處方을 위한 經穴學의 資料整理
鍼灸治療의 脈
① 循經
五臟六腑 審其所病 左右上下 知其寒溫 何經所在 審皮膚之寒溫滑澁 知其所苦.
② 表裏相傳 - 相合臟腑에 病이 있을 때, 十二經別六合
③ 上下相傳(接經) - 經筋病, 經絡鬱滯로 인한 疼痛
④ 六經同氣相傳(通經) - 病邪가 內部에 침입한 경우, 十二經脈六合
⑤ 標本․根結論․氣街論
⑥ 經別․經筋․皮膚論
⑦ 是動病과 所生病
⑧ 腧穴論
⑨ 實質適用 事例 - 一次的 圖式의 發展型으로 理論의 適用方式을 考察
Ⅰ 所主論
Ⅰ- 1 五行․臟腑所主
五行配屬表에서 人體配屬部分을 유념해야 한다.
* 장부소주론.
① 영추·사객편 ② 동의보감
− 肺心 ==> 兩肘 − 肺 - 鼻
− 肝 ==> 兩腋 − 心 - 舌
− 脾 ==> 兩髀 − 肝 - 兩眼
− 腎 ==> 兩膕 − 腎 - 耳
⇒ 藏府所主論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공부하여야 할 것은 내경과 동의보감이라는 것을
항시 잊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 基本 藏府에 대한 藏府所主論
五行 |
五藏 |
六府 |
五體 |
五竅 |
五榮 |
五液 |
五神 |
五主 |
八虛論 |
木 |
肝 |
膽 |
筋 |
目 |
爪 |
淚 |
魂 |
目 |
兩腋 |
火 |
心 |
小腸 |
血脈 |
耳 |
面(色) |
汗 |
神 |
舌 |
兩肘 |
土 |
脾 |
胃 |
肌肉 |
口 |
脣 |
涎 |
意 |
口 |
兩髀 |
金 |
肺 |
大腸 |
皮毛 |
鼻 |
毛 |
涕 |
魄 |
鼻 |
兩肘 |
水 |
腎 |
三焦 膀胱 |
骨 骨髓 |
二陰 |
髮 |
唾 |
志 |
耳 |
兩膕 |
2. 病에 따른 五行配屬과 症狀
五行 |
木 |
火 |
土 |
金 |
水 |
其病 |
裏急支滿 語 怒(膽) 頭 |
瞤瘛 噯 泄(小腸) 腸 |
痞 呑 氣逆(胃) 舌本 |
欬 欬 泄(大腸) 胸背 |
厥 欠嚔 水(下焦) 四肢 |
3. 病邪의 季節傳變․侵襲에 따른 分類
區分 |
春 |
夏 |
長夏 |
秋 |
冬 |
金匱眞言論篇 |
頭 |
藏 |
|
肩背 |
四肢 |
終始篇 |
毛 |
皮膚 |
|
分肉 |
筋骨 |
四時刺逆從論 |
經脈 |
孫絡 |
肌肉 |
皮膚 |
骨髓 |
4. 얼굴 전체에서 藏府所主論의 비교
區分 |
木 |
火 |
土 |
金 |
水 |
東醫寶鑑 外形篇 |
左腮 |
額 |
鼻 |
右腮 |
頤 |
黃帝內經의 五行配屬 |
目 |
舌 |
口 |
鼻 |
耳 |
정헌영교수님 |
鼻柱 |
兩目間 |
鼻尖 |
兩眉間 |
鼻翼 |
方位論的 配屬 |
鼻 |
目 |
腮 |
耳 |
口 |
자료의 근거에 대한 정확한 확인이 없는 것은 말한 사람의 이름을 적는 식이며, 방위론적 배속은 “陰陽은 뭐지?”에서 차용하여 온 것이다.
정수리부위(巓)은 腎․肝에 속한다. 肝經과 督脈이 있으며, 腎의 배속은 督脈의 배열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5. 눈 부위에서의 藏府配屬表
5-1) 八廓之圖
八廓 |
部位 |
藏府 |
主管 |
天廓 |
흰자위 전체 |
肺․大腸 |
傳道 |
地廓 |
眼瞼의 上下 모두 |
脾․胃 |
水穀 |
火廓 |
目內(外)眥 |
心․命門 |
抱陽 |
水廓 |
눈동자 |
腎 |
會陰 |
風廓 |
검은자위 |
肝 |
養化 |
雷廓 |
흰자위의 lateral part |
小腸 |
關泉 |
山廓 |
눈동자 |
膽 |
淸淨 |
澤廓 |
下瞼 |
膀胱 |
津液 |
5-2) 五輪之圖
五臟 |
命名 |
部位 |
五精 | ||
肝 |
風輪 |
黑睛 |
筋之精 | ||
心 |
血輪 |
大小眥 |
血之精 | ||
脾 |
胃 |
肉輪 |
上瞼 |
下瞼 |
肉之精 |
肺 |
氣輪 |
白睛 |
氣之精 | ||
腎 |
水輪 |
瞳人 |
骨之精 |
6. 五官에 대한 藏府配屬의 原理
① 鼻 − 五行 - 肺 - 加味六味地黃湯
− 藏府 - 脾 - 加味補中益氣湯
− 經絡 - 手․足陽明經, 督脈의 종착점
7. 疾病부위에 따른 臟腑所主論
① 靈樞․邪氣藏府病形論
❶ 小腸病 - 當耳前熱 ❷ 膀胱病 - 肩上熱
② 素問․臟氣法時論
❶ 肝病 - 兩脇痛 引小腹 ❷ 心病 - 兩臂內痛 ❸ 脾病 - 腹痛
❹ 肺病 - 肩背痛 ❺ 腎病 - 大腹․少腹痛
③ 어딘 것인지 모름 (金庚植敎授任의 授業內容)
❶ 舌炎 - 心(臟腑)․脾(循經)의 井穴을 취한다.
❷ 眼病 - 肝(臟腑), 안쪽은 膀胱經(經絡) 바깥쪽은 三焦經(經絡)
❸ 입술 - 脾(臟腑), 肝(經絡)
❹ 下齒痛 - 腎(臟腑), 大腸經(經絡)
❺ 上齒痛 - 胃經(經絡)
❻ 上眼瞼 - 脾(臟腑) 足太陽膀胱經(經絡)
❼ 下眼瞼 - 胃(臟腑) 足陽明胃經(?)
❽ 顔面病 - 胃(循經)1)
❾ 筋을 支配 - 足少陰腎經, 筋會穴인 陽陵泉(膽經)
④ 病理的 측면에서의 臟腑所主論
❶ 肺氣壅阻 - 鼻塞不通
❷ 心火上炎 - 舌部赤痛
❸ 肝火升騰 - 兩眼紅赤
❹ 腎氣虛陷 - 귀가 잘 들리지 않음
⑤ 經穴點에 의한 臟腑病理所主
❶ 心
心筋梗塞(陽) - 背兪穴에 주로 나타난다.
心臟고름(陰) - 募穴에 주로 나타난다.
心臟痛症 - 厥陰兪(心包에 해당), 心兪 瀉血(응급조치)
❷ 腎
腎臟結石 (陽) - 腎兪 (요통발생)
고름 (陰) - 募穴에서 반응이 나타난다.
Key point - 背兪穴은 명칭이 중요하다. 胃兪==>胃, 肝兪==>肝
그리고 그 부위가 그 명칭의 臟腑의 壓痛點이 된다. 病證診斷에 使用可能
cf) 木克土가 안된 것 補木 瀉土
木乘土에 의한 것 補土 瀉木
⑤ 金庚植敎授任이 이야기한 臟象論
肺病-膺痛 心病-胸痛 肝病-脇痛 脾病-髀痛 腎病-腰痛
⑥ 金庚植敎授任이 이야기한 經絡所主
腸胃鬱熱 - 齒痛(cf. 腎虛齒痛은 臟象論)
膝 - 肝之府
8. 鍼灸經緯의 臟腑配屬
① 肺 - 主氣, 皮毛, 咽鼻, 눈의 白珠, 鼻孔, 氣管, 胸部
② 大腸 - 下齒痛 (大便秘結, 泄瀉, 便膿血, 裏急後重)
③ 脾 - 中焦, 眼胞, 口脣, 鼻尖, 四肢
④ 胃 - 消化系, 舌의 中央部, 牙床, 口脣周圍, 人中
⑤ 心 - 額部, 足心, 手心 神志와 血液疾患 ==> 心悸, 驚惕, 譫語, 神昏, 吐血, 衄血
⑥ 腎 - 骨, 耳, 髮, 二陰, 瞳孔, 下頦, 腰部
⑦ 肝 - 筋, 爪, 目, 兩脇, 少腹, 陰囊(眩暈, 抽搐, 痙攣)
Ⅱ-2 經絡所主
1. 經絡과 四肢筋骨의 病理關係
① 肺經病 - 臂臑內廉痛
② 大腸經病 - 大指次指疼痛
足太陽經病이므로 先手太陽(接經)의 後谿와 後 足太陽의 神脈을 놓는다.(???)
(神脈 - 운동기에 관여하는 蹻脈의 기본혈이다.)
EX) 검지쪽으로 아플 때 ==> 手陽明의 接經인 足陽明經 取穴
엄지쪽으로 아플 때 ==> 手太陰經의 接經인 足厥陰經을 取穴
cf) 血病 - 코끝에서 관찰 가능하다. ==> 脾經의 井穴로 治療
cf) 項痛 - 中渚, 後谿, 神脈
③ 胃經病 - 膝蓋上 伏兎等部位痛, 足跗上疼痛
④ 肩臂痛 - 手太陽, 手陽明經筋이 지배 ==> 足陽明의 條口, 足太陽의 承山
或은 痰飮에 의한 경우 豊隆(條口 위에 있다.) 中脘
=> 手太陽․手陽明․手少陽經筋의 이상을 구별해서 接經에 의해 刺鍼
2. 脊椎部位에서의 經絡所主
膀胱經筋 - 大根 (脊椎外)
腎經筋 - 小根 (脊椎內) 大根과 小根의 불균형으로 디스크가 온다. ∴ 手太陽의 後谿 使用
3. 鍼灸經緯에 나타나 經絡所主와 經絡主病 (經絡循行과 관계있다.)
① 手太陰肺經 - 咽喉腫痛
② 手陽明大腸經 - 齦腫, 下齒痛
③ 足太陰脾經 - 舌本痛, 咽痛
④ 足陽明胃經 - 鼽衄, 上齒痛, 口喎, 頰腫, 頸腫, 喉痺
⑤ 手少陰心經 - 口舌腐爛, 重舌, 木舌
⑥ 足少陰腎經 - 耳聾, 耳鳴, 目昏不明
⑦ 足厥陰肝經 - 痺痛, 酸痛, 脇痛
⑧ 足少陽膽經 - 脇痛, 耳聾
⑨ 手少陽三焦經 - 面頰紅腫, 耳痛
Ⅱ 藏象
1. 臟腑相通論 - 醫學入門에 나와 있는 내용으로 醫論選 18Page
① 肝 - 大腸 : 肝病 - 大腸소통위주, 大腸病 - 平肝위주
② 心 - 膽 : 心病의 怔忡證 - 溫膽위주 膽病의 戰慄, 癲狂症 - 補心위주
③ 脾 - 小腸 : 脾病 - 小腸火를 瀉 위주, 小腸病 - 脾土를 濕하게 하는 것을 위주
④ 肺 - 膀胱 : 肺病 - 膀胱을 淸利, 膀胱病 - 淸肺를 위주
⑤ 腎 - 三焦 : 腎病 - 調和三焦, 三焦病 - 補腎위주
⑥ 心包 - 胃 :
太陽-太陰, 少陽-少陰, 厥陰-陽明의 배열과 足-手의 배열이 있다.
어떻게 보면, 경락론적인 문제가 있다.
2. 臟腑表裏(臟腑相合)
① 肝 - 膽 ② 心 - 小腸 ③ 脾 - 胃 ④ 肺 - 大腸 ⑤ 腎 - 膀胱 ⑥ 心包 - 三焦
cf) 침구학을 위하여 필요한 것들
ㄱ. 경락의 순경
ㄴ. 경락과 내장의 병리관계
ex) − 우측 손가락이 저릴 경우 - 심장병은 경우(?)
− 좌측 손가락이 저릴 경우 - 경추, 심장에 이상이 있음.
