붙여진 직분이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간(肝) - 장군지관(將軍之官), 담(膽) - 중정지관(中正之官)

② 심(心) - 군주지관(君主之官), 소장(小腸) - 수성지관(受盛之官)

③ 비(脾胃) - 간의지관(諫議之官), 위(胃) - 창름지관(倉廩之官)

④ 폐(肺) - 상부지관(相傅之官), 대장(大腸) - 전도지관(傳導之官)

⑤ 신(腎) - 작강지관(作强之官), 방광(膀胱) - 결독지관(決瀆之官)

5. 다음 오장(五臟)의 생리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

가) 간(肝)은 혈(血)의 저장을 주관한다.

나) 폐는 수도(水道)를 소통시키고 조절한다.

다) 심(心)은 혈액의 통섭(統攝)을 주관한다.

라) 비(脾)는 상승(上昇)시키는 기능을 주관한다.

마) 신(腎)은 기(氣)를 받아들이는 기능을 주관한다.

① 가, 나, 다 ② 가, 나. 라, 마 ③ 가, 다. 라, 마,

④ 가, 나, 다, 라 ⑤ 가, 나, 다, 라, 마

6. 기(氣)의 실조(失調)는 주요하게 두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그 중 기기실조(氣機失調)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기체(氣滯) ② 기허(氣虛) ③ 기역(氣逆) ④ 기함(氣陷) ⑤ 기폐(氣閉)

7. 뜸의 자극량(刺戟量)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 ?

① 한 부위에 뜸 하는 횟수를 장수(壯數)라고 한다.

② 뜸봉의 크기에 따라서도 자극량에 차이가 있다.

③ 미립대(米粒大)나 반미립대(半米粒大) 이하는 가벼운 자극이고

그 이상은 강한 자극이다.

④ 뜸봉이 단단하게 뭉쳤으면 오래타나 자극량과는 관계가 없다.

⑤ 초작구(焦灼灸)에는 뜸 부위가 새카맣게 타도록 50장 ~ 100장 정도 한다.

8. 다음 자침 수기(手技)중 잘못된 것은 ?

① 사자(斜刺)는 피부면에 자입되는 각도가 20도에서 70도이다.

② 간헐술(間歇術)은 자입한 침을 중간까지 빼고 약간 멈췄다가 다시

자입하기를 반복하는 방법이다.

③ 옥루술(屋漏術)은 목적하는 깊이까지 3단계로 나누어 자입하는 방법이다.

④ 선연술(旋撚術)은 침을 오른쪽이나 왼쪽 중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입해 목적하는 깊이에 이르면 반대방향으로 회전해 발침(拔鍼)하는 방법이다.

⑤ 작탁술(雀啄術)은 목적하는 깊이로 자입한 침을 상하로 빠르게

진퇴(進退)시켜 강한 자극을 준다.

9. 침뜸의학 관점이다.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① 인체 스스로의 힘으로 사기(邪氣)를 물리치도록 도와준다.

② 주로 병난 곳의 물질적 조직을 찾아내어 직접 치료한다.

③ 내적인 생명력을 기르고 생리 부조화를 균형 잡도록 한다.

④ 근본 이치를 깨치면 누구나 할 수 있도록 열려 있다.

⑤ 환자의 체질이나 증상, 환경을 고려한다.

10. 음양관계에서, 음극(陰極)하면 양(陽)이 되고, 양극(陽極)하면 음(陰)이 된다는

법칙(法則)은 무엇인가?

① 음양(陰陽)의 상호대립(相互對立)

② 음양(陰陽)의 상호전화(相互轉化)

③ 음양(陰陽)의 상호소장(相互消長)

④ 음양(陰陽)의 상호의존(相互依存)

⑤ 음양(陰陽)의 상호제약(相互制約)

11. 무극보양뜸의 경혈(經穴)과 주치증(主治症)의 관계가 부적절한 것은?

