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의 對話/목본(나)

느티나무

초암 정만순 2017. 3. 20. 19:58



느티나무


식물
느릅나무과(Ulmaceae)
학명Zelkova serrata Makino
생약명괴목()
개화기4~5월
핵심어호생1), 자웅동주2), 취산화서3), 핵과4)



1. 구분

느릅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로 키 26m 정도로 곧고 굵게 자란다. 가지가 위와 옆으로 뻗어 위쪽이 넓게 둥글어진다.

2. 서식지

산속 양지바른 너덜바위 지역이나 계곡가, 들판에 주로 서식하며 군락성을 띤다.

3. 특징

울퉁불퉁한 옹이가 많이 생긴다.

 
느티나무 잎

길이 2~13㎝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이 뾰족한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둥글면서 뾰족한 톱니가 있다. 좌우의 잎맥은 8~14쌍이다. 어릴 때 앞뒷면에 잔털이 있다가 점차 없어진다. 가을에 노랗다가 붉게 물든다.

4~5월에 새로 나는 햇가지의 잎 달린 자리에 연노랑 빛 도는 녹색으로 핀다.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달리며 모양이 다르다. 수꽃은 햇가지 아래쪽에 여러 송이가 달리며, 수술이 4~6개 있다. 암꽃은 햇가지 끝 쪽에 1송이가 달리며 암술 1개와 퇴화된 헛수술이 있다. 꽃잎은 없으며 꽃덮이가 4~6갈래로 갈라져 나온다.

열매

10월에 단단한 핵으로 싸인 씨앗이 있는 지름 4㎜ 정도의 납작한 공 모양 열매가 회색빛 도는 갈색으로 여문다. 2년을 주기로 열매가 많이 맺혔다 적게 맺혔다 한다.

줄기껍질

어린 나무는 회색빛 도는 밝은 갈색을 띤다. 묵을수록 회갈색이 되며 울퉁불퉁한 옹이가 많이 생긴다. 갈색 껍질눈이 있고 밋밋한 편이나 고목이 되면 껍질이 통째로 붕 떠서 종이처럼 얇게 벗겨진다. 도로가에 자라는 나무는 검은 회색을 띤다.

줄기 속

가장자리는 노란빛 도는 밝은 갈색을 띤다. 안쪽에는 붉은 자줏빛 도는 밝은 갈색의 넓은 심이 있다. 한가운데에는 밝은 갈색의 작고 무른 속심이 있다.

가지

햇가지는 붉은 갈색을 띠며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묵으면 회갈색을 띤다. 껍질눈이 있다.

겨울눈

크기가 작으며 원뿔 모양이다. 검은 자주색을 띤다.

4. 용도

약용: 고혈압, 치질, 장출혈, 자궁출혈, 치통
식용: 느티떡

민간요법

줄기 · 잎 · 열매(괴목, )
줄기는 수시로, 잎은 봄에, 열매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혈압 높은 데, 치질, 장출혈, 자궁 출혈에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치통에 말린 것을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한다.

식용방법

어린 잎을 살짝 말려서 멥쌀가루와 팥과 함께 섞어 시루에 쪄서 느티떡을 해 먹는다.


                     

나지막한 동산을 뒤에 두르고 널찍한 들판을 내려다보는 곳, 시골 마을 어귀에 서 있는 아름드리 고목나무 한 그루는 서정적인 우리 농촌의 대표적인 풍경이다.

당산나무나 정자나무로 불리는 이런 나무의 대부분은 느티나무가 차지한다.

아늑한 품 안은 뙤약볕 여름농사에 지친 농민들의 안식처이며, 마을의 크고 작은 일을 결정하는 여론광장이 되기도 한다.

산림청의 지도 감독을 받아 각 지자체가 지정 및 관리를 하고 있는 고목나무는 현재 약 1만 3천 그루쯤 되고, 그중에서 느티나무가 7천 1백 그루로 가장 많다. 따라서 고목나무 하면 느티나무다.


느티나무는 위로는 임금의 궁궐부터 아래로는 백성들의 생활터전까지 심고 가꾸는데 낯가림이 없다.