ㄷ. 사지와 오장과의 관계
ㄹ. 12경맥의 병증후 - 경락병의 시동병과 소생병, 경근병
ㅁ. 장부의 소주관계
ㅂ. 얼굴과 내장과의 관계
ex) 코(鼻)에 대한 적용의 용례들
− 肺 - 공기가 통하는 곳으로 폐와 관련이 있다.
− 脾 - 오행상생의 모델링에서 따온 것임 ==> 加味補中益氣湯
− 督脈 - 독맥의 종착점에 해당한다.
− 手·足陽明經 - 일단 한번 경락의 순환에 맞추어 보라니까요!
Ⅲ. 經絡
經絡診斷의 方法
① 循經診斷 - 循經診斷의 2가지 Point
五臟六腑 審其所病 左右上下 知其寒溫 何經所在 審皮膚之寒溫滑澁 知其所苦.
② 切脈診斷
❶ 寸關尺 : 肺脈朝會
[難經 一難] “十二經中皆有動脈 獨取寸口 以決五臟六腑死生吉凶.......
寸口者 肺之大會 手太陰之脈動也.“
❷ 氣口․人迎 - 傷寒, 內邪, 外邪
左人迎․右氣口之說 & 手氣口․頸人迎之說이 있다.
❸ 十二經脈의 動脈處
經脈 |
動脈處 |
經脈 |
動脈處 |
經脈 |
動脈處 |
手太陰肺經 |
太淵穴 |
手少陰心經 |
陰郄穴 |
手厥陰心包經 |
勞宮穴 |
手陽明大腸經 |
陽谿穴 |
手太陽小腸經 |
天窓穴 |
手少陽三焦經 |
和髎穴 |
足陽明胃經 |
衝陽穴 |
足太陽膀胱經 |
委中穴 |
足少陽膽經 |
縣鍾穴 |
足太陰脾經 |
衝門穴 |
足少陰腎經 |
太谿穴 |
足厥陰肝經 |
太衝穴 |
⇒ 침구대성의 19아니면 39에 나와 있다라고 했는데 잘 안보이던데요.
난경 1난을 봐야 한다.
③ 診絡
望診과 類似하나 經絡과 臟腑의 關係를 局所的으로 望診하는 것이 다름
❶ 病所部位가 隆起 or 陷沒되었는가?
❷ 色澤 - 例 : 魚際
④ 特殊關係的 原理에 依據한 治療法
遠導刺法 - 上病下取, 下病上取
傍刺法 or 兩刺法 - 中病傍取
繆刺法 or 巨刺法 - 左病右取, 右病左取
陰陽刺法 or 兪募刺法 - 前後를 對稱的으로 刺鍼
* 八綱의 속성과 침구치료의 팔강표
− 表裏 - 병의 부위 − 表 - 淺刺 − 상대적 침위
− 寒熱 - 병의 성질 − 裏 - 深刺 −
− 虛實 - 병의 성쇠 − 寒 - 補 − 자극의 개념
− 陰陽 - 병의 속성 − 熱 - 瀉 −
− 陽證 - 表·熱·實 − 虛 - 多灸少鍼 − 多는 주로라는 것이다.
− 陰證 - 裏·寒·虛 − 實 - 多鍼少灸 −
* 팔강증에 대한 보사표
|
淺刺 |
深刺 |
急出 |
久留 |
報 |
瀉 |
陽 |
╋ |
|
╋ |
|
|
|
陰 |
|
╋ |
|
╋ |
|
|
表 |
╋ |
|
|
|
|
|
裏 |
|
╋ |
|
|
|
|
寒 |
|
╋ |
|
╋ |
|
|
熱 |
╋ |
|
╋ |
|
|
|
虛 |
|
|
|
|
╋ |
|
實 |
|
|
|
|
|
╋ |
刺位의 深淺은 得氣를 가지고 이야기 되어야 한다.
急出과 久留는 留鍼時間의 長短으로 病情에 따라서 決定하여야 한다.
鍼은 거의 보란 거의 없다. 病狀에 따라 刺戟 方法에 留意하여야 한다.
1. 循經의 원리 - 12경맥의 유주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2. 上下相傳(接經) - 經筋病은 이를 가지고 治療
1) 팔과 다리 대칭, 상하대칭으로 이루어짐
2) 모든 경기의 울체로 일어나는 동통, 단, 허리 빼고, 제반동통을 치료.
3) 경근병, 염좌, 傷筋
4) 중국에서는 筋傷이라고도 함.
cf) 接經에서는 陰經의 경우만큼은 四支病에 軀幹대신 四肢穴을 취해도 可하다.
3. 表裏相傳(臟腑相合) - 原絡刺法
상합장부에 병이 있을 때, 상합되어지는 장부에 침을 놓는다.
表裏相傳 |
街接穴 |
商陽 |
隱白 |
少衝 |
至陰 |
關衝 |
大敦 |
| ||||||
街接部 |
手食指端 |
足大趾內側端 |
手小指端 |
足五指端 |
手四指端 |
足大趾外側端 |
| |||||||
中焦(營) 任脈 督脈 |
手 太 陰 |
手 陽 明 |
足 陽 明 |
足 太 陰 |
手 少 陰 |
手 太 陽 |
足 太 陽 |
足 少 陰 |
手 厥 陰 |
手 少 陽 |
足 少 陽 |
足 厥 陰 |
手 太 陰 | |
上下相傳 |
|
|
鼻傍 |
心中 |
內眼角 |
胸中 |
外眼角 |
肺內 | ||||||
|
|
迎香 |
|
睛明 |
|
瞳子髎 |
|
4. 標本․根結論․氣街論
1) 標本論
人體의 頭部․面部․胸膺部․背部의 位置와 四肢末端의 位置를 比較할 때 標部는 上(高)의 位置인 頭․面․胸․背部에, 本部는 下(低)의 位置인 四肢 末端에 있음을 알 수 있다.
標 |
證 |
後病 |
外部 |
軀幹 |
上半身 |
本 |
原因 |
先病 |
內部 |
四肢 |
下半身 |
① 標本治療
鍼灸學에서는 標本刺法이라하여 [四肢:本, 軀幹:標]가 됨을 중시하며, 또한 [先治其本 後治其表]라하여 軀幹病은 先四肢刺 後軀幹하고 四肢病은 先軀幹刺 後四肢이라 하였다.
예외인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이렇게 이것은 곧 巨刺法과 標本刺法이 중요시 되는 것이다.
② 標本의 緩急
標本의 緩急이란 治療면에서
첫째로 標와 本의 意義 - 病證의 表(경락), 裏(臟腑), 輕重, 緩急 등을 분별하여 治療方法을 세우는 것
둘째로 治療面에 있어 發病의 原因을 除去하는 療法
셋째로 病變의 緩急에 따라 臨機應變의 療法 (急標治 後本治)
넷째로 標本의 倂合療法
⇒ 診斷은 循經診斷이고, 取穴은 上下相傳과 循經의 原理이며, 刺法은 遠導․巨刺法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한 穴을 더 배혈할 때는 다친 經의 接經에서 부차적인 經絡과 통하는 穴 使用 陽經 은 반드시 四肢病은 軀幹에서 取하고 軀幹痛은 四肢에서 取한다.
陰經만큼은 四肢痛에도 그리고 軀幹痛에도 四肢에서 취하는 것이 더 좋다.
③ 傷筋 (捻挫)
胎兒나 靭帶가 찢어지는 것 等을 除外한 모든 傷筋을 治療가 可能,
단 治療率은 手技法에 따른다.
ⅰ) 四肢捻挫 : 足踝關節, 足跗關節, 肘關節, 膝關節, 手腕關節, 手指關節 等
⇒ 軀幹部位의 穴을 取穴한다.
❶ 外 - 足少陽, 足陽明, 足太陽 外側이 內側보다 捻挫 more 多發(90%)
복숭아뼈 앞의 안쪽에서 多發 (足少陽)
外踝下 - 足太陽膀胱經
足跗 - 足陽明胃經
❷ 內 - 足少陰, 足太陰, 足厥陰
足少陽經捻挫
手少陽經의 軀幹에서 顱息, 絲竹空을 取
⇒ 顱息은 取穴이 매우 難, 따라서 顱息 1寸下의 翳風(開口取之)을 取
足太陽經捻挫
手太陽經의 軀幹에서 攢竹을 取
足陽明經捻挫
手陽明經의 軀幹에서 影響을 取
⇒ 그러나 地倉(手足陽明經交叉지점)이 好, 또 取迎香 어렵다.
cf) 阿是穴은 瘀血이 있거나 久病痛症時에 使用하라.
발뒤꿈치痛
足太陰經部位 (발바닥은 足少陰經으로 되어 있으나 經驗上 그렇지 않다.)
⇒ 手少陰經을 取하고 神門을 取
ⅱ) 軀幹捻挫 : 腰, 脇, 項, 胸, 尾骨 ==> 四肢部位의 穴을 取穴한다.
❶ 腰部捻挫
腰痛 - 左腰痛, 右腰痛 ==> 巨刺法, 兩側 모두 다치면 ==> 左右 모두
腰는 足太陽經이면서 軀幹 ∴ 刺鍼은 接經인 手太陽經의 四肢穴 養老를 取함.
그 후 循經에 의해 膀胱經의 攢竹을 양쪽에서 取 ==> 攢竹을 代用(脊强證)
養老, 攢竹이면 끝 but 督脈經까지 捻挫가 있으면 養老를 後谿로 바꾸어야 한다.
後谿 (手太陽小腸經)通于督脈이므로………
❷ 項部捻挫
項部-督脈經이 흐름 또 太陽經에 속함(膀胱經, 三焦經, 膽經, 督脈經이 흐름)
이 경우 督脈經도 다치게 되므로 後谿(通于督脈)와 足太陽膀胱經 중의 申脈(循經)을 놓는 것이 더 好. 그리고 中渚(手少陽三焦經 - 接經)를 加한다.
❸ 胸部
갈비뼈(陽明 ⇒ 合谷)捻挫는 經絡을 따라 고려해야 한다.
Sernum 捻挫 多 ⇒ 整骨法이 선해 되어야 한다.
cf) 尾骨痛도 整骨法 必要 즉 鍼은 여기서 보조수단
* 표 4-18 經筋病治療의 標本刺法
經名 |
本部 |
近位의 腧穴 |
標部 |
近位의 腧穴 |
足太陽 |
足跟上 5寸 |
跗陽, 申脈 |
命門(目) |
睛明, 攢竹 |
足少陽 |
足의 竅陰之間 |
竅陰,俠谿 陽陵泉 |
窓籠(耳)의 前 |
聽會·廉泉 |
足陽明 |
厲兌 |
厲兌, 內庭 |
頰部·頑顙을 挾하는 部位 |
人迎·地倉 |
足太陰 |
中封穴의 前上方 4寸 |
三陰交 |
背兪(脾兪)와 舌本 |
脾兪·廉泉 |
足少陰 |
內踝의 下方 2寸 |
照海·然谷 |
背兪와 舌下의 兩脈 |
腎兪 |
足厥陰 |
行間穴의 上方 5寸 |
中封 |
背兪 |
腎兪 |
手太陽 |
手外踝의 後 |
養老 |
命門(木)의 上1寸 |
攢竹·魚腰 |
手少陽 |
小指·棄指間 上2寸 |
中渚, 支溝 |
耳後上角 및 外眼角 |
顱息(翳風)·絲竹空 |
手陽明 |
肘窩 및 別陽(臂臑穴) |
曲池·臂臑 |
頰部 및 下顎部 |
迎香(地倉)·承漿 |
手太陰 |
寸口部 |
太淵 |
腋窩의 搏動部 |
中府 |
手少陰 |
掌後銳骨의 上端 |
神門 |
背兪 |
心兪 |
手厥陰 |
掌後兩筋之間腕上 3寸 |
內關, 大陵 |
腋下 3寸 |
天池 |
[添加]
上肢는 이 表만으로는 안 됨 첨가시킬 것이 있음
上肢에 일어나는 모든 關節痛(류마티스性은 除外)은 “患側背部의 肺兪穴과 心兪穴 높이의 足太陽經 第Ⅱ線 附近에 硬結部”가 생기는데 이를 먼저 풀어주고 表를 이용해야 한다.
膀胱經第Ⅱ線 取穴法 : 患側의 勞宮이 肩頂에 오게 한후 健側도 오게 하면 됨.
