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 遺跡 /佛敎 美術 建築

大邱 桐華寺 金堂庵 三層石塔

초암 정만순 2018. 4. 17. 05:21





  

* 보물 제248호.


* 다음 지도 보기



동화사 금당암의 극락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2기의 석탑으로, 두 탑 모두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먼저 동쪽의 탑은 2단의 기단 대부분이 나중에 보수된 것이라서 돌을 다룬 수법과 끝맺음 처리 부분에서 조화를 잃어버리고 있다.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따로 새겨 쌓아 올렸으며,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 새겨져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차례로 올려져 있다.


서탑은 위층 기단의 두 면에 가운데에만 기둥 모양을 새기고, 반대쪽 면의 기둥 사잇돌을 밀어 넣어 그 돌로 모서리기둥을 삼았다.

탑신부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이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네모난 돌만 남아 있고, 그 위로 머리장식부의 무게중심을 지탱하던 쇠꼬챙이가 솟아 있다.

1957년에 탑을 해체하여 복원하였는데, 그 속에서 조그만 탑 99개와 부처님의 사리를 담아두는 장치가 나왔다.


이 두 탑은 부분적으로 없어진 머리장식을 빼고는 조각의 양식이나 끝맺음 수법이 서로 비슷하고, 균형 또한 잘 이루어져 경쾌한 느낌을 준다.

기단과 탑신, 그리고 머리장식부의 세부적인 양식에서 통일신라시대 후기의 전형적인 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문화재청]



* 동탑.








* 서탑.






* 빨강색 화살표=동탑, 초록색 화살표=서탑.




'文化 遺跡 > 佛敎 美術 建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원 미륵불과 성주신앙  (0) 2018.06.15
達磨圖  (0) 2018.05.10
大邱 桐華寺 幢竿支柱  (0) 2018.04.17
大邱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  (0) 2018.04.17
龍門寺 浮屠  (0) 2018.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