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 遺跡 /능묘

墓地 石物의 種類

초암 정만순 2018. 2. 9. 05:17



墓地 石物의 種類

 




1)鼓石 (또는 북석, 장구석)

상석을 받치는 돌(북, 장구 모양)로 두 개, 세 개, 네 개를 받치는 경우가 있다.

돌의 생긴 모양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다

 

2)曲墻(또는 곡담)

봉분 뒤에 곡선 모양으로 만든 담장(동·서·북 3면의 반달형이다)


3)欄干石

봉분 주위에 울타리 모양으로 조성(주로 왕릉에 있다)하는 돌.

난간석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망주석 모양의

제일 높은 기둥인 석주, 가로로 놓인 대나무 모양의 돌인 횡석주(죽석), 중간에 받쳐주는 작은 기둥인 동자석주로 되어 있다.


4)壇(또는 단소 단비)

묘소를 실전(失傳. 잃어버렸다는 말) 하였거나 아예 묘소가 없는 사람의 체백(體魄. 몸과 정신)을 모신 것처럼 묘소와

조형물, 비 등을 세워놓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단을 설치하는 것을 설단(設壇)한더고 한다.


5)望柱·望柱石 (또는 망두, 망두석, 화표주)

여러 대(代)의 산소가 상하나 좌우로 있을 경우에 대를 구분하고 멀리 보아서도 묘소가 있다는 것을 알릴 때 주로 설치한다

망주석과 관련된 여러 이야기들이 전래되어 오고 있지만 망주석은 묘지의 영역을 구분하고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며 모양이 남성의 상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손의 번창과 무관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묘지를 지키는 수호신앙적인 의미도 있으며 石라고도 합니다.



6)武人石

장군 모양을 한 돌. 칼을 뽑아서 집고 있다.

무인석도 문인석과 마찬가지로 요즘 새롭게 조성된 묘지에서는 볼 수 없는 석물로서 종2품관 이상의 묘지와 왕릉에 세워진 장군 형상의 석물입니다.

무인석은 묘지 제일 하단에 설치되는 석사자(石獅子) 또는 석양(石羊)과 더불어 능묘를 수호하는 석물로 인식하였습니다.

 

7)文人石

선비 모양을 한 돌. 제사 절차를 진행하는 홀을 쥐고 있다.

문인석은 요즘 새롭게 조성하는 묘지에서는 볼 수 없는 석물로서 과거 왕릉이나 정승의 벼슬을 역임한 사람의 묘지 앞에 세우는 석물입니다.

모양은 머리에는 복두(幞頭)를 쓰고, 곡령대수(曲領大袖)를 입고 허리에 띠[]를 두르며, 발에는 화() 신고, 손에는 홀()을 든 공복(公服) 차림입니다.

이는 종2품관 이상의 묘지에만 세울 수 있었습니다.


8)屛風石(또는 護石, 호분석, 사대석, 둘레석)

묘지가 훼손되고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로 묘지 둘레를 사방 또는 원형으로 에워싸는 돌이다.

호석은 오늘날 흔히 둘레석이라 부르는 석물로서 묘지의 토사 유출을 막기 위한 기능을 합니다.

호석은 그 역사가 이미 삼국시대부터였으며 신분에 따라 그 규모를 달리 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봉분(封墳)의 호석을 종5품관 이상의 묘지에만 돌릴 수 있었답니다.

그리고 그 높이는 1품관이 9(), 2품관은 8(), 3품관은 7(), 4품관은 6() 5품관은 4()로 정해 놓았던 것입니다



9)床石

제사 음식을 놓는 상모양의 큰 돌. 주로 각자의 봉분 앞에 설치한다.

합장했을 경우 각각 2기 설치하기도 하고 1기만 설치하기도 한다. 

상석은 말 그대로 상()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지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묘제를 지낼 때 제물(祭物)을 올려놓는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석 아래에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받침돌로 고이게 되는데 이를 북 모양이라 생각해서 고석(鼓石) 또는 북돌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상석 뒤쪽에 길게 놓인 돌은 걸방석이라 하고 앞에는 향로석이 놓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의상 상석에는 글자를 새기지 않는 것이 옳으나 경비절감, 일의 간소화 등의 사유로 글을 새겨 표석과 겸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산 사람에 비유하면 밥상이므로 글자를 새기지 않는 것이 도리인 것이다.


10)石馬·石羊·石虎

무덤 앞에 조각한 말, 양, 호랑이의 석상을 말한다

 

11)人石

왕릉에만 있는 돌로 봉분 귀퉁이에 조성한다

 

12)長臺石

주로 묘지 앞의 좌우에 길게 놓은 돌로 축대를 조성할 때 쓰인다

 

13)長明燈(또는 석등)

묘지 앞의 석등이다. 옛날에는 일정 품계 이상인 자만 설치 가능했다

장명등은 일명 석등룡(石燈龍) 혹은 석등(石燈)이라고도 하며 묘지 앞에 불을 밝히기 위한 용도의 석물입니다.

조선시대에서는 장명등을 관습적으로 종일품(從一品) 이상의 벼슬을 한 사람의 묘지에서만 세울 수 있었습니다


14)香爐石

향로와 향합을 올려 놓는 돌. 상석 바로 앞에 설치한다. 향안석이라고도 한다


15)魂遊石(또는 월석, 반월석)

묘지 앞 반달 모양의 석물. 상석과 붙어 있으며 무궁화 문양, 연꽃 문양 등 여러가지가 있다

상석과 모양은 비슷하지만 묘지의 앞이 아니라 옆 부분에 방형(方形)의 돌이 놓여 있는 것은 영혼이 와서 놀다가는 공간의 의미로서 혼유석(魂遊石)이라 하여 상석과는 구분되는 석물입니다.













'文化 遺跡 > 능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鮮王陵  (0) 20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