[分析]
足太陽膀胱經 軀幹 : 睛明 - 陰蹻脈終止穴, 手太陽小腸經․足陽明胃經․足太陽膀胱經․陰蹻脈與陽蹻脈之會穴
攢竹 - 足太陽膀胱脈氣之所發
四肢 : 申脈 - 通于督脈, 跗陽 - 陽蹻脈之郄穴
足少陽膽經 軀幹 : 聽會 - 聽會者 爲耳聽之竅會 主聽覺病.
廉泉 - 실제로는 任脈, 陰維脈與任脈之會穴
四肢 : 陽陵泉 - 合穴, 筋會穴 俠谿 - 滎穴, 自經補穴 足竅陰2) - 井穴
足陽明胃經 軀幹 : 人迎 - 足陽明胃經與足少陽膽經之會穴
地倉 - 手陽明大腸經․足陽明胃經與陽蹻脈之會穴
四肢 : 厲兌 - 井穴, 自經瀉穴, 穴與脾脈相通 內庭 - 滎穴
足太陰脾經 軀幹 : 脾兪3)- 足太陽膀胱經 廉泉 - 위(足少陽膽經) 參照, 실제로는 任脈
四肢 : 三陰交 - 足太陰脾經․足厥陰肝經與足少陰腎經之會穴
足少陰腎經 軀幹 : 腎腧 - 應腎 是腎氣轉輸 輸注之穴 是治腎重要腧穴 故名腎兪.
四肢 : 然谷4) - 滎穴, 陰蹻脈之所生處
照海5) - 八脈交會穴之一, 通于陰蹻脈.
足厥陰肝經 軀幹 : 腎兪 - 應腎 是腎氣轉輸 輸注之穴 是治腎重要腧穴 故名腎兪.
四肢 : 中封 - 經穴, 穴爲腕中筋肉封聚之處.
手太陽小腸經 軀幹 : 攢竹(足太陽膀胱經) - 足太陽膀胱脈氣之所發
魚腰(經外奇穴, P.771) - 在眉毛正中
四肢 : 養老6) - 郄穴
手少陽三焦經 軀幹 : 顱息 -
翳風 - 手少陽三焦經與足少陽膽經之會穴
絲竹空 - 手少陽三焦經與足少陽膽經脈氣所發.
四肢 : 中渚 - 兪穴, 自經補穴
支溝 - 經穴, 六總穴(脇肋用支溝), 穴前一寸有外關別絡入手厥陰經
手陽明大腸經 軀幹 : 承漿7)(任脈) - 任脈․督脈․手陽明大腸脈與足陽明胃脈之會穴, 十三鬼穴中之一
迎香 - 手陽明大腸經與足陽明胃經之會穴, 辰時交與胃經承泣穴
地倉 - 手陽明大腸經․足陽明胃經與陽蹻脈之會穴
四肢 : 臂臑 - 手太陽小腸經․足太陽膀胱經與陽維脈之會穴 手陽明絡之會, 絡手少陽之會
曲池 - 合穴, 十三鬼穴, 中風七處穴, 自經補穴
手太陰肺 軀幹 : 中府 - 肺之募穴, 手太陰肺脈與足太陰脾經之會
四肢 : 太淵 - 兪穴, 肺之原穴, 八會穴中 脈會, 自經補穴
手少陰心經 軀幹 : 心兪8)(足太陽膀胱經) - 心之背兪穴
四肢 : 神門 - 兪穴, 心經之原穴
手厥陰心包經 軀幹 : 天池 - 手厥陰心包經․手少陽三焦經․足少陽膽經與足厥陰肝經之會穴
四肢 : 內關 - 心包經之絡穴, 別走手少陽三焦經, 八脈交會穴, 通于陰維脈
大陵 - 兪穴, 心包經之原穴, 十三鬼穴, 回陽九針穴
2) 根結論
標本‧根結의 부위표
經 |
根部 |
近穴 |
結部 |
近穴 |
관계 | |
足三陽 |
太陽 |
足小趾外端 |
至陰 |
命門(目) |
睛明 |
結=標 根≠本 |
少陽 |
足4趾外端 |
竅陰 |
窓籠(耳) |
聽宮 |
結=標 根=本 | |
陽明 |
足次趾外端 |
厲兌 |
顙大‧鉗耳 |
頭維 |
結=表 根=本 | |
足三陰 |
太陰 |
足大趾內端 |
隱白 |
太倉(上腹) |
中脘 |
結≠標 根≠本 |
少陰 |
足底部中心 |
湧泉 |
廉泉(喉) |
廉泉 |
結≒標 根=本 | |
厥陰 |
足大趾上 |
大敦 |
玉英(胸) |
玉堂 |
結≠標 根≠本 |
根結 − 根 : 四肢末端의 井穴부위를 의미. → 四肢 = 四根
− 結 : 頭面‧軀幹과 유관한 부위를 의미. → 頭‧胸‧腹 = 三結.
cf) [五腧穴刺鍼法]
標本․根結의 理論을 基礎로 進一步 具體化 시킨 治療法으로 理解할 수 있다.
3) 氣街論
① 뜻 − 氣 : 經絡을 循行하는 腠理之間의 眞氣 − −→ 氣街 = 眞氣所聚集的道路.
− 街 : 四通八達의 通衢. −
② 四個 부분의 眞氣所聚集的 道路 : 上(頭), 中上(胸), 中下(腹), 下(脛)
③ 氣街의 임상응용
‧頭에 氣가 있어 생긴 頭의 병변 → 百會를 取穴.(腦爲頭氣之街 故頭有氣 止百會也)
‧胸部에 氣가 있어 생긴 胸部병변 → 胸部,肺兪에 取穴.
(胸中肺兪爲胸氣之街 故胸中有氣 取比二兪也)
‧腹部에 氣가 있어 생긴 腹部 병변 → 脾兪, 衝脈의 순환통로에 取穴.
(脾兪左右衝脈 以爲腹氣之街 故腹有氣 取比二穴)
‧足脛에 氣가 있어 생긴 병변 → 氣衝穴과 承山穴 및 足踝上下處를 取.
(氣在脛者 止之于氣衝與承山踝上下)
3) 標本, 根結, 氣街 이론의 의의
① 標本‧根結, 氣街는 經脈의 兩極이 相達되는 것과 經氣가 集中, 擴張되는 관계를 설명한 것.
② 標本 根結에 의한 經氣의 작용.
‧手足三陰經氣 : 肢端에서부터 本臟에 직접작용 → 背部의 兪穴에 유주 → 胸腹募穴에 聚集.
⇒ 本은 四肢, 標는 背兪와 胸募이므로 經絡眞氣가 직접 本臟에 작용.
‧足三陽經氣 : 頭面‧軀幹에 작용할뿐아니라 일부는 合穴에서 별도로 入內部하여 六腑와 通
→ 背兪의 兪穴에 유주 → 胸腹募穴에 聚集.
⇒ 六腑之合에서 별도로 本腑와 通하므로 六腑病을 치료함.
‧手三陽經氣 : 本臟에 직접 入하지 않고 바로 頭面‧軀幹 循行部에 작용하고 足三陽經의 合穴에서 別出한 本腑의 氣와 合함.
⇒ 入內部하지 않으므로 本腑病치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 결국 背兪穴은 臟腑氣가 輸注하여 所出하는 곳이고 胸腹募穴은 臟腑氣가 結聚한 곳임.
4) 標本‧根結‧氣街이론의 응용.
① 遠隔取穴에 응용됨 : 四肢는 本, 軀幹은 標이므로 四肢의 肘膝以下(본부)혈로 구간(표부)를 치료할 수 있다. - 五輸穴의 응용.
이용혈 − 手足三陰經의 肘膝以下穴 : 本臟病을 치료.
手三陽經의 肘以下穴 : 頭面部 질환 치료.
− 足三陽經의 膝以下穴 : 頭面部 질환 치료뿐만 아니라 六腑病 치료.
응용예 − 頭部를 取하여 四肢病을 치료함 : 四肢癱瘓 - 神庭, 腿足柔軟 - 浮白.
− 背部兪穴을 取하여 四肢病을 치료함. : 四肢麻痺 - 腎兪灸, 筋掌骨痛 - 魂門.
② 手足三陰의 本은 四肢에 있고 標는 背兪와 胸募에 있어 經絡의 元氣가 直接 本藏에 作用
③ 手三陽經맥의 氣는 內部로 直接 入하지 않으므로 그 腧穴도 本藏病 治療에 影響 못 미친다.
그러나 六府之氣는 足三陽本部에서 出하는 經絡之氣로써 六腑下合에서 別途로 內部로 入하는 故로 足三陽의 膝以下의 腧穴이 六腑病을 治할 수 있는 것이다.
手三陽經 - 腑病에 ×, 臟病에 ×
그러나 六腑之氣는 六腑下合을 이용해 治療 즉 手三陽經은 直接 腑를 治療 못함.
④ 背兪穴은 臟腑之氣가 輸注하여 所出하는 곳이며, 募穴은 臟腑의 氣가 結聚하는 곳으로 經絡之氣와 相互關係이 있어 所屬 臟腑의 疾病을 治할 수 있는 것이다.
背兪穴 - 膀胱經의 모든 穴이 아닌 五藏之府의 兪穴 ex) 心包 - 厥陰兪
配穴에 응용됨.
응용예 − 本經의 標本‧根結을 配合함.: 項强多惡症 - 束骨(膀胱 根本部)+天柱(膀胱 結標部)
− 表裏관계의 標本‧根結을 配合함. : 腋腫 - 委陽(膀胱 根本部)+天池(小腸 結標部)
[添加]
① 陽經 <靈樞․邪氣臟腑病形篇> “榮輸治外經, 合治內部.”
榮穴, 輸血은 外經을 治하고 合穴은 주로 腑病을 取한다. 그러나 手三陽經에서는 六腑下合穴을 主로 쓴다.
② 陰經 <靈樞․壽夭剛柔> “病在陰之陰者刺陰之榮輸.”
臟病에는 兪穴(原穴과 同一), 腑病에는 合穴
cf) 標本‧根結의 比較 部位表
經 |
本部 |
近穴 |
根部 |
近穴 |
標部 |
近穴 |
結部 |
近穴 |
관계 | |
足三陽 |
太陽 |
足跟上5寸 |
跗陽 |
足小趾外端 |
至陰 |
命門(目) |
睛明 |
命門(目) |
睛明 |
結=標 根≠本 |
少陽 |
足竅陰之間 |
竅陰‧俠谿 |
足4趾外端 |
竅陰 |
窓籠(耳)의 前 |
聽會‧廉泉 |
窓籠(耳) |
聽宮 |
結=標 根=本 | |
陽明 |
厲兌 |
厲兌 |
足次趾外端 |
厲兌 |
頰部‧頑顙을 挾하는 부위 |
人迎‧地倉 |
顙大‧鉗耳 |
頭維 |
結=表 根=本 | |
足三陰 |
太陰 |
中封穴前上方4寸 |
三陰交 |
足大趾內端 |
隱白 |
背兪‧舌本 |
脾兪‧廉泉 |
太倉(上腹) |
中脘 |
結≠標 根≠本 |
少陰 |
內踝下方2寸 |
照海‧然谷 |
足底部中心 |
湧泉 |
背兪‧舌下兩脈 |
腎兪 |
廉泉(喉) |
廉泉 |
結≒標 根=本 | |
厥陰 |
行間上5寸 |
中封 |
足大趾上 |
大敦 |
背兪 |
腎兪 |
玉英(胸) |
玉堂 |
結≠標 根≠本 | |
手三陽 |
太陽 |
手外踝後 |
養老 |
|
|
命門(目)上1寸 |
攢竹‧魚腰 |
|
|
|
少陽 |
小指‧4指間上2寸 |
中渚 |
|
|
耳後上角‧外眼角 |
顱息‧絲竹空 |
|
|
| |
陽明 |
肘窩및 別陽(臂臑) |
曲池‧臂臑 |
|
|
頰部‧下顎部 |
迎香‧承漿 |
|
|
| |
手三陰 |
太陰 |
寸口部 |
太淵 |
|
|
腋窩의 搏動處 |
中府 |
|
|
|
少陰 |
掌後銳骨上端 |
神門 |
|
|
背兪 |
心兪 |
|
|
| |
厥陰 |
掌後兩筋之間 腕上3寸 |
內關 |
|
|
腋下3寸 |
天池 |
|
|
|
* 표 6-15 六腑下合穴表
− 胃 - 足三里 −
− 大腸 - 上廉(上巨虛) − − 足陽明 −
− 小腸 - 下廉(下巨虛) −
− 膀胱 - 委中 − − 足太陽 − 足三陽
− 三焦 - 委陽 −
− 膽 - 陽陵泉 ------- 足少陽 −
5. 六經同氣相傳(通經)
十二經脈六合表 (p.73, Ⅳ-3)
手足太陰 |
手足少陰 |
手足厥陰 |
手足太陽 |
手足少陽 |
手足陽明 |
中府 |
心中 |
天池 |
睛明 |
瞳子髎 |
迎香 |
1) 수족태음, 수족태양, 수족양명, 수족소음,수족궐음, 수족소음의 육기에 해당한다.