① 족삼리(哫三里) - 사지권태(四肢倦怠), 위경련

② 곡지(曲池) - 피부병, 변비

③ 중완(中脘) - 식욕부진, 위하수(胃下垂)

④ 기해(氣海) - 신장질환, 생식기질환

⑤ 폐유(肺兪) - 안질(眼疾), 황달(黃疸)

12. 육부(六腑)의 공통적인 생리기능이 아닌 것은?

① 소화(消化) ② 흡수(吸收) ③ 전도(傳導)

④ 배설(排泄) ⑤ 화생(化生)

13. 기(氣)의 생리작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추동(推動) ② 방어(防禦) ③ 기화(氣化)

④ 생식(生殖) ⑤ 고섭(固攝)

14. 뜸 치료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 ?

① 다장구(多壯灸) : 10장(壯)이상 한다.

② 연장구(年長灸) : 자기의 나이수대로 뜸한다.

③ 연속구(連續灸) : 불이 꺼지지 않게 계속 쑥을 붙여 뜸한다.

④ 사상구(絲狀灸) : 아이들에게만 하는 뜸이다.

⑤ 투열구(透熱灸) : 열이 속으로 들어가게 연속으로 뜸한다.

15. 내상칠정(內傷七情)은 내장(內臟) 기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질병을

발생시킨다. 알맞게 표현된 것은 ?

① 생각이 너무 과하면 마음을 상하게 한다.

② 지나치게 노(怒)하면 신(腎)을 상하게 한다.

③ 지나치게 두려워 하면 비(脾)를 상하게 한다.

④ 과도하게 슬퍼하면 폐(肺)를 상하게 한다.

⑤ 너무 기뻐하면 간(肝)을 상하게 한다.

16. 다음은 위기(衛氣)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맥(脈)의 외부를 흐르는 기(氣)이다.

② 기표(肌表)를 보호하여 외사(外邪)의 침입을 막는다.

③ 장부(臟腑), 근육(筋肉), 피모(皮毛)를 온후(溫煦)하고 충양(充養)한다.

④ 기도(氣道)를 통해 호흡작용을 한다.

⑤ 주리(腠理)를 열고 닫음으로써 땀의 분비를 조절하고 통제한다.

17. 담음(痰飮)은 수습(水濕)이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된 것을 말한다.

습(濕), 부종(浮腫), 복중창만(腹中脹滿)은 다음 어디에 속하는가?

① 신병(腎病) ② 비병(脾病) ③ 폐병(肺病)

④ 간병(肝病) ⑤ 심병(心病)

18. 다음은 음허(陰虛)로 인한 열(熱)에 대한 증상이다.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① 오심번열(惡心煩熱) ② 오한발열(惡寒發熱)

③ 설홍태박황(舌紅苔薄黃) ④ 맥세삭(脈細數)

⑤ 오후발열(午後發熱), 도한(盜汗)

19. 인체의 가장 크고 긴 신경으로 대퇴의 대퇴신근 및 하퇴의 굴근에 대한

운동지배와 대퇴후부와 피부에 대한 감각을 지배한 신경은?

① 비골신경(排骨神經) ② 천골신경(薦骨神經) ③ 경골신경(脛骨神經)

④ 좌골신경(坐骨神經) ⑤ 미주신경(迷走神經)

20. 다음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① 담낭(膽囊)은 소화에 필요한 담즙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② 인체(人體)는 세포-조직-기관-계통의 구조적 단계로 구성된다.

③ 소장(小腸)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 폐동맥에는 정맥혈이 흐르고, 대동맥에는 동맥혈이 흐른다.

⑤ 중풍치료 및 예방에 뜸이 좋은 이유는 세포재생 및 탄력성 증가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주관식 문제 ]

문제1. 뜸의 효능에 대해 5가지 이상 기술하라.

① 세포움직임을 활발하게 한다

② 혈액순환을 좋게한다.

③ 혈액의 성분에 변화를 준다.-적혈구, 백혈고 증가, 식균작용, 면역작용.

④ 호르몬 분비에 조절작용이 있어 병에 대한 저항력 증가.

⑤ 신경기능을 조절한다.

