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脇痛

초암 정만순 2017. 3. 13. 06:35


脇痛



 
1. 기역(氣逆)에 의한 부인의 협늑(脇肋)
울금, 목향(木香), 아출(莪朮), 모단피(牡丹皮)를 끓인 맹물을 부어가며 갈아서 복용한다.
[여과방요(女科方要)]
 
2. 협통(脇痛)
갈빗대 있는 곳이 결리고 아픈 병증으로서 한쪽 혹은 양쪽 옆구리에 동통이 발생하는 것이 주증인 병증이다.

3. 전통의학에서의 협통이란
대체로 서열이나 온역사기 등에 의한 외감이나 기울, 어혈, 담음, 식적 등에 의한 내상으로 간, 담 경맥이 막혀서 생기고, 그밖에 옆구리를 지나는 심, 폐, 비, 신의 낙맥에 문제가 있어서 발병하기도 하는것으로 본다.

외감에 의한 것은 옆구리 아픔이 비교적 빨리 나타나고 경과도 빠르며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는 등 표증이 함께 나타난다.

내상에 의한 것은 천천히 발병하고 경과가 길며 표증이 없이 간기울결, 어혈, 간음 부족 증상이 나타난다.
현대의학적으로는 급성 및 만성 간염을 비롯한 간장질병, 급성 및 만성담낭염, 늑막염, 늑간신경통, 대상포진, 옆구리외상 등 때에 볼 수 있다.
 
  1)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양쪽 옆구리에 분포하므로 만약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갑자기 화를 내어 간(肝)이 손상되면
     간기(肝氣)가 울결되어 협통이 발생한다.

     기가 오랫동안 울결되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정체됨으로 인해 협부의 낙맥(絡脈)을
     가로막거나, 혹은 무리하게 힘을 써서 무거운 것을 듦으로 인해 협부의 낙맥이 손상되고 어혈이
     정체하여 협통이 발생한다.

     이 밖에도 간담(肝膽)에 습열(濕熱)이 침입하여 소설 기능이 실조되어도 협통이 발생하며,
     오랜 병으로 정혈(精血)이 소모되어 혈이 간을 자양 하지 못하거나, 혹은 외사(外邪)가 오랫동안
     제거되지 않고 머물러 음혈(陰血)을 소모함으로 인해 낙맥(絡脈)을 자양하지 못하여도 협통이
     발생한다.

     서양의학에서는 협통(脇痛)을 하나의 자각증상으로서, 간담(肝膽) 질병으로 야기되는 것 이외에도
     인근 조직•장기의 병변으로 인해 야기된다고 인식한다.

  2)무황달형간염, 만성담낭염성 협통
   ◈기문(간경), 지구, 양릉천, 태충, 아시혈
      입맛이 없으면 장문, 태백, 족삼리, 잠장애에는 신문, 옆구리가 불어나는 듯한데는 아시혈, 첩근,
      구허, 외관

      간과 담은 표리관계에 있고 궐음경과 소양경은 옆구리에 퍼져 있으므로 간의 모혈인 기문혈과
      원혈인 태충혈에 수소양경의 지구혈과 족소양경의 양릉천혈을 배합하면 몰린 간기가 흩어지고
      기혈이 잘 통하게 되므로 옆구리 아픔이 멎는다.

  3)가슴외상, 늑연골염성 협통
   ◈양릉천, 구허, 발림읍, 지구, 아시혈. 아픔이 몹시 심할 때에는 단중, 격유, 태충
      어혈협통은 옆구리에 어혈이 생겨 소양경맥이 잘 통하지 못하여 생기므로 소양경의 양릉천, 지구,
      구허, 발림읍혈로 경기를 잘 통하게 하고 단중, 격유, 태충, 아시혈(자락부항)은 국소의 어혈을
      없앤다. 즉 이 처방은 거어통락작용이 있다.

  4)만성간염, 간경변증성 협통
   ◈간유, 신유, 기문(간경), 행간, 족삼리, 삼음교, 아시혈
      어지럼증이 있으면 백회, 풍지, 조열이 있으면 고황
      음허협통은 정혈부족으로 간이 자양을 받지 못해서 생기므로 간유, 신유, 기문(간경)혈은 간음과
      정혈을 보한다.

   ◈행간혈은 간경의 형혈로서 간열을 내려준다.
      족삼리와 삼음교혈을 배합하면 후천의 근본인 비위가 든든해져 정혈을 더 빨리 보충해준다.
      즉 이 처방은 양음통락지통작용이 있다.

  5)간울협통
     ①중정, 간유, 기문, 협계혈을 주혈로 하고 곡지, 단중, 주영혈을 보조혈로 한다.
     ②간유, 담유, 지구, 양릉천, 족삼리, 내관

  6)어혈협통
     ①대포, 경문, 행간, 격유, 삼음교혈을 주혈로 하고 외상으로 생긴데는 아시혈을 배합한다.
     ②지구, 양릉천, 기문(간), 행간, 격유

  7)음허협통
     ①음극, 심유, 혈해, 삼음교혈을 주혈로 하고 조열이 있으면 고황, 어지러우면 백회(간접뜸) 혈을
        배합한다.
     ②장문, 중완, 비유, 위유, 족삼리, 양릉천

  8)습열협통
   ◈기문, 일궐, 지구, 양릉천, 태충혈을 주혈로 하고 열이 심하면 대추, 메스껍거나 헛배가 브르면 중완,
      족삼리, 가슴이 답답한데는 국문혈을 배합한다.

  9)늑간신경통
     ①지구, 양릉천, 아시혈을 주혈로 하고 간기울결증상이 있으면 태충, 어혈증에는 격유, 담습증에는
        풍륭혈을 배합한다.
     ②양릉천, 지구 또는 삼양락, 격유, 아시혈을 주혈로 하고 폐나 늑막 질병이 있을 때는 렬결, 척택,
        열이 날 때에는 대추, 곡지혈을 배합하며 대상포진이 있을 때는 포진둘레에 피내침을 놓거나 피부
        침을 놓는다.
     ③대저, 풍문, 폐유, 심유, 간유, 보랑, 신장, 태연

  10)풍한협통
   ◈풍한협통은 외감풍한으로 인해서 협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몸살감기가 생기는 것을 외감이라 해서 크게 6가지 단계로 구분하는데 그중에 하나
      반표반리라는 것이 있다.

      즉 외감이 밖에서부터 속으로 들어간다는 개념으로 볼 때 반표반리는 반쯤 들어 왔다는 것인데
      이때 대개는 추웠다 더웠다 하는 증세가 교대로 나타나기도하고, 입이 쓴 것 같으면서 밥맛이 뚝
      떨어져서 밥을 먹을 수가 없고 토할것처럼 구역질도 난다. 또 목구멍도 마르면서 눈도 어질어질하기
      도 한다.  또 가슴이 답답하면서 옆구리와 가슴이 그들먹하니 거북하다.
 
4. 협통에 좋은 식품
  1)천궁은 늦가을에 서리가 내린 다음 뿌리를 캐서 줄기를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포경, 간경, 담경, 삼초경에 작용한다.
     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풍을 없애고 통증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작용, 강압작용, 자궁수축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정유 성분은 중추신경계통에 대하여 소량에서는 흥분적으로, 다량에서는 억제적으로 작용한다.
     하루 6~12그램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동의학사전]