2) 어떠한 병사가 내부에 침범하여 동통을 일으키는 경우.
3) 陽經의 경우 接經과 通經이 같다.
* 上接經·下接經은 表裏相傳을 이야기한다.
6. 腧穴論
① 十二經絡의 五腧穴 早見表
陰經 |
井木 |
滎火 |
水土 |
經金 |
合水 |
陽經 |
井金 |
滎水 |
兪木 |
經火 |
合土 |
肺經 |
少商 |
魚際 |
太淵 |
經渠 |
尺澤 |
大腸經 |
商陽 |
二間 |
三間 |
陽谿 |
曲池 |
心經 |
少衝 |
少府 |
神門 |
靈道 |
少海 |
小腸經 |
少澤 |
前谷 |
後谿 |
陽谷 |
小海 |
心包經 |
中衝 |
勞宮 |
大陵 |
間使 |
曲澤 |
三焦經 |
關衝 |
液門 |
中渚 |
支溝 |
天井 |
脾經 |
隱白 |
大都 |
太白 |
商丘 |
陰陵泉 |
胃經 |
厲兌 |
內庭 |
陷谷 |
解谿 |
三里 |
腎經 |
湧泉 |
然谷 |
太谿 |
復溜 |
陰谷 |
膀胱經 |
至陰 |
通谷 |
束骨 |
崑崙 |
委中 |
肝經 |
大敦 |
行間 |
太衝 |
中封 |
曲泉 |
膽經 |
竅陰 |
俠谿 |
臨泣 |
陽輔 |
陽陵泉 |
❶ [滎輸治外經, 合治內腑]
例) 耳病 局所 (患部取穴) - 耳門(三焦), 聽宮(小腸), 聽會(膽)
遠隔 後谿(小腸) 中渚(三焦)
Key Point 患部에 따른 循經 診斷을 통해서 다시 그 經들의 榮穴과 輸穴을 취한다.
그런데 왜 膽經은 빠졌을까?
例) 齒痛 口鼻局部穴 (局所取穴)
二間(滎), 三間(輸) (手陽明小腸經 - 遠隔取穴)
熱이 없는 痛症, 腎病일 경우 二間, 三間을 쓰면 안된다.
❷ [ 陰經의 경우 - 經在陰之陰者 刺陰之滎輸]
臟病 - 兪穴, 腑病 - 合穴
❸ 痛症 - 輸, 滎을 많이 쓴다.
❹ 輸穴 - 原發性 神經痛, 間歇的 發熱(時痛時止), 신경통에 多用
滎穴 - 續發性 神經痛, 高熱性疾患
② 舍岩寒熱選用穴早見
十二經 |
寒證의 경우(熱하게 하려면) |
熱證의 경우(寒하게 하려면) | ||||||
補 |
瀉 |
補 |
瀉 | |||||
肺 |
少府 |
魚際 |
尺澤 |
陰谷 |
尺澤 |
陰谷 |
太白 |
太淵 |
大腸 |
陽谷 |
解谿 |
二間 |
通谷 |
二間 |
通谷 |
陽谷 |
解谿 |
胃 |
解谿 |
陽谷 |
內庭 |
通谷 |
內庭 |
通谷 |
三里 |
委中 |
脾 |
大都 |
少府 |
陰陵泉 |
陰谷 |
陰陵泉 |
陰谷 |
太白 |
太谿 |
心 |
少府 |
然谷 |
少海 |
陰谷 |
少海 |
陰谷 |
少府 |
然谷 |
小腸 |
陽谷 |
崑崙 |
前谷 |
通谷 |
前谷 |
通谷 |
少海 |
三里 |
膀胱 |
陽谷 |
崑崙 |
前谷 |
通谷 |
前谷 |
通谷 |
三里 |
委中 |
腎 |
少府 |
然谷 |
陰谷 |
少海 |
陰谷 |
少海 |
太白 |
太谿 |
心包 |
少府 |
勞宮 |
曲澤 |
少海 |
曲澤 |
少海 |
太白 |
大陵 |
三焦 |
支溝 |
崑崙 |
液門 |
通谷 |
液門 |
通谷 |
支溝 |
崑崙 |
膽 |
陽輔 |
陽谷 |
解谿 |
通谷 |
解谿 |
通谷 |
委中 |
陽陵泉 |
肝 |
行間 |
少府 |
陰谷 |
曲泉 |
陰谷 |
曲泉 |
太衝 |
太白 |
③ 舍岩補瀉善用穴早見表
十二經 |
虛證의 경우(正格=補하려면) |
實證의 경우(勝格=瀉하려면) | ||||||
補 |
瀉 |
補 |
瀉 | |||||
肺 |
太白 |
太淵 |
少府 |
魚際 |
少府 |
魚際 |
陰谷 |
尺澤 |
大腸 |
三里 |
曲池 |
陽谷 |
陽谿 |
陽谷 |
陽谿 |
通谷 |
二間 |
胃 |
陽谷 |
俠谿 |
臨泣 |
陷谷 |
臨泣 |
陷谷 |
商陽 |
厲兌 |
脾 |
少府 |
大都 |
大敦 |
隱白 |
大敦 |
隱白 |
經渠 |
商丘 |
心 |
大敦 |
少衝 |
陰谷 |
少海 |
陰谷 |
少海 |
太白 |
神門 |
小腸 |
臨泣 |
後谿 |
通谷 |
前谷 |
通谷 |
前谷 |
三里 |
小海 |
膀胱 |
商陽 |
至陰 |
三里 |
委中 |
三里 |
委中 |
臨泣 |
束骨 |
腎 |
經渠 |
復溜 |
太白 |
太谿 |
太白 |
太谿 |
大敦 |
湧泉 |
心包 |
大敦 |
中衝 |
陰谷 |
曲澤 |
陰谷 |
曲澤 |
太白 |
大陵 |
三焦 |
臨泣 |
中渚 |
通谷 |
液門 |
通谷 |
液門 |
三里 |
天井 |
膽 |
通谷 |
俠谿 |
商陽 |
竅陰 |
商陽 |
竅陰 |
糧穀 |
陽輔 |
肝 |
陰谷 |
曲泉 |
經渠 |
中封 |
經渠 |
中封 |
少府 |
行間 |
④ 相合, 交相合의 原理
相合原則 |
交相合原則 |
手太陰 ▶手陽明 |
手太陰 ▶足陽明 |
足太陰 ▶足陽明 |
足太陰 ▶手陽明 |
手少陰 ▶手太陽 |
手少陰 ▶足太陽 |
足少陰 ▶足太陽 |
足少陰 ▶手太陽 |
手厥陰 ▶手少陽 |
手厥陰 ▶足少陽 |
足厥陰 ▶足少陽 |
足厥陰 ▶手少陽 |
7. 原絡郄募兪, 會穴
(1) 原穴(12原穴)
‧장부의 原氣가 경맥에 머물러 있는 곳의 鍼穴. 손목과 발목아래에 있다.
肺經 |
大腸經 |
胃經 |
脾經 |
心經 |
小腸經 |
膀胱經 |
腎經 |
心包經 |
三焦經 |
膽經 |
肝經 |
太淵 |
合谷 |
衝陽 |
太白 |
神門 |
腕骨 |
京骨 |
太谿 |
大陵 |
陽池 |
丘墟 |
太衝 |
‧原穴은 陰經에서는 土, 陽經에서는 木의 配屬을 받는다.(陰-土, 陽-木)
‧原穴은 三焦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 三焦는 原氣의 別使다, 곧 原穴은 三焦의 原氣를 조절함.
‧《內經》“五臟有病, 取之十二原” - 原穴은 내장병을 치료함 ex) 肺病 - 太淵
(2) 絡穴(15絡脈)
‧15 絡脈이 갈라져 나온 곳에 있는 鍼穴.
‧表裏關係로 가는 絡脈과 일정한 순행부위를 가지고 순행하며 장애되었을 때에는 병증후가 나타난다. 고로 絡穴들은 그가 속한 經脈과 表裏關係의 經脈 및 갈라져 나간 絡脈의 병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아래 표는《靈樞‧經脈篇》에 기재된 主治이며 泄之는 瀉法을 말함.
經絡 |
郄穴 |
主治 |
|
經絡 |
郄穴 |
主治 |
肺經 |
列缺 |
掌熱泄之 |
⇔ |
大腸經 |
偏歷 |
齒痛耳聾泄之 |
胃經 |
豊隆 |
癲狂泄之 |
⇔ |
脾經 |
公孫 |
腸中切痛泄之 |
心經 |
通里 |
支膈泄之 |
⇔ |
小腸經 |
支正 |
節馳肘痠泄之 |
膀胱經 |
飛揚 |
鼽窒背痛泄之 |
⇔ |
腎經 |
大鍾 |
閉癃泄之 |
心包經 |
內關 |
心痛泄之 |
⇔ |
三焦經 |
外關 |
肘攣泄之 |
膽經 |
光明 |
氣逆而厥泄之 |
⇔ |
肝經 |
蠡溝 |
睾丸腫脹山氣泄之 |
脾의 大絡 |
督脈 |
任脈 |
大包 - 身盡痛泄之 |
長强 - 脊强泄之 |
鳩尾 - 腹皮急痛泄之 |
‧12개 絡脈은 表裏關係로 가는 絡脈이 있으나, 脾之大絡인 大包, 督脈의 長强, 任脈의 鳩尾 등은 表裏關係로 가는 絡脈이 없다. → 表裏關係의 經脈病을 치료하는 작용은 없고 다만 絡脈의 病症과 12經脈에 속한 經脈의 病症을 治療하는 작용이 있다.
‧表裏의 2經과 유관한 병을 치료하는 데, 곧 刺一絡治陽經病함,ex) 公孫 - 脾病,胃病,陽明頭痛
(3) 郄穴(16郄穴)
‧ 특징적인 침혈의 한 종류. 郄은 틈이라는 뜻을 의미하는데 氣血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臟腑에 病이 있을 때에는 해당한 經脈의 郄穴에 반응이 나타난다.
‧ 郄穴은 12經脈과 奇經八脈의 陽蹻脈‧陰蹻脈‧陽維脈‧陰維脈에 각 1개씩 모두 16개(16郄穴)임.
肺經 |
大腸經 |
胃經 |
脾經 |
心經 |
小腸經 |
膀胱經 |
腎經 |
心包經 |
三焦經 |
膽經 |
肝經 |
孔最 |
溫溜 |
梁丘 |
地機 |
陰郄 |
養老 |
金門 |
水泉 |
郄門 |
會宗 |
外丘 |
中都 |
陽蹻脈 |
陰蹻脈 |
陽維脈 |
陰維脈 | ||||||||
跗陽 |
交信 |
陽交 |
築賓 |
‧ 郄穴은 주로 該當經脈과 臟腑의 急性病과 出血을 치료하는 데에 쓴다.
‧ 郄穴의 응용 − 喀血 - 孔最(肺之郄) ‧ 心絞痛 - 郄門(心包之郄), 陰郄(心之郄)
− 膽絞痛 - 外丘(膽之郄) ‧ 急性胃炎 - 梁丘(爲之郄)
(4) 背兪穴
‧脊柱의 양쪽으로 내려간 방광경 1측선에 위치하면서 五臟六腑와 밀접되는 관계를 가지는 穴.
‧배수혈은 五臟六腑의 經氣가 잔등에 주입되는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背兪穴은 다음과 같다.