⑥ 근육피로를 없앤다.

⑦ 내장기능을 조절한다.

⑧ 진통작용-국소적인 근육긴장을 풀어 통증을 내는 물질을 분리시켜 버린다.

⑨ 전조작용-체중증감, 감정의 변화 체질개선등

문제2.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氣)는 원기(元氣), 종기(宗氣), 영기(營氣),

위기(衛氣) 네가지가 있다. 각각 기(氣)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0점)

원기(元氣):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선천적인 정기(精氣)를 바탕으로

신(腎)의 생리작용에 의해 만들어지고 후천의 영양으로 보충된다.

종기(宗氣):폐(肺)가 자연으로부터 흡수한 청기(淸氣)와 비위(脾胃)가

만든 수곡정기(收穀精氣)가 폐(肺)에서 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영기(營氣):비위(脾胃)에서 만들어진 수곡정기(收穀精氣)가 맥(脈)에

들어가 변화된 것이다. 영기(營氣)는 혈(血)을 만들고 온 몸을 영양한다.

위기(衛氣):비위(脾胃)에서 만들어진 수곡정기(收穀精氣)가 맥(脈) 밖으로

나와 만들어진 것이다. 위기(衛氣)는 피부 표면을 보호하여

사기(邪氣)의 침입을 막고, 장부(臟腑)를 따뜻하게 하고 피모(皮毛)를

윤택하게 하며, 주리(腠理)를 열고 닫아 땀의 배설과 체온을

조절한다.

제26기 정회원 가입시험 필기문제ㆍA형 2012. 11. 18 시행

( 객관식 20문항×4점=80점 / 주관식 2문항×10점=20점 / 총 100점 만점 )

Ⅱ. 경락ㆍ경혈이론

1. 다음 각 경락(經絡)의 시작 혈(穴)과 끝나는 혈(穴)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① 동자료(瞳子髎) - 족규음(足竅陰)

② 용천(湧泉) - 유부(兪府)

③ 영향(迎香) - 은백(隱白)

④ 대돈(大敦) - 기문(期門)

⑤ 천지(天池) - 중충(中衝)

2. 특정혈(特定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장부(臟腑)의 원기가 경과하거나 머무르는 경혈(經穴)은 낙혈(絡穴)이다.

② 표리(表裏)관계의 두 경맥(經脈)을 통하게 하는 경혈(經穴)은 원혈(原穴)이다.

③ 배유혈(背兪穴)은 장부(臟腑)의 기(氣)가 흉복부의 특정부위에 모여 있는 경혈이다.

④ 모혈(募穴)은 장부(臟腑)의 기(氣)가 등부위 특정부위에 흐르는 경혈이다.

⑤ 뼈와 살 사이에 있으면서 기혈(氣血)이 깊게 모이는 경혈은 극혈(郄穴)이다.

3. 다음 중 정ㆍ합혈(井ㆍ合穴)의 배혈(配穴)이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대돈(大敦) - 곡천(曲泉)

② 여태(厲兌) - 족삼리(足三里)

③ 은백(隱白) - 음릉천(陰陵泉)

④ 지음(至陰) - 위양(委陽)

⑤ 소상(少商) - 척택(尺澤)

4. 육부(六腑)의 기(氣)가 다리의 족삼양경(足三陽經)과 합해진 하합혈(下合穴)을

나열한 것이다. 틀리게 연결한 것은 ?

① 위(胃) - 족삼리(足三里) - 족양명(足陽明)

② 대장(大腸) - 상거허(上巨虛) - 족양명(足陽明)

③ 소장(小腸) - 하거허(下巨虛) -족양명(足陽明)

④ 방광(膀胱) - 위중(委中) - 족태양(足太陽)

⑤ 담(痰) - 음릉천(陰陵泉) - 족소양(足少陽)

5. 배부(背部)의 혈(穴)을 횡열(橫列)로 나열했다. 틀린 것은 ?