모두를 다 함께 편안하게 보듬어주는 넉넉하고 편안한 나무다.

이처럼 아름드리 굵기에 이야깃거리가 얽혀 있는 느티나무라면 짧게는 조선왕조, 길게는 고려나 신라인과 삶을 함께 해온 역사 속의 나무다.

우리나라 나무 중 은행나무와 함께 수명이 가장 긴 나무다.

몇백 년은 보통이고 웬만하면 천 년이 훌쩍 넘어간다.

긴긴 세월을 이어오면서 맞닥뜨린 민족의 비극도, 애달픈 백성들의 사연도 모두 듣고 보아오면서 묵묵히 그 자리를 지켜왔다. 그래서 전설을 간직한 느티나무는 수없이 많다.

전북 임실 오수읍의 의견(義犬)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오수에서 멀지 않은 영천리에 살던 김개인이란 선비는 어느 날, 개를 데리고 나들이를 나갔다가 낮술에 취하여 잔디밭에서 깊은 잠에 빠졌다. 그때 들불이 번져 주인이 위험에 처하자 개는 가까운 연못에 들락거리면서 몸에 물을 적셔 불이 번지는 것을 막아 주인을 구하다 지쳐서 죽어버렸다.

그는 개를 정성껏 묻어주고 지팡이를 꽂아두었더니 그 자리에서 싹이 트고 자라나 지금의 큰 느티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개의 화신이라고 생각하여 이 느티나무를 개나무란 뜻으로 ‘오수(獒樹)’라고 부르고 마을 이름도 바꾸었다.

바람결에 들려오는 전설이 아니라 고려 말의 문신 최자의 《보한집》에 실린 내용이다.

경남 의령의 세간리에는 ‘현고수(懸鼓樹)’란 느티나무가 있다.

이름 그대로 임진왜란 때 의병대장 곽재우 장군이 북을 매달아 놓고 군사훈련을 시켰던 나무다.

신라 진평왕 때인 1235년, 찬덕이란 신라 장수는 지금의 충북 괴산 근처에 있던 가잠성의 성주였다.

어느 날, 백제군이 쳐들어와 성을 잃게 되자 그대로 달려 나가 느티나무에 부딪쳐 죽었다.

이후 가잠성을 ‘느티나무 괴(槐)’ 자를 써 괴산이라 부르게 했다고 전해진다.

괴산군 일대에는 지금도 느티나무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더 많았다고 하며, 오늘날 괴산군의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만 90여 주에 이른다.

        

쓰임새가 너무 많은 느티나무는 당산 지킴이로서 만족할 수 없었다.

목재는 나뭇결이 곱고 황갈색의 색깔에 약간 윤이 나며, 썩거나 벌레가 먹는 일이 적은 데다 무늬도 아름답다.

또한 건조를 할 때 갈라지거나 비틀림이 적고 마찰이나 충격에 강하며 단단하다.

한마디로 나무가 갖추어야 할 모든 장점을 다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나무의 황제’라는 별명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둥그스름한 당산나무만이 느티나무의 참모습은 아니다.

숲속에서 다른 나무와 경쟁하여 자랄 때는 곧바르고 우람한 덩치로 자란다.

그것도 적당히 자라다 마는 것이 아니라 키 20~30미터, 지름이 두세 아름까지 자란다.

목재의 쓰임도 화려하다. 천마총을 비롯한 관재로서 임금의 시신을 감싸고 영생의 길을 함께한 영광의 나무였다.

건축재로는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해인사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법보전, 조선시대 사찰건물인 강진 무위사, 부여 무량사, 구례 화엄사의 기둥은 전부, 혹은 일부가 느티나무다.

또 흔히 스님들이 ‘싸리나무’로 만들었다고 하는 구시(절의 행사 때 쓰는 큰 나무 밥통), 절의 기둥, 나무 불상도 대부분 느티나무다.

기타 사방탁자, 뒤주, 장롱, 궤짝 등의 가구까지 느티나무의 사용범위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숲과의 對話 > 목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향나무  (0) 2017.03.26
노각나무  (0) 2017.03.24
낙우송  (0) 2017.03.19
능수버들   (0) 2017.03.19
노간주나무   (0) 201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