肺經 |
大腸經 |
胃經 |
脾經 |
心經 |
小腸經 |
膀胱經 |
腎經 |
心包經 |
三焦經 |
膽經 |
肝經 |
肺兪 |
大腸兪 |
胃兪 |
脾兪 |
心兪 |
膀胱兪 |
小腸兪 |
腎兪 |
厥陰兪 |
三焦兪 |
膽兪 |
肝兪 |
‧背兪穴은 해당되는 장부의 병과 그 장부와 연관되는 기관의 병을 치료하는 데 쓴다.
(5) 募穴(腹募穴, 臟腑募穴)
‧가슴과 배의 穴 가운데서 臟腑의 氣가 모여드는 穴.
‧12개 장부에 1개씩 모두 12개가 있으며 해당장부가 위치하고 있는 가까이에 있다. 12장부의 募穴은 다음과 같다.
肺經 |
大腸經 |
胃經 |
脾經 |
心經 |
小腸經 |
膀胱經 |
腎經 |
心包經 |
三焦經 |
膽經 |
肝經 |
中府 |
天樞 |
中脘 |
章門 |
巨厥 |
關元 |
中極 |
京門 |
膻中 |
石門 |
日月 |
期門 |
‧募穴은 해당장부의 병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국소혈이다.
‧募穴은 해당장부의 慢性疾病 治療에 주로 쓴다.
※ 背兪穴과 腹募穴의 응용 − 背兪穴 - 臟病, 急性病, 實證
− 腹募穴 - 腑病, 慢性病, 虛證
(6) 八會穴
‧臟‧腑‧氣‧血‧骨‧髓‧筋‧脈의 病들을 각각 치료하는 작용을 가진 8개 穴.
‧八會穴은 臟腑器官의 이름 뒤에 ‘會’자를 붙여 穴이름을 대신하기도 한다.
구분 |
혈이름 |
치료범위 |
臟會 |
章門 |
五臟病(肺‧心‧肝‧腎‧脾) |
腑會 |
中脘 |
六腑病(胃‧大腸‧小腸‧膽‧膀胱‧三焦) |
氣會 |
膻中 |
氣病(氣滯‧氣鬱‧氣虛…) |
血會 |
膈兪 |
모든 血病(瘀血‧出血‧血虛…) |
骨會 |
大杼 |
모든 骨病(骨痿‧附骨疽…) |
髓會 |
懸鍾 |
모든 髓病(惱髓‧脊髓‧骨髓…) |
筋會 |
陽陵泉 |
모든 筋病(痙攣‧筋麻痺‧關節痛…) |
脈會 |
太淵 |
모든 血脈의 病(出血…) |
‧《難經》의 “熱病在內者 取其會之氣穴也”에 의거하여 熱證을 위주로 치료함.
‧八會穴의 응용 - 임상상 郄穴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 氣管支炎 - 孔最(肺之郄穴) + 膻中(氣會)
− 胃痙攣 - 梁丘(胃之郄穴) + 中脘(腑會)
(7) 交會穴
‧2개 또는 그 이상의 經脈이 서로 교차되거나 교회하는 부위의 穴.
(예) 中府穴은 手太陰과 足太陰의 交會穴이고 大椎穴은 三陽經과 督脈의 交會穴이다.
‧交會穴은 임상에서 本經과 交會되는 經脈의 病을 治療한다.
․ 主證에 合倂症이 있을 경우 ⇒ 적은 穴數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交會穴을 사용한다.
穴名 |
本經 |
交會經 |
穴名 |
本經 |
交會經 |
肩髃 |
大腸 |
小腸, 陽蹻 |
肩井 |
膽 |
陽維, 胃, 三焦 |
迎香 |
大腸 |
胃 |
風池 |
膽 |
三焦, 陽維, 陽蹻 |
下關 |
胃 |
膽 |
臨泣 |
膽 |
膀胱, 陽維 |
巨髎 |
胃 |
陽蹻 |
頭維 |
膽 |
胃, 陽維 |
地倉 |
胃 |
任, 陽蹻, 大腸 |
瞳子髎 |
膽 |
陽維, 小腸, 三焦 |
承泣 |
胃 |
陽蹻, 任 |
期門 |
肝 |
脾, 陰維 |
三陰交 |
脾 |
肝, 腎 |
章門 |
肝 |
膽 |
顴髎 |
小腸 |
三焦 |
水溝 |
督 |
大腸, 胃 |
臑兪 |
膀胱 |
陽維, 陽蹻 |
百會 |
督 |
大腸, 小腸, 三焦, 胃, 膽, 膀胱 |
金門 |
膀胱 |
陽維 |
風府 |
督 |
陽維, 膀胱 |
申脈 |
膀胱 |
陽蹻 |
啞門 |
督 |
陽維 |
跗陽 |
膀胱 |
陽蹻 |
大椎 |
督 |
大腸, 小腸, 三焦, 胃, 膽, 膀胱 |
風門 |
膀胱 |
督 |
陶道 |
督 |
膀胱 |
大杼 |
膀胱 |
小腸 |
長强 |
督 |
腎, 膽 |
睛明 |
膀胱 |
小腸, 胃, 陰蹻, 陽蹻 |
承漿 |
任 |
胃, 獨 |
氣穴 |
腎 |
衝脈 |
天突 |
任 |
陰維 |
照海 |
腎 |
陰蹻 |
膻中 |
任 |
脾, 腎, 小腸, 三焦 |
築賓 |
腎 |
陰維 |
關元 |
任 |
肝, 脾, 腎 |
外關 |
三焦 |
陽維 |
中脘 |
任 |
肝, 脾, 腎 |
環跳 |
膽 |
膀胱 |
下脘 |
任 |
脾 |
‧交會穴은 交會穴이 속하는 經脈의 병을 치료할 수 있다.
ex) 三陰交 - 脾經에 속하지만 肝‧腎과 交會하므로 肝經‧腎經의 병을 치료
(8) 八脈交會穴
本經 |
八穴 |
通穴脈 |
主治 |
足太陰 |
公孫 |
衝脈 |
心⋅胸⋅胃 |
手厥陰 |
內關 |
陰維 | |
手太陽 |
後谿 |
督脈 |
目內眥, 項强, 耳, 肩膊, 小腸, 膀胱 |
足太陽 |
申脈 |
陽蹻 | |
足少陽 |
足臨泣 |
帶脈 |
目外眥,耳後,頰,項,肩 |
手少陽 |
外關 |
陽維 | |
手少陰 |
列缺 |
任脈 |
肺系, 咽喉, 胸膈 |
足少陰 |
照海 |
陰蹻 |
(9) 駕絡鍼法(一名 十二脈交會穴이라고 함=> 침구사들이 다용)
疼痛에 사용되는 一針法으로 上下相傳에 經絡病에 따라 운용할 수 있다.(非運動系 疾患)
八脈交會穴을 기본으로 手足陽明과 手少陰, 足厥陰을 補充
足陽明 - 內庭, 手少陰 - 神門, 手陽明 - 合谷, 足厥陰 - 太衝
8. 十二經筋
經筋은 十二經脈의 循行部位上에 分布된 體表 筋肉系統의 總稱이며 全身의 體表筋肉을 十二經脈의 循行部位에 依據해서 分類한 하나의 方法으로 즉 手足三陰 , 手足三陽에 따라 稱하며 各 經筋은 모두 同名의 經脈 循行部 位上에 있는 약간의 筋肉群을 包括한다.
1) 十二經筋의 分布
◉ 特 徵
ㄱ. 四肢 軀幹,胸廓,腹腔에만 分布되었고 臟腑에는 進入하지 않는다.
① 陽은 外를 主管하며 手足三陽의 經筋은 肢體의 外側에 分布되고 陰은 內를 主管하며 手足三陰의 經筋은 肢體의 內側에 分布되고 胸廓,腹腔으로 進入한다.
② 經筋은 모두 四肢末端에서 起하여 軀幹으로 上達하며 太陽.少陰은 後面, 少陽.厥陰은 側面, 陽明.
太陰은 前面에 分布한다.
ㄴ. 結 하고 聚 하는 등의 特徵을 가진다.
例) 前陰者 宗筋之所聚 - 足三陰의 筋은 足陽明의 筋과 生殖器部位에서
結聚된다.
(1) 足太陽經筋
① 足小趾에서 起하여 上向해서 ② 外과에 結하고 ③ 斜上하여 膝部에 結한다.
④下하여 外과를 循行해서 足근(踵)에 結하고, 踵을 循行하여 ⑤ 위로 膝窩에 結한다. ⑥ 그 分支는 전의 外側에 結하고, 膝窩內側으로 上行하여 ⑦ 膝窩의 筋과 倂行 上向해서 前部에 結한다. ⑧ 다시 脊柱를 끼고 上行하여 項後에 이르며 ⑨ 그 分支는 따로 進入하여 舌本에 結한다. ⑩ 直行하는 것은 枕骨에 結하고 頭頂으로 올라가서 ⑪ 顔面으로 下하여 鼻에 結한다. ⑫ 分支는 「目上綱」 되며 下하여 鼻傍(尻)에 結한다. ⑬ 다른 一分支는 腋後의 外側에서 肩우에 結한다. ⑭ 다른 分支는 腋下로 入하여 위로 缺盆(鎖骨上窩)으로 出하여 上行해서 完骨에 結한다. ⑮ 分支는 缺盆을 出하여 斜上해서 鼻傍(尻)으로 出한다.
(2) 足少陽經筋
① 足의 第4趾에서 起하여, 위로 外과에 結하고, ② 脛外側을 上循하여 膝外側에 結한다. ③ 分支는 外輔骨(비骨)에서 起하여 위로 大 腿部로 主하며 ④ 前面은 伏兎 上方에 結하고 ⑤ 後面은 臀部 (尻)에 結한다, ⑥ 直行하는 것은 上行하여 脇下에 分布되고 季 脇을 지나 上行해서 腋前側으로 走하여, 乳部와 連係되고 缺盆(鎖骨上窩)에 結한다. ⑦ 直行하는 것은 腋部에서 위로 延展하여 缺盆을 지나서 足太陽의 前面으로 出하여 ⑧ 耳後를 循 行해서 頭角으로 上行하여 ⑨ 頭頂에서 交會하고 ⑩ 顎部로 走하여 위로 鼻傍에 結한다. ⑪ 分支는 外眼角에 結한다.
(3)足陽明經筋
① 足의 第 2,3,4趾에서 起하여 足背에 結하고,② 外側으로 斜上해서 비骨(外輔骨)에 分布되고, 위로 膝外側에 結하며, ③ 直上하여 비樞에 結하고, ④ 脇肋을 上循해서 脊柱에 連屬된다. ⑤ 直行하는 것은 脛을 循行하여 膝에 結하고 ⑥分支는 비骨에 結하며, 足少陽과 合친다. ⑦ 膝部에서 直上하는 것은 大腿部의 伏兎를 循行하여 위로 비部에 結하고 陰器에 會聚한다. ⑧ 上行하여 腹部에 分布되고 缺盆(鎖骨上窩)에 結한다. ⑨ 延展하여 頸部에 이르고, 위로 口를 挾하여 鼻傍에서 合하고, 아래로 鼻에 結하며, 上行하여 足太陽과 합쳐 [目上綱]이 된다. ⑩ 分支는 頰에서 耳前으로 가서 結한다.
(4) 足太陰經筋
① 足大趾의 內側端에서 起하여 上行해서 內과에 結하고 ② 直行하는 것은 膝內輔骨에 結하며 ③ 上行하여 大腿內側을 循行해서 비에 結하고, ④ 陰器에 會聚한다. 다시 上行하여 腹部에 이르고, 臍에 結하며 ⑤ 腹裏를 循行하여 肋部에 結하고, 胸中에 散布된다. ⑥ 內在하는 것은 脊柱에 附着된다.
(5) 足厥陰經筋
① 足大趾의 上面에서 起하여 위로 內과의 前方에 結하며, ② 脛內側을 上循해서 위로 脛骨內側窩下緣에 結하고, ③ 大腿內側을 沿하여 ④ 陰部에 結하여 各經筋과 聯絡된다.
(6) 足少陰經筋
① 足小趾의 下에서 起하여, 足太陰의 筋과 함께 內과의 下로 斜走하여 踵部에 結하고, ② 足太陽의 筋과 會合한다. 上行하여 脛骨內側窩下緣에 結하고 ③ 足太陰의 筋과 함께 大腿內側을 沿해 上行하여 陰部에 結한다. ④ 分支는 다시 脊柱를 沿하여 ⑤ 려를 挾하고 後項으로 上行하여 枕骨에 結하고, 足太陽의 筋과 會合한다.
