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아(聾啞)
※ 槪說
聾은 귀가 들리지 않는 것이고, 啞란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 대다수는 聾이기때문에 啞가 되는 것이다. 先天的인 것도 있으나, 대개는 2~3세에 聽覺을 잃어 言語習得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 統治方
* 主用穴 : 耳門, 聽宮, 聽會, 啞門, 風池, 天柱, 翳風
* 配用穴 : 合谷, 中渚, 外關, 上關, 足臨泣, 後谿
※ 操作
耳門, 聽宮, 聽會는 開口取穴하고 1치~1.5치 刺針한다. 耳部穴位는 電鍼을 써도 效果的이다. 長期間 施術하여야 한다.
◈ 옛 醫書 記錄 및 治療方法
1.治療原則 : 耳部, 舌根部와 관계가 있는 經氣를 疏通시킨다.
2. 刺針
* 主用穴 - 耳門, 聽宮, 聽會, 翳風, 啞門, 廉泉
* 配用穴 - 合谷, 中渚, 外關
3. 方法
每回, 耳部주위의 穴位에서 1~2穴을 選用하여 患者의 입을 벌리게 해서 直刺한다. 깊이 1.5~2寸. 每日 1回. 10日을 1療程으로 한다. 1週日 間 쉬었다가 刺針治療를 계속한다. 聽力을 개선하기 위해 啞門, 廉泉을 추가한다.
4. 處方意義
耳門, 聽宮, 聽會, 翳風은 모두 耳部에 있다. 이들 穴을 刺針하여 耳部의 經氣를 疏通시킨다. 啞門은 啞를 치료하는 要穴이다. 廉泉을 舌本이라고도 稱하며, 舌根部의 經氣를 疏調한다. 手少陽三焦經의 經脈은 耳中으로 통하므로 中渚, 外關을 配穴한다. 手陽明大腸經의 絡脈은 耳中에서 宗脈과 合한다. 그래서 合谷을 配穴한다.
5. 處方實例
(1) 先天性聾啞
1) 完全聾啞.部分聾啞
* 常用穴 ~ 耳門, 翳風, 啞門, 中渚, 外關
* 豫備穴 ~ 翳明, 曲池, 百會, 人中, 脊三穴(知能이 낮은 者)을 취한다.
2) 方法
每日 1回, 耳部穴位에는 처음에는 弱하게, 나중에 强하게 刺戟한다. 耳門은 聽宮을 향하여, 聽會는 斜下로
2~5寸을 刺入한다. 中渚, 外關은 교대로 사용한다. 豫備穴을 필요에 따라 每回 1~2穴을 선택하여 强刺戟한다.
(2) 外傷性聾啞
1) 完全聾啞. 完全聾과 聽力減退 - ① 耳門, 啞門, 中渚 ② 下關, 翳風, 廉泉
2) 方法
2組를 교대로 사용한다. 耳門은 聽會를 향해 아래로 2~3寸 斜刺. 下關은 直刺후, 皮下까지 退鍼하여 聽宮을 향해 斜後向으로 1.5~2.5寸 透刺한다.
* 參考 ~ 耳鳴이 수반되면 耳門, 翳風, 啞門, 中渚, 大椎, 中衝, 曲池, 神門, 腎兪, 足三里
方法 ~ 前 3穴을 제외한 7穴중에서 每日 2穴을 選用한다. 耳門은 前述한 방법으로 透刺한다.
(3) 藥物中毒으로 인한 聾啞
1) 常用穴 ~ 耳門, 翳明, 中渚, 外關, 聽會, 瘈脈, 啞門, 陵下, 四瀆
2) 方法
耳門은 前述한 방법대로 透刺. 聽會는 聽宮을 향해 斜上方으로 1.5~2寸 透刺. 기타의 穴位는 교대로 사용. 中刺戟
* 參考
① 耳鳴이 수반되면 ~ 翳明, 角孫, 神門, 大椎
方法 ~ 翳明에서 翳風으로 透刺하되 1.5~2.5寸을 斜刺해서 弱刺戟
② 眩暈이 수반되면 ~ 啞門, 翳明, 合谷, 風池, 百會, 四瀆
方法 ~ 2組를 교대로 사용한다. 弱刺戟
(4) 中耳炎性 聾啞
1) 完全聾啞, 部分聾啞, 單純聾, 聽力減退
* 常用穴 ~ 耳門, 翳風, 中渚, 外關
* 豫備穴 ~ 啞門
2) 方法
耳門은 前述한 방법대로 透刺. 四肢穴은 교대로 사용하며, 强刺戟. 完全聾啞에는 啞門을
추가
* 參考
* 耳鳴이 수반되면 ~ 常用穴로 耳門, 啞門, 中渚, 翳明, 曲池, 大椎, 足三里. 豫備穴은 下關
* 方法 ~ 耳門은 前述한 방법대로 透刺. 기타의穴은 每回 2雙을 選用하여 弱刺戟. 鼓膜內陷에는 下關을 추가하여 强刺戟. 化膿. 炎症이 수반되면 翳風에 刺針한 다음 施灸를 한다.
(5) 感染症(痲疹, 流行性髓膜炎, 高熱, 痙攣)性 聾啞
1) 完全聾啞, 部分聾啞, 單純聾 ~ 常用穴로서 耳門, 下關을取穴한다.
2) 方法 ~ 前述한 방법대로 透刺. 中 또는 强刺戟
* 參考
① 聽力減退 ~ 耳門, 翳風, 中渚, 外關
方法 ~ 耳門은 前述한 방법대로 透刺. 上肢穴은 교대로 사용하며 中刺戟을 준다.
② 耳鳴이 수반되면 ~ 下關, 風池, 角孫, 百會. 翳明, 瘈脈, 聽宮, 神門, 足三里, 百會
* 方法 ~ 下關은 前述한 방법대로 透刺. 三陰交를 써서 中刺戟.
~~~~~~~~~~~~~~~~~~~~~~~~~~~~~
농아의 침구요법
농아(聾啞)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귀가 들리지 않기 때문에 말을 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선천성(先天性)과 후천성(後天性)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성(先天性)은 태어나면서부터 바로 귀가 들리지 않게 되어 말을 할 수 없다.
후천성(後天性)은 고열병 등에 의해서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침치료는 후천성(後天性)인 것이 비교적 효과가 있지만 선천성(先天性)인 것에는 비교적 효과가 적다.
【치료법】
청회(聽會), 청궁(聽宮), 예풍( 風), 외관(外關), 아문(啞門), 합곡(合谷), 백회(百會)를 취한다.
우측의 각 혈을 호침으로 염전진법(捻轉進法)과 사법(瀉法)으로 자(刺)하고 30분간 유침한다.
치료는 격일(隔日)로 1회씩 행하며 보통 30회 정도 계속한다.
그래도 효과가 없으면 30회를 더 가(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