① 명문(命門) - 신유(腎兪) - 지실(志室)

② 척중(脊中) - 위유(胃兪) - 위창(胃倉)

③ 중추(中樞) - 담유(膽兪) - 양강(陽綱)

④ 근축(筋縮) - 간유(肝兪) - 혼문(魂門)

⑤ 지양(至陽) - 격유(膈兪) - 격관(膈關)

6. 다음 골도분촌법(骨度分寸法)상 맞는 것은 ?

① 양(兩) 유양돌기(乳樣突起) 사이는 7촌이다.

② 양(兩) 액발각(額髮角) 사이는 8촌이다.

③ 외과첨(外踝尖)에서 슬중(膝中)까지는 15촌이다.

④ 둔하횡문(臀下橫紋)에서 슬중(膝中)까지는 14촌이다.

⑤ 대퇴골대전자(大腿骨大轉子)에서 슬중(膝中)까지는 18촌이다.

7. 다음은 혈성(穴性)을 설명한 것이다. 보기(補氣)혈이 아닌 것은?

① 중완(中脘) ② 복류(復溜) ③ 관원(關元)

④ 족삼리(足三里) ⑤ 기해(氣海)

8. 각 경락(經絡)의 원(原), 락(絡), 모혈(募穴)의 짝짓기가 틀린 것은?

①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태연(太淵), 열결(列缺), 중부(中府)

②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합곡(合谷), 편력(偏歷), 천추(天樞)

③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충양(衝陽), 풍륭(豊隆), 중완(中脘)

④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신문(神門), 통리(通里), 전중(顫中)

⑤ 수태양소장경(水太陽小腸經)---완골(腕骨), 지정(支正), 관원(關元)

9. 배요부(背腰部)의 척추 양방(兩傍)의 유혈은 진단과 치료 양면에서 중요한 혈(穴)

이다. 위치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대장유(大腸兪)---제4요추 극돌하 양옆 1.5촌

② 간유(肝兪)---제9흉추 극돌하 양옆 1.5촌

③ 심유(心兪)---제6흉추 극돌하 양옆 1.5촌

④ 비유(脾兪)---제11흉추 극돌하 양옆 1.5촌

⑤ 삼초유(三焦兪)---제1요추 극돌하 양옆 1.5촌

10. 장부(臟腑)의 급성질환에 쓰이는 극혈(郄穴)과 해당 장기의 연결이 틀린 것은?

① 신경(腎經)---수천(水泉)

② 위경(胃經)---양구(梁丘)

③ 심포경(心包經)---극문(郄門)

④ 담경(膽經)---외구(外丘)

⑤ 방광경(膀胱經)---경골(京骨)

11. 하거허(下巨虛)혈은 해계(解谿)혈 위 어느위치에 있는가?

① 4촌(寸) ② 7촌(寸) ③ 9촌(寸) ④ 10촌(寸) ⑤ 5촌(寸)

12. 신궐(神闕)과 수평선(水平線) 상에 있는 경혈(經穴)이 아닌 것은?

① 천주(天柱) ② 명문(命門) ③ 대횡(大橫)

④ 지실(志室) ⑤ 대맥(帶脈)

13. 다음중 취혈(取穴)법으로 잘못된 것은?

① 척택(尺澤)은 주관절(肘關節)을 가볍게 구부려 그 횡문상에서 상완이두근건

의 외측에서 취한다.

② 곡천(曲泉)은 무릎을 구부려 생긴 내측(內側)가로금의 외단(外端)에서 취한다.

③ 복류(復溜)는 태계(太谿)의 상방 2촌에서 취한다.

④ 불용(不容)은 신궐(神厥)의 상방 5촌에서 전정중선 옆으로 2촌에서 취한다.

⑤ 통리(通里)는 신문(神門)의 상방 1촌에서 취한다.

14. 발가락 중지(中趾)는 어느 장부(臟腑) 경맥의 통제하에 있는가?

①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②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③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④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⑤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15. 심(心)은 혈을 주관하고 간(肝)은 혈을 저장한다. 심유(心兪)와 간유(肝兪)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혈위로서 혈회혈(血會穴)에 속하는 것은?