(7) 手太陽經筋
① 手小指의 上部에서 起하여 上行해서 手根背部에 結하고 ② 前臂內側을 沿하여 上行해서 주부 銳骨의 後部에 結하고 ③ 延展하여 腋下에 結한다. ④ 그 分支는 腋後側으로 走하여 肩胛部를 繞하고 ⑤ 脛을 沿하여 足太陽經筋의 前邊으로 出해서 耳後의 完骨(乳樣突起部)에 結한다. ⑥ 耳後에서 分出한 1條의 支筋은 耳中으로 走入한다. ⑦ 直行하는 것은 耳上으로 出한 後, ⑧ 下行하여 顎部에 結하고 ⑨ 上行하여 外眼角으로 連屬된다. ⑩ 또 하나의 支筋은 顎에서 分出하여 上行해서 臼齒部에 이르고 耳前을 돌아 外眼角에 連屬 되며 ⑪ 額으로 上行하여 頭角에 結한다.
(8) 手少陽經筋
① 手의 藥指 末端에서 起하여 上行해서 手根背部에 結하고, ② 前腕을 沿해서 上行하여 주尖部에 結하고, ③ 上腕外側을 循行하여 肩을 거쳐 頸部로 走行해서 手太陽과 합친다. ④ 그 分支는 曲頰(下顎角)에서 進入하여 舌本에 連係된다. ⑤ 또하나의 支筋은 臼齒部로 上行하여 耳前을 沿해서 外眼角에 達하며, ⑥ 위로 額을 지나 頭角에 結한다.
(9) 手陽明經筋
① 手의 食指末端에서 起하여 手根背部에 結하고, ② 위로 前腕을 循行해서 주부外側에 結하고 ③ 다시 上腕을 沿하여 肩髃에 結한다. ④ 그 分支는 肩胛部를 繞하여 脊柱를 挾한다. ⑤ 直行하는 것은 다시 肩髃에서 頸部로 上行한다. ⑥ 分支는 頰部로 上行하여 鼻傍에 結한다. ⑦ 直行하는 것은 上行하여 手太陽의 前方으로 出한다. 左額角으로 上行하여 頭部로 絡하고, ⑧ 左側의 顎部로 下行한다.
(10) 手太陰經筋
① 手拇指의 上部에서 起하여, 循指上行해서 魚際의 後方에 結하고, ② 寸口의 外側을 沿하여 上行해서 前腕에 達하여 肘中에 結한다. ③ 다시 上腕內側으로 上行하여 腋下로 進入하여 結盆으로 出해서 ④ 肩우의 前方에 結하고 ⑤ 上行하여 缺盆에 結하며, ⑥ 下行하여 胸中에 結하고, 散行하여 膈을 貫通해서 膈下에서 會合하고, 季脇에 達한다.
(11) 手厥陰經筋
① 手의 中指에서 起하여, 手太陰經筋과 倂行해서 주부의 內側에 結하고, ② 上腕內側을沿하여 위로 腋下에 結하고, ③ 下向하여 脇肋의 前後를 挾하고 散布된다. ④ 그 分支는 腋下로 進入하여 胸中에 散布되고, 胸膈部에 結한다.
(12) 手少陰經筋
① 手의 小指內側에서 起하여 掌後의 銳骨(豆狀骨)에 結하고, 上行하여 주부의 內側에 結하며, ② 다시 上行하여 腋窩를 進入해서 手太陰經筋과 交會하여, ③ 乳房部에 이르러 胸中에 結하고, ④ 胸膈을 沿하여 ⑤ 아래로 臍部와 連係된다.
2) 十二經筋의 作用
① 經筋은 經絡系統中의 連屬된 部分이며 그 機能活動은 經絡中의 氣血의 滋潤 滋養에 依存하며 또한 經筋의 分布部位는 十二經脈과 一致한다.
② 經筋과 肢體의 肌肉,筋腱 筋膜과는 매우 많은 類似點이 있으며 經筋은 어느 筋肉을 獨立해서 論한것이 아니고 筋肉에 反映되는 機能과 病證에 根據하여 그들을 有機的으로 聯係시킨 것이다.
· [宗筋主束骨而利機關也] <素問,위論> - 經筋이 骨格의 結合을 主管하고
關節의 屈伸活動에 關與함을 뜻한다.
· 古代 醫家들은 筋에 大筋.小筋.膜筋의 區別이 있음을 알았고, 宗筋은
大筋의 種類에 屬하는 것으로 認識하였다.
③ [骨爲幹, 脈爲營, 筋爲剛, 肉爲墻] <靈樞, 經筋篇>
1) 骨爲幹 : 骨格이 生體의 支柱作用을 하며 運動時에는 지렛대의 作用을한다.
2) 脈爲營 : 人體의 骨.格.筋.肉이 血脈의 營養에 依存하지않는것이 없다.
3) 筋爲剛 : 骨格에 付着된 筋肉筋腱이 屈伸運動을 하고 强한 힘을 가진다.
4) 肉爲墻 : 筋肉(皮下脂肪包含)이 軀幹과 四肢의 淺表部에 全面的으로 分布되어 全身 各部分의
組織臟器를 잘 保護하는 作用이 있다.
3) 十二經筋의 病候
(1) 足太陽經筋의 病候
足小趾의 强直, 筋의 腫痛,骨節의 攣急, 脊强反折, 項頸拘急, 肩不能擧, 腋部의 牽製强直, 缺盆部位의 抽痛, 不能左右轉動.
(2) 足少陽經筋의 病候
足第 4 趾의 强直, 膝外側의 牽引轉筋, 膝의 屈伸不能, 膝窩의 筋急, 前面은 비의 牽引, 後面은 臀部의 牽引, 脇下에서 季脇에 걸친 疼痛, 缺盆. 乳部. 頸部의 牽引 强直, 經筋이 頭上에서 交叉되어 左에서 右로 行하므로, 左側의 經筋이 損傷되면 右眼을 뜰 수 없다. 위로 右頭角을 지나 교맥과 倂行하여 左側의 것은 右側으로 絡하므로, 左額角을 傷하면 右足이 위비된다. 이를 [維筋相交]라 稱한다.
(3) 足陽明經筋의 病候
足中趾의 强直, 小腿의 轉筋, 足部의 攣縮, 伏兎의 轉筋, 비전면의 腫脹, 疝氣, 腹筋의 拘急, 缺盆과 頰部의 牽引, 口와 突發, 筋의 緊張으로 目의 閉合不能, 熱邪로 筋이 弛緩 되어 目開不能, 頰筋에 寒이 있으면 頰部가 痙攣하고 口角이 牽引된다. 熱이 있으면 筋이 弛緩되어 收縮不能으로 口角이 와사된다.
(4) 足太陰經筋의 病候
足大趾의 强直, 內과통, 轉筋痛, 膝內側部의 疼痛, 大腿內側에서 大腿上部에 걸친 牽引痛, 陰器의 牽引痛, 臍部와 兩脇의 牽引作痛, 胸中의 牽引과 脊內痛
(5) 足厥陰經筋의 病候
足大趾의 强直, 內과前面의 疼痛, 膝內側部의 疼痛, 股內側의 疼痛 轉筋, 陰器의 機能喪失 例컨대 房事過度로 因한 陰萎, 寒에 傷하면 陰器弛緩勃起 不能.
(6) 足少陰經筋의 病候
足底部의 轉筋, 本筋이 通過하는 곳과 結하는 部位의 疼痛 및 轉筋, 이들이 發病하면 癎症.계종.痙(驚風)을 發함. 病이 外部에 있으면 低頭.彎俯를 못하고, 病이 內部에 있으면 仰位를 取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陽病은 腰反折(角弓反張)로 俯位를 取하지 못하고, 陰病은 仰位를 取하지 못한다.
(7) 手太陽經筋의 病候
手小指의 强直 疼痛, 주內側 銳骨後邊의 疼痛, 上腕內側을 沿하여 腋下까지의 牽連과 腋下 및 腋窩後面의 疼痛, 肩胛部에서 頸部에 걸친 牽引痛, 耳鳴 耳痛, 顎部의 牽引痛,視力低下, 頸筋이 拘急하년 筋위가 된다. 頸腫하면 頸部에 寒熱의 邪가 侵襲한 것이다.
(8) 手少陽經筋의 病候
本經筋이 通過하는 部分의 强直, 轉筋, 舌卷
(9) 手陽明經筋의 病候
本經筋이 通過하는 部分의 强直.疼痛.轉筋, 肩의 擧上不能, 頸의 左右轉動 不能.
(10) 手太陰經筋의 病候
本經筋이 通過하는 部分의 强直.轉筋.疼痛, 甚한 境遇는 [息賁]이 되어 脇部의 拘急을 일으키고 吐血한다.
(11) 手心主(厥陰)經筋의 病候
本經筋이 通過하는 部分의 强直.轉筋, 前部로 미치면 胸痛.食賁症을 發한다.
(12) 手少陰經筋의 病候
內部가 拘急하면 心下에 積聚가 생겨 [伏梁]이 된다. 本經筋이 通過하는 部分의 强直.轉筋.疼痛.
9. 十二經別 - 臟腑表裏關係
1) 十二經別의 分布經路
◉ 槪 要
① 定意 : 十二經脈이 가지는 「內屬于臟腑 , 外絡于支節」하는 分布經路 以外에, 各經脈이 모두 體腔 內로 深入하는 「經別」이라 불리우는 別行하는 分支
② 分布狀態
陽經의 經別 : 肢體에서 胸腹部의 內臟으로 進入한 後에 대개는
다시 頸項部로 進出하여 原來 分出했던 十二經中의
陽經과 合流한다.
陰經의 經別 : 本經經脈에서 分出한 後에 그 經脈과 表裏가 되는
陽經의 經別과 竝行 或은 會合하여 最後에 表裏關係
가 있는 陽經經別과 合流한다.
③ 六合關係
十二經別은 모두 그 本經經脈에서 分出을 開始하여 最後에는 六條의 陽經으로 歸하여 陽經經脈과 合流한다.
표 28
|
經 名 |
別 入 部 |
別 行 部 |
出 合 部 |
合 流 經 |
一 合 |
足 太 陽 |
膝窩,肛門 |
膀胱,腎,心 |
項 |
足 太 陽 |
足 少 陰 |
膝窩 |
帶脈,舌本 |
| ||
二 合 |
足 少 陽 |
陰毛際,季脇 |
膽,肝,腎 |
耳,外眼角 |
足 少 陽 |
足 厥 陰 |
陰毛際 |
經別과 倂行 |
| ||
三 合 |
足 陽 明 |
脾,腹裏 |
胃,脾,心 |
口,目系 |
足 陽 明 |
足 太 陰 |
脾 |
陽明經別과 俱行貫舌本 |
| ||
四 合 |
手 太 陽 |
肩解,腋窩 |
小腸,心 |
|
手 太 陽 |
手 少 陰 |
腋窩의 兩筋間 |
心 |
顔面,內眼角 | ||
五 合 |
手 少 陽 |
頭頂,缺盆 |
三焦,胸中 |
|
手 少 陽 |
手 厥 陰 |
淵腋下三寸 |
胸中,三焦 |
耳後,完骨下 | ||
六 合 |
手 陽 明 |
肩우,柱骨 |
大腸,肺 |
|
手 陽 明 |
手 太 陰 |
淵腋, 手少陰之前 |
肺,大腸 |
缺盆,喉롱 |
④ 陽經經別은 모두 胸腹으로 進入한 後,그 經脈이 歸屬된 臟腑와 聯
系를 맺는다.
足三陽經의 經別은 모두 心을 通過하여 위로 頭部를 循行한다.
手三陰經의 經別은 모두 腋窩部에서 內臟으로 進入한 後, 喉롱을
通過하여 위로 頭面部에 達한다.
(1) 足太陽經別 : ① 足太陽經脈의 膝窩部에서 分出한 以後, ② 그 經別의 一支는 尻저下 2寸部位
에 이르러 肛門部位로 別走하여 ③ 膀胱에 屬하고, ④ 腎에 絡하며 ⑤ 또 脊려를 沿하여
⑥ 心臟部에 이르러 散布되고 ⑦ 直行하는 것은 脊려에서 項部로 나와서 足太陽經의 經脈에
歸屬된다.