① 지양(至陽) ② 궐음유(厥陰兪) ③ 고황(膏肓)

④ 격유(膈兪) ⑤ 비유(脾兪)

16. 다음 중 팔풍혈(八風穴)과 서로 중복되는 혈은?

① 태충(太衝) ② 함곡(陷谷) ③ 협계(俠谿)

④ 지오회(地五會) ⑤ 통곡(通谷)

17. 임맥(任脈) 상 모혈(募穴)의 수는 몇 개 혈인가?

① 3혈 ② 4혈 ③ 5혈 ④ 6혈 ⑤ 7혈

18. 부병(腑病)을 치료하려면 오수혈(五輸穴) 중 어떤 혈을 취해야 하나?

① 경혈(經穴) ② 정혈(井穴) ③ 합혈(合穴)

④ 수혈(輸穴) ⑤ 형혈(滎穴)

19. 사총혈(四總穴)이 아닌 것은?

① 합곡(合谷) ② 태충(太衝) ③ 족삼리(足三里)

④ 위중(委中) ⑤ 열결(列缺)

20. 코 주위에 있는 경혈이 아닌 것은?

① 소료(素髎) ② 화료(禾髎) ③ 지창(地倉)

④ 수구(水溝) ⑤ 영향(迎香)

[ 주관식 문제 ]

문제1. 다음 빈칸에 십이경맥(十二經脈)의 접속부위를 써넣으시오. (10점)

1) 수삼음경(手三陰經)과 수삼양경(手三陽經)은 손에서 만나고

수삼양경(手三陽經)과 족삼양경(足三陽經)은 ( )에서 만난다.

2) 족삼양경(足三陽經)과 족삼음경(足三陰經)은 ( )에서 만난다.

3) 족삼음경(足三陰經)과 수삼음경(手三陰經)은 ( )에서 만난다.

4)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과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은 둘째손가락에서

만나고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과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은 ( )에서 만난다.

5)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과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은 심중(心中)에서 만나고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과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은 ( )에서 만난다.

1) 머리 2) 발 3) 흉복부 4) 엄지발가락 등쪽 5) 심계

문제2. 다음 빈칸에 팔회혈(八會穴) 혈명과 주치(主治)를 쓰시오.(10점)

팔회혈(八會穴)

혈명

주치증

장(臟)

장문(章門)

( ① )의 병증

부(腑)

중완(中脘)

( ② )의 병증

기(氣)

( ③ )

기병(氣病), 정서적 질환, 호흡기 질환

혈(血)

격유(膈兪)

순환계 질환

근(筋)

( ④ )

운동계통 질환

맥(脈)

태연(太淵)

호흡기, 순환계 질환

골(骨)

대저(大杼)

뼈 질환

수(髓)

( ⑤ )

뼈, 골수 질환

1)오장(五臟) 2)육부(六腑) 3)전중(膻中) 4)양릉천(陽陵泉) 5)현종(縣鐘)

제26기 정회원 가입시험 필기문제ㆍA형 2012. 11. 18 시행

( 객관식 20문항×4점=80점 / 주관식 2문항×10점=20점 / 총 100점 만점 )

Ⅲ. 침뜸요법 실기론

1. 신(神)이 가장 집약되어 나타나는 부위는 ?

① 귀(耳) ② 코(鼻) ③ 입(口) ④ 눈(眼) ⑤ 혀(舌)

2. 면색(面色)이 창백한 환자가 더운물을 마시길 좋아하며 설사를 한다. 맥진에서 잡히는 맥은 ?

① 침지맥(沈遲脈) ② 세삭맥(細數脈) ③ 침현맥(沈弦脈)

④ 삭맥(數脈) ⑤ 활삭맥(滑數脈)

3. 가슴을 옥죄는 듯한 통증이 심하고 심하면 어깨까지 아프다. 간헐적으로 통증이 반복되고 심계(心悸)증상도 발생한다. 가장 관계된 변증(辨證)을 고르시오 ?