足少陰經別 : ① 足少陰經脈의 膝窩部에서 分出한 後, 別走하여 太陽經別과 會合하고
② 다시 上向하여 腎經에 이르러 十四椎 部位로 나와서 帶脈에 隸屬된다. ③ 直行하는 經別
은 上向하여 舌에 聯係되고 또 項部로 上出하여 足太陽經의 經脈에 歸屬된다.
(2) 足陽明經別 : ① 足陽明經脈의 비部에서 分出한 後 ② 腹內로 進入하여 ③ 胃에 屬하고
脾에 散絡된다. ④ 上向하여 心臟을 通過해서 ⑤ 다시 食道를 沿하여 口部에 이르러
⑥ 脾梁, 眼저 部位로 延展되어 目系와 聯係를 맺고 足陽明經의 經脈에 歸屬된다.
足太陰經別 : ① 足太陰經脈의 비部에서 分出한 後, 足陽明의 經別과 會合해서 ② 上向하여
咽喉部로 循行 聯係되고 舌中을 貫通한다.
(3) 足少陽經別 : ① 足少陽經脈의 비部에서 分出한 後 , 비樞部를 돌아서 陰部 毛際로 進入하여
足厥陰의 經別과 會合한다. ② 分支는 季脇之間을 循行하여 ③ 胸腹의 內面으로 進入해서
膽에 屬하고 ④ 肝에 散絡한다. ⑤ 心臟을 通하여 ⑥ 食道를 挾해서 上向하여 下顎口傍
으로 나와 ⑦ 顔面에 散布 되고 目系로 聯係된다.
⑧ 外眼角에서 足少陽經의 經脈에 歸屬된다.
足厥陰經別 : ① 足厥陰經脈의 足背에서 分出하여 ② 上向해서
陰部毛際에 이르러 足少陽의 經別과 會合해서 同行한다.
(4) 手太陽經別 : ① 手太陽經脈의 肩關節部에서 分出한 後, ② 腋部로 進入하여 心臟으로 走向,
다시 下向하여 小腸과 聯係된다.
手少陰經別 : ① 手少陰經別의 腋窩(淵腋)의 兩根 사이에서 分出한 後, 胸中으로 進入하여
心臟에 屬한다. ② 다시 上向하여 後롱으로 走하고 面部로 進出하여 內眼角에서 手太陽經의 經脈과 會 合한다.
(5) 手陽明經別 : ① 手陽明經脈의 手部에서 分出한 後, 臂주수部를 沿하여 胸部 乳房등의 部位에 . 分布된다 다른 一支는 肩우部에서 分出하여 項後의 柱骨로 進入, ② 下向하는 것은 大腸으로
走하며 肺에 屬하고, ③ 上向하는 것은 喉롱을 沿하여 鎖骨上窩(缺盆)로 나와서 手陽明經의
經脈에 歸屬된다.
手太陰經別 : ① 手太陰經脈의 腋部에서 分出한 後, 手少陰의 前方을 循行하여 胸中으로 進入 하여 肺臟으로 走向하고, 大陽에 散布된다. ② 上向하여 鎖骨上窩(缺盆)로 進出하고 喉롱을 沿하여 手陽明經의 經脈에 歸屬된다.
(6) 手少陽經別 : ① 手少陽經脈의 頭頂部에서 分出한 後, ② 鎖骨上窩(缺盆)로 進入하여 下向해
서 三焦로 走하고 胸中에 散布된다.
手厥陰經別 : ① 手厥陰經脈의 腋窩(淵腋)下 3寸 部位에서 分出한 後,胸中으로 進入하여 갈라 져서 三焦에 屬하고, ② 上向하여 喉롱을 循行해서 耳後로 進出하여 完骨部位에서 手少陽經 의 經脈에 歸屬된다.
2) 十二經別의 作用과 臨床意義
(1) 十二經脈의 表裏屬絡關係를 强化한다.
① 各 經別은 同名經의 經脈에서 分出한 後, 陰經經別은 대개 陽經經別을 向해 走行하여 이와 會合해 肢體에 分布된 十二經脈의 陰經과 陽經의 表裏關係의 聯關을 强化한다.
② 各 經別은 胸腹의 內臟에 進入한 後, 그 대부분은 該當 經脈이 屬絡된 臟腑로 循行하며 특히 陽經經別은 모두 그 本經과 有關한 臟 또는 腑와 聯係되어 體內의 臟腑配合 및 表裏陽經의 內行部分 聯係를 더욱 밀접히 한다.
③ 表經에 屬하는 疾患은 흔히 裏經의 穴位를 取하고 裏經에 屬하는 疾患에 흔히 表經의 穴位를 取하며, 臟病에 대하여 臟에 屬하는 經穴을 取하고, 腑病에 대하여 腑에 屬하는 經穴을 取한다.
(2) 頭面部 經脈의 重要性을 높인다.
① 經脈 : 頭面部位는 足厥陰肝經이 頭頂까지 이르고 手少陰心經이 目系로 上達하는 것을 除外
하고는 主로 陽經만이 循行한다.
經別 : 陽經의 循行이 頭部에 到達할 뿐만 아니라, 足三陰經別이 陽經經別로 合入한後 頭部에 이르고, 手三陰經別은 腋窩部에서 內臟으로 進入한 後 모두 喉롱을 經過하여 頭面에서 會合한다.
☞ 經別은 有關經脈과의 聯係와 함께 體內의 經氣를 頭部.腦.顔面 및 五官 部位로 集中시킨다.
( 頭氣之街 . 氣出于腦 )
②「十二經脈 三百六十五絡, 其血氣皆上于面而走空竅, 其精陽氣上走于
目而爲睛 其別氣走于耳而爲聽, 其宗氣上出于鼻而爲臭, 其濁氣出于胃,
走脣舌而爲味, 其氣之津液皆上熏于面」 < 靈樞.邪氣臟腑病形 >
☞頭.面.空竅가 經氣의 匯集處로서 重要한 部位임을 說明하여 鍼灸治療에서 頭面部의 腧穴이 가지는 作用을 매우 重要視함.
③ 經別의 循行과 會合이 經氣로 하여금 頭面部位에 集中케 하는 하나의 所因이 되어 經絡 系統의 각部分이 頭部에서 錯綜된 聯係를 맺고 있다는 理論에 根據하여 耳鍼療法. 面鍼療法. 鼻鍼療法등 이 應用되어지고 있다.
(3) 十二經脈의 分布와 聯係部位를 稠密케 한다.
十二經脈의 脈氣가 分布되지 않은 一部의 部位나 臟器에 經別이 聯係되어 있음으로써 生體의 聯係經路를 增加시켜 人體 各部分 사이의 關係를 密接하게 한다.
例) ① 心.腎間에 足少陰 經脈은 絡于心 하지만 手少陰經脈은 腎에 分布하지 않으나 經別 가운데 足太陽經別이 膀胱에 屬하고 腎에 散絡되며 다시 心에 散布됨으로써 心.腎 사이에 또 하나 의 關係를 이루어 그들 사이의 關係를 密接하게 한다.
② 胃.心間에 各 經脈은 서로 循行하지 않으나 足陽明經別의 分布와 循行이 胃에 屬하고 脾에 散布되었으며 胃로 心과 通하고 있어 心과 胃사이의 關係를 溝通시킨다.
③ 腎經.帶脈間에 특별한 關係가 있으나, 足少陰經別의 分布에서 명확히「出屬帶脈」하므로 腎 臟과 帶脈의 聯係를 稠密케 한다.
④ 足太陽經別은 肛門部를 循行하여 足太陽經脈의 이 部位에 대한 論에 根增加 시킨다.
-- 經別의 體表部位에 있어서의 循行은 特定部位의 聯係를 强化시킨다.
10. 經脈別 是動病과 所生病
是動病은 外邪가 침입하여 變하여 病이 생기는 것이고, 所生病은 內에서부터 病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선상에서 治療한다. 是動病과 所生病의 病證群은 基本的으로 同一하다.
原文은 經脈의 病理現象과 經穴의 主治作用의 二方面에서 經絡의 病候를 綜述한 것으로 둘은 같다. 단지 病의 發生過程만 다르고 治療도 같다.
|
陰陽 |
氣血 |
內外 |
內外因 |
臟腑․經絡 |
營衛 |
是動病 |
陽 |
氣 |
外 |
外因 |
經絡 |
衛病 |
所生病 |
陰 |
血 |
內 |
內因 |
臟腑 |
營病 |
1) 手太陰肺經
是動則病 肺脹滿膨膨而喘欬하고 缺盆中痛하고 甚則交兩手而瞀니 此爲臂厥이라
是主肺所生病者는 欬 上氣 喘喝 煩心 胸滿 臑臂內前廉痛厥 掌中熱이라
氣盛有餘하면 則肩背痛風(寒) 汗出中風 小便數而欠이오 氣虛則肩背痛寒 少氣不足以息 溺色變이라
2) 手陽明大腸經
是動則病 齒痛 頸腫이라
是主津(液)所生病者는 目黃 口乾 鼽衄 喉痺 肩前臑痛 大指次指痛不用이라
氣有餘則當脈所過者熱腫이오 虛則寒慄不復이라
3) 足陽明胃經
是動則病 洒洒振寒 善伸[呻]數欠 顔黑 病至則惡人與火 聞木聲則惕然而驚
心動 欲獨閉戶塞牖而處하고 甚則欲上高而歌 棄衣而走 賁響腹脹하니 是爲骭厥이라
是主血所生病者는狂瘧溫淫 汗出鼽衄 口喎脣胗 頸腫喉痺 大腹水腫 膝臏腫痛
循膺乳氣街股伏兎骭外廉 足跗上이 皆痛하고 中指不用이라
氣盛則身以前皆熱하고 其有餘於胃하면 則消穀善饑 溺色黃하며
氣不足則身以前皆寒慄하고 胃中寒則脹滿이라
4) 足太陰脾經
是動則病 舌本强 食則嘔 胃脘痛腹脹 善噫 得後與氣 則快然如衰 身體皆重이라
是主脾所生病者는舌本痛 體不能動搖 食不下 煩心 心下急痛 溏瘕泄 水閉 黃疸不能臥하고
强立하면 股膝內腫厥 足大指不用이라
5) 手少陰心經
是動則病 嗌乾 心痛 渴而欲飮하니 是爲臂厥이라
是主心所生病者는目黃 脇痛 臑臂內後廉痛厥 掌中熱痛이라
6) 手太陽小腸經
是動則病 嗌痛 頷腫 不可以顧 肩似拔 臑似折이라
是主液所生病者는耳聾 目黃 頰腫 頸頷 肩臑肘臂外後廉痛이라
7) 足太陽膀胱經
是動則病 衝頭痛 目似脫 項如拔 脊痛 腰似折 髀不可以曲 膕如結 踹如裂이니 是爲踝厥이라
是主筋所生病者는痔 瘧 狂 癲疾 頭顖項痛 目黃 淚出 鼽衄 項背腰尻膕踹脚皆痛 小指不用이라
8) 足少陰腎經
是動則病 饑不欲食 面如漆柴 欬唾則有血 喝喝而喘 坐而欲起 目䀮䀮如無所見
心如懸若饑狀 氣不足則善恐 心惕惕如人將捕之니 是爲骨厥이라
是主腎所生病者는口熱 舌乾 咽腫 上氣 嗌乾及痛 煩心 心痛 黃疸 腸澼
脊股內後廉痛 痿厥 嗜臥 足下熱而痛이라
9) 手厥陰心包經
是動則病 手心熱 臂肘攣急 腋腫 甚則胸脇支滿 心中憺憺大動 面赤 目黃 喜笑不休라
是主脈所生病者는煩心 心痛 掌中熱이라
10) 手少陽三焦經
是動則病 耳聾渾渾焞焞 嗌腫 喉痺라
是主氣所生病者는汗出 目銳眥痛 頰痛 耳後肩臑肘臂外皆痛 小指次指不用이라
11) 足少陽膽經
是動則病 口苦 善太息 心脇痛 不能轉側 甚則面微有塵 體無膏澤 足外反熱이니 是爲陽厥이라
是主骨所生病者는頭痛 頷痛 目銳眥痛 缺盆中腫痛 腋下腫 馬刀俠癭 汗出振寒 虐
胸脇肋髀膝外至脛 絶骨 外果前及諸節皆痛 小指次指不用이라
12) 足少陽膽經
是動則病 腰痛不可以俛仰 丈夫㿉疝 婦人少腹腫 甚則嗌乾 面塵 脫色이라
是主肝所生病者는胸滿 嘔逆 飱泄 狐疝 遺溺 閉癃이라
@ 간추린 經脈所主․經筋․經別論
1. 발목 - 足少陽,
발목外側 足少陽 - 발목바깥쪽 - 手少陽의 顱息(翳風으로 代置)
足太陽 - 足踝下 - 手太陽의 攢竹
足陽明 - 발등 - 手陽明의 迎香(地倉이 낫다. - 手足陽明交叉)
발목內側 足少陰
足太陰 - 발뒤꿈치가 아플 때 - 手少陰의 神門
足厥陰
① 발목 捻挫 (足少陽捻挫)
丘墟穴부위가 가장 많이 다친다. 足少陽이므로 先 手少陽, 後 足少陽을 취한다.