① 담미심규(痰迷心竅) ② 심맥비조(心脈痺阻)

③ 담화요심(痰火擾心) ④ 심폐양항(心肺陽亢)

⑤ 간풍내동(肝風內動)

4. 신양허(腎陽虛)와 신음허(腎陰虛)를 구분할 수 있는 증상은 ?

① 이명(耳鳴) ② 현훈(眩暈) ③ 이롱(耳聾) ④ 신통(身痛) ⑤ 한증(寒症)과 내열(內熱)

5. 소장(小腸) 실열증(實熱證)에서 나타나는 증상(症狀)이 아닌 것은?

① 소변이 붉고 순조롭지 못하다.

② 소변 볼 때 불에 덴 것처럼 아프다.

③ 소변에 사석(沙石)이 생긴다.

④ 혀는 붉고 맥은 삭하다

⑤ 입과 혀가 헌다.

6. 환자가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며 숨이 차고 말하기 싫어하며 기운이 없다.

식은땀이 나며 안색은 담백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이 오지 않는다. 설색은 연하고

부드러우며 세약맥(細弱脈)이 나타난다면 그 증후는?

① 간혈허(肝血虛) ② 심혈허(心血虛) ③ 중기하함(中氣下陷)

④ 기혈양허(氣血兩虛) ⑤ 기불섭혈(氣不攝血)

7. 다음(7번~8번) 환자의 변증은 ?

환자는 눈과 입이 삐뚤어지고 안면근육이 늘어지며 눈꺼풀이 힘없이 쳐진다.

숨이 차고 말소리는 낮고 안색이 연하고 설질은 담백하고 맥은 침세맥이 나타난다.

① 기혈허증으로 인한 구안와사

② 풍담증으로 인한 구안와사

③ 풍한증으로 인한 구안와사

④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인한 구안와사

⑤ 중기하함(中氣下陷)으로 인한 구안와사

8. 위(7번) 환자를 치료할 때 거리가 먼 것은?

① 치료는 발병 후 빠를수록 경과가 좋으나 여러 달이 된 것은 완치를 바랄 수는 없다.

② 마비는 대다수 왼쪽이나 오른쪽 어느 한쪽에 온다.

③ 입의 구각이 틀어져 잡아당기는 쪽이 환(患)측이고 늘어진 쪽이 건(健)측이다.

④ 전신 조정 목적으로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관원(關元), 천료(天髎),

신주(身柱), 간유(肝兪), 신유(腎兪), 중완(中脘)에 매일 뜸하고 국소적으로

환측의 풍지(風池), 완골(完骨), 현로(懸顱) 견정(肩井)에 뜸한다.

⑤ 얼굴에는 뜸을 뜨지 않으므로 침을 쓰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9. 각혈(喀血), 토혈(吐血), 뇨혈(尿血), 육혈(衄血) 및 심홍색(深紅色) 혀와 현삭(弦數)한 맥(脈)이 나타나는 증후는 ?

① 혈허증(血虛證) ② 혈어증(血瘀證) ③ 혈한증(血寒證)

④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 ⑤ 혈열증(血熱證)

10. 한열착잡(寒熱錯雜)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상열하한(上熱下寒) ② 상한하열(上寒下熱) ③ 표한이열(表寒裏熱)

④ 진한가열(眞寒假熱) ⑤ 표열이한(表熱裏寒)

11. 다음(11번~12번) 환자는 어떤 것으로 고생을 하는가 ?

중년의 남성이 피로 때문에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하였으나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몸이 무겁고 피로했으며 설태(舌苔)는 백니(白膩)하고, 맥(脈)은 활(滑)했다. 사지(四肢)는 무겁고 머리는 짓누르는 것과 같다고 했다.

① 습담(濕痰) ② 기허(氣虛) ③ 빈혈(貧血) ④ 신양허(腎陽虛) ⑤혈어(血瘀)

12. 위(11번) 환자의 치료법은 ?

① 양기(陽氣)를 따뜻하게 하고 신양(腎陽)을 보충한다.

② 습(濕)을 제거하고 비기(脾氣)를 보(補)한다.

③ 건비(健脾)하고 보혈(補血)한다 .

④ 비위(脾胃)와 원기(原氣)를 보(補)한다.

⑤ 청열(淸熱)하고 보혈(補血)한다.

13. 다음 중 삭맥(數脈)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촉맥(促脈) ② 삭맥(數脈) ③ 동맥(動脈) ④ 결맥(結脈) ⑤ 질맥(疾脈)

14.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동시에 난다. 땀이 나지 않고 머리와 몸이 아프다.

기침이 나고 박백태(薄白苔)하고 맥이 부긴(浮緊)하다. 맞는 증후는?

① 풍음증후(風淫證候) ② 한음증후(寒淫證候) ③ 서음증후(暑淫證候)

④ 습음증후(濕淫證候) ⑤ 조음증후(燥淫證候)

15. 경맥병증(經脈病證)에서 한열(寒熱)이 교차적으로 나타나고 입이 쓰며 흉협부의

동통(疼痛)과 편두통이 생기며 학질이 나타나고 다리`무릎외측으로부터

외과(外踝)`넷째 발가락 등의 순행부위에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맞는 것은?

① 족궐음간경병증(足厥陰肝經病證) ② 족태양방광경병증(足太陽膀胱經病證)

③ 족양명위경병증(足陽明胃經病證) ④ 족소양담경병증(足少陽膽經病證)

⑤ 수소양삼초경병증(手少陽三焦經病證)

16. 풍(風)은 백병지장(百病之長)이란 말이 있다. 풍으로 인한 병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현기증(眩氣症), 현훈(眩暈)이 있다.

② 병(病)의 변화가 신속하다.

③ 통처(痛處)가 돌아 다닌다.

④ 대개 초기(初期)의 병이다.

⑤ 몸 전체가 짓누르듯 아프며 오래간다.

17. 무언가 혼잣말을 하는 것처럼 희미하게 반복하는 것은 ?

① 심기(心氣)의 부족 시 ② 폐병(肺病)이다 ③ 비형(脾形)이 넘칠 때

④ 신지(腎志)가 넘칠 때 ⑤ 간혈(肝血)의 부족 시

18. 신양허(腎陽虛)에서 온 부종(浮腫)은 신체 어느 부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가 ?

① 얼굴 ② 팔과 손목 ③ 복부 ④ 다리와 발목 ⑤ 등쪽

19. 환자를 대할 때 올바른 자세는 ?

① 환자의 촌구맥을 잡아보고 병명을 자신있게 말해준다.

② 환자에게 전문적 용어로 설명하여 권위를 세운다.

③ 환자에게는 다소 위압적으로 대하여야 한다.

④ 사진(四診)은 한 가지만 중점으로 살핀다.

⑤ 환자의 증세를 경청하고 병의 근본원인을 찿으려 노력한다.

20.다음 중 진한가열(眞寒假熱)을 틀리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

① 음(陰)이 성하여 양(陽)을 밀어낸 결과이다.

② 겉(表)은 열증이지만 속(裏)은 한증이다.

③ 진한가열도 열증이므로 찬 물을 좋아한다.

④ 진한가열은 보양산한(補陽散寒)하는 것이 먼저이다.

⑤ 진한가열 환자의 소변량은 많으며 맥(脈)도 지맥(遲脈)이다.

[ 주관식 문제 ]

문제1. 명대(明代) 장개빈의 십문가(十問歌)를 쓰시오(10점)

1 한열. 2 땀 3 머리와 몸 4 대소변 5 음식 6 가슴 7 귀 8 구갈 9 이전의 병 10 병인

문제2. 설진(舌診)으로 병을 진단(診斷) 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되는 점을

4가지 이상 나열 하시오?

해답) 1,정기(正氣)의 성쇠를 판단한다.

2.병위(病位)의 깊고 얕음을 분별한다.

3.병사(病邪)의 성질을 구별한다.

4.병정(病精)의 진퇴(進退)를 예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