顱息 - 翳風으로 대치 +聽會
ex) 鍼灸使들은 對稱刺法을 쓰는데, 丘墟部位의 捻挫는 腕骨에 刺鍼 (手少陽經)
② 발뒤꿈치 捻挫(足太陰捻挫) - 足少陰이 아니다.
手少陰의 神門(陰經은 標本刺法이 필요없다.)
2. 倫鍼(다래끼) - 臟腑所主 + 經絡
눈꺼풀은 脾에 속하므로 脾經의 井穴을 點刺出血(臟腑)
上眼瞼 - 足太陽이므로 手太陽의 後谿 취혈(接經)
下眼瞼 - 足陽明이므로 手陽明의 三間 취혈(接經)
나는 둘다 補法이라고 본다. 五腧穴에서의 兪穴로 오행속성상 水에 속하므로 다래끼는 熱證이므로 물을 넣어 주어야 한다고 본다.
3. 頭痛門
頭는 諸陽明之會이므로 頭痛은 表裏相傳인 太陰의 列缺을 쓴다.
cf) 足陽明經 頭痛 - 手陽明의 合谷 使用(교수님은 表裏相傳이라고 하지만 쩝 上下相傳이 쩝)
① 痰厥頭痛(메스껍고 구역질나는 頭痛)
脾는 濕해지기 쉽다. 소기와 단 것을 많이 먹으면 . 이로 인해 濕生痰하므로 胃에 痰이 모인다.
頭는 諸陽明之會이므로
合谷 |
列缺 |
豊隆 |
中脘 |
手陽明 |
手太陰 |
足陽明 |
任脈 |
氣가 疏通되지 않을때 |
陽明熱을 瀉하기 위해 |
治痰 |
中脘壓痛時 |
氣塞穴 |
相合인 手太陰 |
|
|
cf) 痰飮 - 豊隆(消化不良이 심하면 足三里) 中脘에 壓痛이 있을 때 中脘
② 外感으로 생긴 偏頭痛
合谷, 列缺, 外關(手少陽), 臨泣(足少陽)
Key point 頭痛은 合谷, 列缺을 중심으로 배열을 한다.
4. 頸部捻挫
① 後谿(接經) - 足太陽經筋이므로 手太陽의 通于督脈穴 선택
② 中渚(臟腑相通) - 腎이 脊椎內部를 관장하므로 腎病에는 三焦를 조화시킨다.
cf) 合谷 - 齒痛 (循經) 內關 - 胃脘痛(流注)
腸胃疾患 - 足三里, 上巨虛(六腑下合穴)
5. 項部의 經筋病 - 足太陽經筋 + 督脈
先 手太陽의 兪穴인 後谿와 足太陽의 申脈 取穴(加 中渚 - 接經에 의해 手少陽을 取)
手陽明이므로 足陽明의 足三里 (임상지침 171Page)
cf) 委陽(膀胱), 天池(心包)가 表裏가 되는 이유는 委陽이 三焦經의 下合穴이다.
6. 腰痛 - 足太陽, 督脈
① 腰는 軀幹이므로 四肢에 놓는다. 左右를 따져 健側에 놓는다.
양측 모두 아플 경우 養老(양쪽) - 새끼 손가락을 어깨에 엊은 자세에서 소목 바깥 함몰점
循經에 따라 攢竹(睛明은 어렵고 鍼灸深奧에 보면 모든 側强證에는 攢竹을 쓴다고 되어 있다.)을 놓는다. 督脈까지 다친 경우 養老대신 後谿(通于督脈)을 놓는다.
② 坐骨神經痛 - 대부분 足少陽經 상으로 아프다. (허리에 病이 없이 오는 疼痛)
接經으로 手少陽의 中渚, 臟腑病인 경우 合谷을 瀉한다.(金克木)
why - 大腸 剋 膽 (金克木)으로 臟病은 臟으로, 腑病은 腑를 통하여 治療한다.
五腧穴과 다른 五行治法에 해당한다.
③ 腎虛腰痛
❶ 臟腑相通論 - 三焦의 原穴(陽池)
❷ 膀胱經 - 表裏相傳의 원칙에 따라서 臟腑病에 使用(腎邪氣는 膕部에 들어가므로 ???)
❸ 處方 - 六味地黃湯
7. 肩臂痛 - 手太陽․手陽明經筋이 지배한다. 接經으로 治療
그러므로 足太陽의 承山, 足陽明의 條口를 刺鍼
8. 脇痛 - 옆구리 - 足少陽 最多發
[鍼灸大成] 支溝(手少陽三焦經), 陽陵泉(足少陽膽經) ==> 특수혈이므로 암기
足少陽이 거의 지배한다. 中渚와 俠谿이나 鍼灸大成에 支溝+陽陵泉이라고 되어 있다.
Why : 肘膝關節 以下의 穴中 잘 듣는 것을 선택가능하다.
만약, 膽經上으로는 나았는데 脾經上으로 낫지 않으면 手少陰과 足太陰에서 取穴한다.
9. 胸 - 鍼灸大成에 胸은 陽明이다. 라고 되어 있으므로 合谷이 위주다.
가슴의 정중선 任脈을 중심으로 腎․胃․脾순으로 가므로 經絡에 따라서 接經으로 刺鍼
그러나 捻挫時에는 먼저 蔽心骨을 整骨한 후에 取穴한다.
10. 尾骨 - 털썩 주저 앉아서 꼬리뼈를 다친 것 , 督脈
整骨후 刺鍼, 손가락을 항문에 넣어 꼬리뼈를 들어올려준다.
督脈이므로 通于督脈하는 後谿에 刺鍼
11. 上肢捻挫
患側背部의 肺兪와 心兪 높이의 膀胱經 2선 부근의 硬結點을 찾아 소설시킨 후 刺鍼
膀胱經 第2선자세는 환측손부터 肩峰을 감싸게 하고 肘關節을 모으고 가슴에 붙여야 제2선이 드러난다. 제2선을 훑어서 瀉血하고 附缸을 뜬다.
@ 鍼處方의 원리로 제시한 교수님의 例題
1. 平胃散 - 意義 : 運氣
處方 蒼朮 陳皮 厚朴 甘草
鍼處方 合谷 足三里 內關 太衝
2. 놀라서 가슴이 두근 거릴 때 - 心膽虛
藥物處方 : 加味溫膽湯
鍼處方 : 心經의 神門 {手少陰心經의 兪穴(土)}, 膽經의 陽陵泉 {足少陽膽經의 合穴(土)}
3. 飮食無味, 消化不良, 食後腹痛 - 脾虛로 인해 발생
① 火生土가 안될 때
[藥物] 香砂六君子湯 (益智仁이 들어있어 火氣를 북돋아준다.)
[鍼灸] 合谷, 足三里+小府(心經의 火穴)
② 木乘土가 인할 때
[藥物] 蒼朮健脾湯 (白芍藥이 들어있어 瀉肝시틴다.)
[鍼灸] 合谷, 足三里+太衝(肝經의 木穴)
4. 坐骨神經痛 (신경 압박 없이 생기는 것)
金 剋 木에 의해서 발생
大腸 剋 膽이므로 膽經상으로 痛症
==> 合谷을 놓고 接經인 手少陽의 中渚를 놓는다.
cf) 脾統血 精滑證 - 加味歸脾湯
5. 經絡相通의 例
@ Special point
上腹部 - 太陰 中腹部 - 少陰 下腹部 - 厥陰
① 咳逆(딸꾹질) - 通經의 例
上腹部에 寒邪가 侵入한 것이므로 先手太陰, 後足太陰을 취한다.
양쪽 魚際 - 太陰에 寒邪면 靑色을 띠고, 熱邪가 침입하면 赤色을 나타낸다.
② 胃病(체했을 때) - 通經의 例
❶ 下合穴인 足三里와 合谷(手陽明)을 놓는다.
❷ 足陽明이므로 手陽明의 合谷, 足陽明의 足三里
6. 臟腑相通의 例
①怔忡證 : 心膽 關係에서 온다.
膽이 놀래서 온 心悸이므로 心經의 本穴인 神門과 膽經의 合穴(土) 陽陵泉을 놓는다.
② 입술이 부은 것 - 脾主脣
Key point
經絡不通이면 痛症이 생기므로 痛症別로 所主를 알아내어 腧穴論에 의해 治療한다.
cf) 不眠症 神脈 瀉 照海 補
多眠證 神脈 補 照海 瀉 이유가 뭐지?
cf) 浮腫關聯 - 肺․脾․腎
肺-腎 關係 - 加減胃苓湯(土乘水), 補中治濕湯
腎單獨 - 五苓散
cf) 井穴 - 臟腑의 機能 失調에 使用
이유없는 下血 - 隱白 瀉血
泌尿器異常, 태아의 이상체위 - 至陰 瀉血
cf) 足太陽膀胱經 - 腦로 통하는 유일한 脈이다.(督脈도 통한다.)
根結論에 의해 至陰穴에 刺鍼時 腦의 反應이 가장 활발하다.
옛날 中風治療時 가장 먼저 膀胱經의 陽蹻脈起始穴(申脈)에 刺鍼했다.
내용에 대한 고찰
ㄱ. 方劑와 鍼處方사이의 관련성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ㄴ. 일단 생리학적 소견에 대한 기본 침처방이 구성되어 있고, 거기에 오행론에 따른 배혈이
들어가는 형식이 보인다.
ㄷ. 井滎輸經合, 原絡郄募兪의 내용에 대한 철저한 認識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참고자료
1. 金庚植敎授任의 수업내용
2. 鍼灸學 全國韓醫科大學 經穴․鍼灸學敎室
3. 東醫臨床指鍼Ⅰ
4. 鍼灸經緯
5. 金庚植敎授任 講義錄
6. 舍岩道人鍼法
7. 鍼灸大成譯釋
8. 針灸學會 經穴學 整理集
1) 鍼灸大成에 頭面眼耳鼻口의 모든 질환에 合谷이다.
2) 竅陰者 從陽交於陰也, 足少陽與足厥陰相交通於竅也. 內臟肝膽相連系 外部經絡相貫通 氣脈表裏相交 注於陰卵之關係.
3) 是脾氣轉輸 輸注之穴 是治脾之重要腧穴 故名脾兪.
4) 然谷乃腎所溜爲滎穴 陰滎爲火穴 坎中有一陽無根之少火能生氣 其穴亦名龍淵․潛龍 在淵之義也. 男女精溢 不孕者皆取之 此火能然於深谷之中 不受水克 故名然谷.
5) 人不寐者 瀉申脈 補照海, 人多寐者 補申脈 瀉照海(申脈 照海者 陰陽出入之門戶也.).
照海者 照是明照也. 海者百川水之所歸也. 因水泉爲腎陰 然谷爲腎陽, 水火相照而明化 蹻脈與腎共命門, 水火通照于血海 氣海等 故名照海.
6) 考小腸之功能爲呼吸水穀消化之精微 以供養全身.
7) 承漿者 因腎水從督脈升頂降甘露落上池 則任脈上華面 由上下牙齒相通 牙生酸汁而助消化 與甘露相合爲漿. 承于上而落于下, 故名承漿.
8) 是心氣轉輸 輸注之穴 是治心疾之重要腧穴 故名心兪.
'鍼灸 小考 > 침구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술로 치료하는 두통 (0) | 2015.07.31 |
---|---|
침으로 면역력을 극대화 시킨다 (0) | 2015.07.31 |
침구 보사(補瀉) (0) | 2015.07.31 |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침술이 되기 위한 전제 (0) | 2015.07.31 |
침술과 플라시보 효과 (0) | 201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